(12) 日 · 淸도 인정한 역관시인 홍세태 | ||||||||||||
인왕산 호걸 임준원의 집에 가장 오래 얹혀 살았던 위항시인은
홍세태(洪世泰 · 1653∼1725)이다.
중인들은 대대로 같은 직업을 물려받았다.
그는 할아버지와 아버지, 아우들까지 무인으로 활동하던 집안에 태어나 역관이 되었다.
23세에 역과에 합격하고 30세에 통신사를 따라 일본에 가면서 문단에 이름이 알려졌다.
이에쓰나(家綱)가 1680년에 죽고 그의 아들 쓰나요시(綱吉)가 쇼군(將軍)직을 계승한 뒤에, 통신사를 보내 축하해 달라고 조선에 청하였다. 조정에서는 경상도관찰사 윤지완을 정사에, 홍문관 교리 이언강을 부사에 임명하여 474명의 사절단을 구성했다. 일본어 소통에 필요한 역관은 물론이고, 글을 짓는 제술관, 글씨를 잘 쓰는 사자관(寫字官), 그림을 잘 그리는 화원(畵員), 음악을 맡은 전악(典樂), 치료를 맡은 양의(良醫), 마술 곡예를 보여주는 마상재(馬上才)와 광대에 이르기까지 여러 종류의 전문가들이 총동원되었다.
● 에도시민들 비싼 자릿세 내고 통신사행렬 구경
정사나 부사는 자제군관(子弟軍官)이라는 명목으로 개인 수행원을 데려갈 수 있었다. 이언강은 홍세태를 데리고 갔다. 홍세태는 일본어 역관이 아니었으므로, 통역이 아니라 일본 구경을 하기 위해 따라간 것이다.
개인적인 자격으로는 일본에 갈 수 없어 일본을 구경하려면 사신의 수행원 신분을 얻어야 했다. 통신사 일행이 귀국한 뒤에 사신과 역관들에게 상을 주었지만, 그는 공식적으로 한 일이 없어 상을 받지 못했다. 대신 조선과는 아주 다른 일본의 산천문물을 구경하고 시인들에게 시를 지어주며 국제적으로 평가받았다.
중국과 외교를 단절하고 있었던 에도막부는 조선을 통해 중국 중심의 세계 문물을 받아들였다. 쇼군 일생의 가장 성대한 의식인 조선통신사 행렬을 백성들에게 보여주며 권위를 확고히 했다. 무사 중심의 다이묘(大名) 행렬은 자주 구경했지만, 조선통신사 행렬은 쇼군이 즉위할 때만 구경할 수 있었다.
에도(江戶 · 지금의 도쿄) 시민들은 비싼 자릿세를 지불하고 음식을 먹어가며 질서있게 줄지어 기다렸다. 일본의 수행원까지 포함한 몇 천명의 행렬이 중심가를 지나려면 한나절이나 걸렸다.
1636년의 행렬을 구경한 네덜란드 상관장 니콜라스 쿠케바켈은 그날 일기에 “이 행렬이 전부 지나가는 데 약 5시간이나 걸렸다.”고 기록했다.
조선에서는 중인을 하찮게 여겼지만, 일본이나 중국에서는 오히려 말이 통하는 역관을 더 친근하게 대했다. 쉴 틈 없이 손님들이 찾아와 시를 지어 달라고 청했다. 몇 백리 멀리서 음식을 싸들고 며칠 걸려 찾아온 손님들이기에 거절할 수도 없었다.
● 그림에도 소질… 조선 선진문물 전도사 역할도
홍세태는 시만 지어준 것이 아니라 그림도 그려 주었다. 조선에 없는 그의 그림이 일본에 전하는 것도 조선 문화를 얻어보고 싶어 했던 일본인들의 염원 덕분이다.
첫기착지인 쓰시마부터 홍세태는 인기가 대단했다. 수석역관 홍우재가 기록한 ‘동사일록(東 日錄)’ 6월28일자에서 “서승(書僧) 조삼(朝三)과 진사 성완, 진사 이재령, 첨정 홍세태가 반나절 동안 시를 주고받았다.”고 적었다.
사무라이가 지배하던 일본의 지식층은 승려와 의원, 그리고 얼마 안 되는 유관(儒官)이었다. 조삼이라는 승려는 쓰시마에서 에도까지 안내하며 틈만 나면 홍세태와 시를 지었다.
9월1일 일기에는 에도에서 받은 윤필료(潤筆料) 가운데 홍세태 몫으로 ‘30금’이 적혀 있다. 화원 함재린의 윤필료도 30금이었으니, 홍세태가 일본인들에게 시를 지어주고 받은 원고료가 화원의 그림값과 같았던 셈이다.
정내교는 홍세태가 일본에서 활약한 모습을 묘지명에서 이렇게 묘사했다.
“섬나라 오랑캐들이 종이나 비단을 가지고 와서 시와 글씨를 얻어 갔다. 그가 지나가는 곳마다 그들이 담처럼 죽 늘어서면, 그는 말에 기대선 채로 마치 비바람이라도 치는 것처럼 써갈겨 댔다. 그의 글을 얻은 자들은 모두 깊이 간직하여 보배로 삼았는데, 심지어는 문에다 그의 모습을 그리는 자까지 있었다.”
에도에서 공식적인 행사를 마치고 돌아갈 때에는 일정에 쫓기지 않아 더 많은 손님들을 만났다. 쓰시마에서 윤필료를 청산할 때에 홍세태는 많은 돈을 받았을 것이다. 1711년 통신사 때에 일본측 접반 책임자였던 아라이 하쿠세키(新井白石)는 정사 조태억과 환담하면서 홍세태의 안부를 물었다. 30년이 지난 뒤에도 기억할 정도로 깊은 인상을 남겼던 것이다.
그러나 조선에 돌아온 홍세태는 다시 천대를 받으며 가난한 생활을 했다. 역관시인 홍세태의 이름은 일본뿐만 아니라 중국에도 널리 알려졌다.
1695년에 청나라 한림학사 상수(尙壽)가 사신으로 왔다. 그는 ‘동문선(東文選)’과 ‘난설헌집(蘭雪軒集)’, 그리고 최치원(崔致遠) · 김생(金生) · 안평대군의 글씨를 구해 달라고 했다. 아울러 홍세태에게 시를 짓게 하여 가지고 갔다.
‘연려실기술’ ‘사대전고(事大典故)’에 실린 이 기록은 중국 사신이 우리나라 최고의 작품집, 명필의 필적과 홍세태의 시를 같은 수준에 놓고 보았음을 뜻한다.
청나라에서 온 사신들은 으레 뇌물을 요구했으며, 요구하지 않더라도 우리 조정에서 온갖 방법으로 뇌물을 주었다. 그런데 1723년에 사신으로 왔던 도란(圖蘭) 일행은 아무런 뇌물도 요구하지 않고, 작은 부채 하나를 내놓으며 시 한 편만 지어 달라고 하였다.
● 문집 출판비 은전 70냥 베갯속 저축
경종 3년 7월11일 실록에 의하면 “시인 홍세태로 하여금 율시 1수를 지어주게 하였다. (이들이 뇌물을 받지 않고 돌아간 적은) 근래에 없었다.”고 했다.
우리 조정에서도 홍세태를 국제적인 시인으로 인정했음을 알 수 있다. 이때 경종은 몸에 종기가 나서 왕세제(王世弟 · 뒷날의 영조)가 여러 행사를 대신 치렀다.
영조는 30여 년 뒤에 홍세태에 관해 예조판서 홍상한에게 이렇게 말했다.
“홍세태는 노예라는 이름이 있었으나 문장이 고귀하다고 내가 어렸을 때에 그 이름을 들은 적이 있다. 그래서 사람을 시켜 그의 시를 받아오게 하였다. 그러나 내가 일찍이 몸을 삼가고 조심하여 여항(閭巷)의 사람들과 교제하지 않았기 때문에 그의 얼굴을 알지는 못한다.”(영조실록 34년-1758 10월7일 기록)
영조가 왕세제 시절에 몸을 삼가고 조심했다는 것은 장희빈의 아들인 이복형 경종의 후사가 없어 왕세제로 책봉돼 남인과 노론, 소론의 삼각관계 속에서 처신을 조심했다는 뜻이다. 또한 홍세태의 ‘노예’라는 신분 때문에 만나기를 꺼렸다는 뜻이기도 하다.
왕권이 확고해진 뒤에야 홍세태를 기억했지만, 이미 그는 세상을 떠난 뒤였다. 그로부터 12년이 더 지난 뒤에야 홍세태의 아들 홍서광을 불러보고 벼슬을 주었다.
홍세태는 자신의 작품에 자부심이 컸다. 문집의 머리말을 미리 써놓을 정도였다. 간행할 비용까지 미리 저축해 두었다.
역시 가난하게 살았던 서얼 시인 이덕무는 그러한 사실을 마음 아파하며 ‘이목구심서’에 이렇게 적었다.
“홍세태가 늙은 뒤에 자신의 시를 손질하고, 베갯속에 백은(白銀) 70냥을 저축해 두었다. 여러 문하생들에게 자랑삼아 보여주면서 ‘이것은 훗날 내 문집을 발간할 자본이니, 너희들은 알고 있으라.’하였다. 아! 문인들이 명예를 좋아함이 예부터 이와 같았다. 지금 사람들이 비록 그의 시를 익숙하게 낭송하지만, 유하는 이미 죽어 그의 귀가 썩었으니 어찌 그 소리를 들을 수 있겠는가. ... (줄임) ... 어찌하여 살아 있을 적에 은전 70냥으로 돼지고기와 좋은 술을 사서 70일 동안 즐기면서 일생 동안 주린 창자나 채우지 않았는가.”
● 뛰어난 재주로도 신분 벽 못넘어
이덕무의 집에서 좋은 물건이라곤 ‘맹자’뿐이었는데, 굶주림을 견딜 수 없어 200전에 팔아 식구들과 밥을 지어 먹었다.
친구 이서구에게 편지를 보내 “맹자가 밥을 지어 나를 먹였다.”고 자랑한 이덕무였기에 은전 70냥으로 시집을 출판하는 것보다 고기를 먹고 술을 마시며 70일 동안 즐기는 게 낫지 않으냐고 말한 것도 무리는 아니다.
그러나 그것이 어찌 이덕무의 속마음이었으랴. 서얼과 중인의 벽을 넘어, 재주와 능력이 있으면 인정받고 활동할 수 있는 사회를 염원한 것이 아니었을까.
홍세태가 고기와 술을 먹지 않고 시집을 출판한 덕분에 우리는 그의 시를 읽고 그 시대의 아픔을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 - 허경진, 연세대 국문과 교수 - 서울신문, 2007-03-20
|
'지켜(연재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선후기 신지식인 한양의 中人들] 임준원 - 빈자 도와준 호걸 (0) | 2008.03.17 |
---|---|
[조선후기 신지식인 한양의 中人들] 국수(國手) 유찬홍 (0) | 2008.03.17 |
[조선후기 신지식인 한양의 中人들] 홍세태의 활약 (0) | 2008.03.17 |
[조선후기 신지식인 한양의 中人들] 서예가 마성린 (0) | 2008.03.17 |
[조선후기 신지식인 한양의 中人들] 가객 박효관 (0) | 2008.03.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