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시인 정치가 박순의 업적과 유적지
뛰어난 시인으로, 높은 수준의 학자로, 탁월한 정치가로 모두에게서 칭송을 받았던 조선의 영의정 사암(思菴) 박순(朴淳:1523~89)을 요즘 기억하는 사람은 너무 적다.
역사를 거슬러 올라가 그의 역사적 평가는 어떠했고, 그가 높은 수준의 학자나 정치가들에게서 어떤 평가를 받았는지 살펴보자.
우선 조선 500년의 정사(正史)인 왕조실록부터 읽어보자. 선조수정실록 1589년 음력 7월21일의 기록이다. 순은 타고난 자질이 맑고 순수하며 평탄하고 화평스러워 모난 점을 보이지 않았다. 일찍부터 화담 서경덕에게 학문을 배웠고 퇴계 이황과도 교류했다. 이황이 항상 칭찬하기를 ‘박순과 상대하다보면 한 가닥의 맑은 얼음을 대한 것 같이 정신이 상쾌해짐을 깨닫게 된다’라고 하였다. 어린 시절부터 글 잘하기로 이름을 날렸다. 명종 임금이 친히 과거시험을 보인다기에 응시하여 합격하자, 임금은 그를 큰 인물로 여기고 아주 중요하게 대접하였다. 그래서 박순이 관각(館閣)에 근무하면서 권신(權臣)들의 의견을 거슬러서 중벌에 처하려는 논의가 있었을 때 파면으로 그칠 수 있었다. 뒷날에 다시 발탁되어 두 사람의 권신(윤원형 · 이량)을 탄핵하여 쫓아내고나서야 선비들의 주장이 펼칠 수 있었고, 조정이 숙청되어 박순은 착한 무리들의 종주(宗主)가 되었다. 노수신(盧守愼)과 함께 14년 동안 정승의 지위에 있었다. 두 사람은 모두에게 무거운 신망을 얻고 있었지만 임금에게 건의하여 밝혀낸 것이 많지 않음을 애석하게 여겼다. 그렇지만 박순은 스스로 경세제민(經世濟民)에는 재주가 부족하다 여기면서 전적으로 어진 이를 천거하고 능력 있는 사람에게 양보하는 일에 힘을 기울였다. 이 때문에 이이(李珥)와 성혼(成渾)을 힘껏 추천하여 처음부터 끝까지 힘을 합해 나라를 구하려 했다. 동서분당에 이르러 박순이 이이와 성혼의 편을 든다고 무거운 탄핵을 받으며 간사한 사람이라고 지목받기에 이르렀다. 심지어는 ‘세 사람은 얼굴 모습은 달라도 마음은 하나다’라는 말까지 들었다. 그러나 임금은 ‘착한 부류끼리 상종함이 도(道)에 무슨 손상이 있겠느냐’라고 무시해 버렸다. 박순은 이미 은퇴했으나 임금은 다시 등용하려는 마음을 버리지 못했다. 이때에 이르러 세상을 떠나자 나이 겨우 67세였으니 조야에서 애석하게 여겼다. 박순은 문장(文章)에 있어서는 한(漢)이나 당(唐)나라의 격과 법도를 따르려 하였으며, 더욱이 시에 뛰어나 한 시대의 시인 종주(宗主)가 되었다. 이른바 3당 시인이라 칭찬받던 최경창(崔慶昌), 백광훈(白光勳), 이달(李達) 등은 모두 그의 문인이었으니, 이때로부터 문체가 크게 변할 수 있게 되었다. ‘사암집(思菴集)’이 세상에 나와 있다." 조목조목 분석해보면 사암의 일생과 그의 업적의 대강은 모두 열거된 셈이다.
명종(明宗)의 친시(親試)에 장원급제하여 벼슬을 시작했고, 어린 시절부터 글 잘한다는 문명이 나서 세상에 이름이 크게 났고, 화담 서경덕의 문하에 들어가 성리학을 본격적으로 연구한 학자의 지위에 올라, 당대의 성리학자 퇴계 이황과 교류하면서 학문을 논했기에 퇴계로부터 ‘맑은 얼음(淸氷)’과 같은 인품이라는 칭찬을 받았다는 것이다.
정암 조광조 등의 대학자들이 무참히 죽어간 기묘사화는 그 대표적인 참극이다. 인종이 재위 8개월에 세상을 뜨고 어린 명종이 등극하자 그의 어머니 문정왕후가 정권을 잡고 패악한 정치가 모든 백성들의 눈물만 흐르게 하였다. 이른바 인종의 외척 윤임(尹任)과 명종의 외척 윤원형(尹元衡)을 대윤과 소윤으로 부르며 이들이 싸우다가 모든 권력이 문정왕후의 친정 형제이던 윤원형에 넘어가면서 권력의 독재로 세상은 패악한 상태에 빠지고 말았다.
명종은 자신의 외숙인 윤원형의 횡포를 막아보려고 왕비 심씨의 외숙인 이량(李樑)을 등용하였으나 이량은 윤원형보다 더욱 심한 학정을 베풀어 세상은 더 비참해졌다.
당년 43세의 사암 박순은 대사간(大司諫)의 지위에 오르자 당대의 직신(直臣)이자 대사헌(大司憲)의 지위에 있던 이탁(李鐸: 1509~76)을 간곡하게 설득하여 양사(兩司)합동으로 윤원형을 탄핵하는 상소를 올렸다.
“세도를 만회하는 일은 나의 책임이다. 직위에 죽겠다(挽回世道者 吾責也 死職耳)”라는 대담한 각오 없이는 감행하기 어려운 엄혹한 시기가 그때였다.
한 번의 상소로 되지 않자 다시 상소를 올렸다. 첫번째의 상소는 을축년(1565년) 음력 8월3일이었는데 두번째 상소는 8월14일이었으니 11일 만이다.
다시 상세하게 윤원형의 부정과 비리를 낱낱이 열거하여 밝히니 윤원형의 생질인 명종도 어찌할 수 없게 되어 끝내 그를 퇴출시킬 수 있었다. 이량도 그런 방법으로 쫓아내고 마침내 윤원형에게 빌붙어 온갖 비리를 감행하던 정승 심통원(沈通源)까지 퇴출시키자 비로소 정부가 숙청되고 선비들이 사기가 앙양되어 조정으로 들어오기 시작했다.
영남에서 퇴계 이황, 남명 조식 등에게 벼슬이 다시 내려지고 대곡 성대운, 고봉 기대승이나 율곡 이이, 우계 성혼 등이 발탁되면서 착한 선비들이 조정으로 들어오자 사암 박순은 마침내 착한 무리(善類)들의 종주(宗主)가 되었다는 것이다. 대사간·대사헌, 이른바 간쟁기관(諫諍機關)의 장으로 있을 때에는 그처럼 당당하던 사암도 정승의 지위에 있으면서는 자신이 인정했던 대로 경국제세의 통치능력은 부족했던 때문인지 큰 정책의 건의는 많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모두가 인정했던 바와 같이 ‘어진 이를 천거하고 능력 있는 사람에게 양보함(薦賢讓能)’에는 뛰어나 율곡이나 우계 같은 대학자들이 나라에 봉사할 기회를 주었고, 당대의 어진 신하들이 사암의 추천으로 나라를 위해서 일할 기회를 가졌다. 퇴계 이황이 홍문관 겸 예문관 대제학에 오르는 기사가 나온다. 이 기사야말로 사암 박순이 어떤 인물인가를 그냥 증명해주는 대목이다.
“이황으로 홍문관과 예문관의 대제학을 겸하게 하다”라는 기사에 이어 “이때에 박순이 대제학이 되자 이황은 제학(提學)으로 있었는데 박순이 사양하며 말하기를 ‘높은 나이의 대석학이 다음 자리의 벼슬에 있고 제가 나이가 어리고 학문이 부족한 사람으로 감히 윗자리에 있음은 합당하지 않으니 서로의 자리를 바꾸어주기를 청합니다’라고 하자 이런 임명이 있었다. 이황도 다시 힘껏 사양하여 다시 교체되어 사암이 대제학이 되었다.” 지위야 정승의 아래이지만 만인이 선호하는 벼슬이 대제학이 아닌가. 그런 벼슬을 흔쾌히 선배 학자에게 양보할 줄 알았던 사람은 분명히 정치사의 한 획을 긋는 선비임에 분명했다. 율곡 이이와 우계 성혼을 추천하고 권장하여 나라를 건지게 하려 했던 사암은 율곡의 친구인 송강 정철과 함께 싸잡아 서인(西人)으로 몰려 치열한 당쟁의 와중에 빠지게 된다.
더구나 율곡이 세상을 떠나고, 우계가 귀향하자 사암은 조정에서 외로운 처지가 되었다. 이때를 놓치지 않고 동인(東人)의 송응개(宋應漑)·박근원(朴謹元) 등은 사암만 조정에서 나가면 권력을 손에 쥔다고 여기고 온갖 방법으로 사암을 공격하고 나섰다. 이에 지친 사암은 마침내 세상에서 물러나 은거하기를 결행했으니 외동딸이 사는 경기도 포천의 백운계곡으로 은퇴하고 말았다.
14년의 정승 생활도 마지막 겸하던 병조판서까지 모두 버리고 사위 이희간(李希幹 : 뒤에 군수 역임)이 살던 곳으로 찾아간다. 세상을 뜨기 4년 전인 63세 때의 일이다. 지금의 경기도 포천시 창수면 주원리라는 곳이다. 이곳은 옛날부터 산수가 아름답기로 세상에 이름난 곳이다. 창옥병(蒼玉屛)이라는 절벽이 백운계곡을 휘감고 있으며 맑고 깨끗한 백운계곡의 물은 바위를 돌고 돌며 세상의 근심을 잊게 해주는 곳이다. 이곳에는 당대의 시인 봉래 양사언(楊士彦) 형제들이 시주로 세월을 보내고 있었으며, 당대 명필 석봉 한호가 찾아오는 곳이어서 절벽에 많은 글씨를 써서 새기고 세상을 관조하며 사암은 말년을 보냈다. 그 곁에 이양정(二養亭)이라는 정자를 짓고 문우들이 모여들면 시를 짓고 술을 마시면서 세월을 보냈다.
적자가 없는 사암은 서자가 있었으나 그를 믿지 않고(뒷날 서자 박응서는 ‘칠서의 난’에 희생된다) 외동딸과 사위에게 의지하면서 포천에서 살았다. 거기에 묘소가 있고, 옥병서원(玉屛書院)을 후학들이 세워 그의 학덕을 기리고 있다. 우암 송시열이 지은 신도비명도 우뚝 서서 그의 일생을 소상하게 설명해주고 있다.
-시비선악 명쾌한 정승-
임금의 외숙이자 간신이던 윤원형, 왕비의 외숙인 권력자 이량, 두 권신(權臣)을 추방한 용기의 사나이 박순은 선조의 믿음직한 대신이었다.
선조가 박순을 칭찬한 말에, ‘송균절조 수월정신(松筠節操 水月精神)’이라는 대찬사를 거리낌없이 말했다. 소나무나 대나무의 곧은 절조에 맑은 물이나 밝은 달과 같은 깨끗한 정신의 소유자라는 뜻이었으리라. 한 신하에게 바치는 찬사로는 대단한 내용이다. 그만큼 지절이 높았고 깨끗한 마음의 소유자였다는 뜻이었다.
희대의 정치가 백사 이항복은 사암의 시장(諡狀)에서 “옛말에 어진 사람은 반드시 용기가 있다고 했는데 아마도 공을 두고 하는 말이다”라고 말하여 위대한 그의 용기를 찬양했다. 목격하면서 그의 제자가 되고 싶었는데 세상을 일찍 떠나 그러할 기회를 갖지 못해 안타깝다고 탄식했던 청음 김상헌은 ‘사암집’의 서문을 썼다.
사암이 세상을 뜬 지 56년 만에 병난에 잃고 흩어진 글을 모아 문집으로 만들었는데, 약간의 글이지만 시는 제법 모아졌고, 윤원형을 탄핵한 그 멋지고 용기 있는 상소문 두 편이 실려 있는 것이 너무 다행스럽다면서 사암의 인물평을 조목조목 나열했다. 한성 우윤이자 시인이던 눌재의 아우 육봉 박우(六峰 朴祐)의 아들로 태어났다. 박상은 기묘명현이고 박우는 장원급제의 문사였으니 우선 그 가계가 훌륭하다고 했다. 젊어서 화담 서경덕의 문하에서 성리학을 공부하여 동료학자들이 따라갈 수 없을 정도의 수준 높은 학자였다고 했다. 간흉(奸兇)들이 왕권을 농락할 때 그들을 쫓아낸 직절(直節)의 신하였다고 했다. 퇴계·율곡·우계 등 당대의 학자들이 가장 존숭하는 당세 제일의 인물이라고 칭찬한 사람이라고 했다. 중국의 사신들이 오면 가장 접반을 잘했기에 사암을 제대로 알아보고 ‘송나라 인물에 당나라의 시풍을 지닌 인물’이라고 칭찬했으니 조선의 인물만이 아니라 국제적인 인물이었다는 것이다. 14년의 정승 생활에 모든 녹봉은 가난한 친척이나 친구들에게 희사하고 가진 것 하나 없이 청렴결백하기가 그만한 인물이 없다고 했다. 뛰어난 문장과 시로 일세의 맹주(盟主)였으나 자신의 자랑은 일절 하지 않았다.
지은 글이나 시마다 인구에 회자하며 온 세상에 전송되었으나 자신은 숨기고 조금이라도 잘하는 선비나 학자는 극구 천거해서 좋은 벼슬과 훌륭한 역할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다는 것이다. 즉 ‘호사석재(好士惜才)’, 선비를 좋아하고 재주를 아끼는 정신이 그보다 더한 사람이 없었다고 했다.
간사한 벼슬아치는 물리치고 어진 신하는 높은 지위에 오르는 일에 늘 걱정을 아끼지 않았고 국가의 안위만 염려하여 바른 말과 곧은 마음으로 임금을 섬겨 모든 음험한 벼슬아치를 내쫓고 시비선악에 그처럼 명쾌한 정승이 없었다고 했다.
도(道)가 행해지지 못하고 올리는 상소가 시행되지 못함을 알자 관복을 벗어던지고 높은 정승의 지위를 헌신짝처럼 버리고 계곡에 숨었으니 그만한 염퇴(恬退 : 미련 없이 물러남)가 세상에 어디 있느냐고 찬양했다. 이러한 자신의 주장은 모든 조정의 벼슬아치들이 다 아는 바고 세상의 남녀노소나 귀천이 다 아는 바다. 그러니 선생은 하늘과 땅 사이의 기운이시고 국가의 보배이며 사림의 종장(宗匠)이라고 총평했다.
청음이 누구인가. 저 병자호란에 척화의 대표자로 심양에 끌려가 온갖 고초를 겪으면서도 조선민족의 혼을 끝까지 지킨 당대의 정승이자 대제학이 아니었던가.
이런 당대의 위인 사암의 혼은 어디서 태동했을까.
사암의 선대는 충주박씨로 개성에서 살았다. 조선왕조 개국 뒤에 서울에서 살았으나 난리를 피해 충청도의 공주와 회덕에 은거했다.
그 뒤 사암의 조부이자 눌재 박상의 아버지인 박지흥(朴智興)이 처가인 광주의 서씨(徐氏)마을에 정착하면서 광주 사람이 된다.
눌재의 아우 박우는 사암의 아버지로 나주로 장가들어 분가하면서 나주시 왕곡면 송죽리에서 살아가는데, 사암은 바로 거기에서 태어나 그곳이 바로 사암의 고향이다. 지금은 흔적도 없는 사암의 유적지이지만, 나무 하나가 제법 오래되어 사암을 아는 듯했고, 사암이 말을 탈 때 타고 내린 하마석 하나만
사암 박순 유적지 앞의 하마석. <사진작가 황헌만> 그 집터에서 멀지 않은 곳에 아버지 육봉 박우의 묘소가 있으니 그곳이 사암의 탄생지임은 의심의 여지가 없었다.
‘사암집’을 보면 광주와 나주를 찾으면서 지은 시가 여러 편이 있는데, 벼슬 하면서 자주 성묘를 다니고 고향을 찾았던 기록이 있으니 전라도 사람임이 분명했다. 문장은 한당(漢唐)의 품격을 되찾는 수준에 이르고 특히 시에 뛰어나 한 시대의 종주(宗主)가 되었으니, 당대의 시인들이 모두 그의 제자였다는 것이다. 조선의 문학사에서 널리 알려진 3당 시인이라던 고죽 최경창, 옥봉 백광훈, 손곡 이달이 바로 사암의 문하에서 공부한 시인이라는 것이 왕조실록의 기록이다.
사암의 많은 시에는 절창이 많기도 하지만, 유독 절창의 하나로 꼽히는 시는 ‘방조운백(訪曹雲伯)’이라는 시 2편이 있다.
그 첫째 시에 한 때 박순의 닉네임이 ‘박숙조(朴宿鳥)’였다는 전설이 있다. ‘돌길의 지팡이 소리 자던 새가 듣더라’의 자던 새의 구절이 너무나 좋아 ‘숙조’가 별명이 될 정도였다는 것이다. 그들은 모두 동인으로 언제나 사암을 공격하던 정치의 반대파였다. 허봉이 유독 사암을 공격했는데, 그의 아우 허균은 ‘시화’에서 사암을 매우 존숭하는 마음을 보였다. 사암이 별세하자 수백편의 만시(輓詩)가 지어졌는데 그중에서 우계 성혼의 시(‘挽思菴’)가 절창이었다고 허균은 평했다. 선생이 없는 초옥은 다시 찾기 힘들다면서 선생의 죽음을 슬퍼했다. 뻐꾸기가 많은 그곳의 집을 ‘배견와’라 일컬었는데, 그 지붕 위의 밤중에 뜨는 달은 선생의 일편단심을 반영해주고 있다니 얼마나 청아한 시격인가.
시인으로, 은퇴한 노재상의 서거를 슬퍼한 내용이 흔적 없이 아름다움을 보여주는 시다. 그래서 허균은 그 시가 최고의 절창이라고 칭했을 것이다. 덩실한 묘소나 우뚝 솟은 신도비, 넉넉한 모습의 서원인 ‘옥병서원’의 건물이 있어도 어딘가 쓸쓸함이 서려있다. 다행히 포천의 유림들이 해마다 서원에 제향을 올리고 충주박씨 종친회에서 묘소에 시제를 지낸다니 그것만이라도 덜 슬프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만한 학문과 문학, 그만한 정치가로서의 대인다운 사암의 후사로는 그래도 처량하지 않을 수 없었다. 이런 민족적 인물이나 위인에 대해서는 나라가 좀 나서서 유적지도 관리하고 기념사업도 펼쳐야 하지 않을까. 너무나 야박한 세태에 아픈 마음을 달래기 힘들었다.
사암이 세상을 떠나고 3년 뒤에 임진왜란이 일어나 사암의 유물이나 유저는 대부분 사라졌으며, 후손도 빈약하여 챙길 수 없었는데, 더구나 6·25 전쟁은 그곳 포천의 창수면 일대가 격전지여서 아무것도 남김없이 사라지고 말았다니 더욱 비통한 생각을 금할 수 없었다. 다행히 외증손자 때에 이르러 겨우 모은 유작을 정리해 ‘사암집’으로 간행했고, 1850년쯤인 19세기에 와서야 전라도 감영인 전주에서 목판으로 증보로 간행하여 현재까지 전해지니 그것만이라도 다행하기 그지없는 일이다. 그 큰 인물을 잊지 말아야 하리라. 이조판서 · 대제학 · 영의정의 높은 벼슬에 문학과 학문에 깊은 조예까지 인정받아 문충(文忠)이라는 시호를 임금은 내렸건만, 그의 혜택을 입은 백성들이 그를 잊어서야 되겠는가. 국민적 호응으로 사암을 기리고 기념하는 사업이 활성화되기만 기대해본다.
- 2007년 8월 31일, 9월 7일 / 박석무 단국대 이사장 · 성균관대 석좌초빙교수
|
'지켜(연재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역사의 땅, 사상의 고향] (21)-(22) 화서 이항로 (0) | 2007.12.17 |
---|---|
[역사의 땅, 사상의 고향] (19)-(20) 창계 임영 (0) | 2007.12.17 |
[역사의 땅, 사상의 고향] (15)-(16) 구암 한백겸 : 실학적 역사학 창시 (0) | 2007.12.17 |
[역사의 땅, 사상의 고향] (13)-(14) 율곡 이이 (0) | 2007.12.17 |
[역사의 땅, 사상의 고향] (11)-(12) 한음 이덕형 (0) | 2007.1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