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켜(연재자료)

[한명기가 만난 조선사람] 이지란과 설장수, 조선에 업적 남긴 귀화외국인

Gijuzzang Dream 2010. 11. 12. 00:22

 

 

 

 

 

 

 

 조선에 큰 업적 남긴 귀화 외국인, 이지란과 설장수

 

 

 

고려 말 조선 초의 장군 이지란(1331~1402)의 초상화.

흔히 ‘퉁두란’으로 알려진 그는 여진족 출신으로 조선왕조 개국과 국방체제 정비 과정에서 커다란 공을 세웠다(경기도 박물관 소장).

조선을 개국한 이성계 선조들의 행적은 이채롭다.

13세기 중반 이성계의 고조부 이안사(李安社)는 본향인 전주를 떠나 오늘날 간도에 해당하는 두만강 하류의 알동(斡東)으로 이주했다.

증조부 이행리(李行里)는 다시 함경도 영흥 부근으로 거처를 옮긴다. 두만강을 가로지르며 북방을 누비는 과정에서 이씨 집안은 이 지역에 세거했던 몽골 · 여진족과 긴밀한 관계를 맺게 된다.

고려 말 동북면 일대에서 활약했던 이성계의 주변에는 많은 여진족 유력자들이 모여들었다.

그 가운데 가장 두드러진 인물이 바로 이지란(李之蘭)이다.

북청(北靑) 부근에 살던 여진족으로 본래 성은 동(佟), 이름은 두란첩목아(豆蘭帖木兒)였다.

말 잘 타고 활 잘 쏘았던 이성계가 역시 기마와 궁술에 뛰어났던 그를 만나 의형제를 맺은 것은 행운이었다.

이지란은 이후 중요한 고비마다 이성계를 지성으로 보좌한다.

“여인이 이고 가는 물동이에 이성계가 쇠구슬을 던져 구멍을 내니 이지란이 진흙덩이를 던져 구멍을 메우고 물이 새는 것을 막았다”는 전설 같은 이야기는 실제 전장에서도 재현된다.

 

1380년(우왕 6) 이성계와 이지란은 남원의 황산(荒山)에 침입한 왜구 토벌전에 출전한다.

왜구의 공세에 고전을 면치 못하던 고려군은 두 사람의 신기에 가까운 활 솜씨 덕분에 승리를 거둔다.

이성계가 적장 아기발도의 황금빛 투구를 쏘아 떨어뜨리자

이지란은 노출된 얼굴을 명중시켜 역전승을 이끌어낸다.

황산전투 승리를 계기로 이성계는 거국적 영웅으로 떠오르고 입신의 발판을 마련한다.

 이지란은 이성계가 자만할까 경계하여 그에게 “재주를 함부로 드러내지 말라”고 충고했다.

1392년 이성계가 즉위하면서 개국공신에 오른 이지란의 활약은 더욱 빛난다.

경상도로 내려가 왜구를 막는 대책을 마련하는가 하면

함경도에서는 여진인들을 다독여 변경을 안정시키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훗날 이식(李植)은

“이지란이 태조를 보좌하여 남쪽과 북쪽 지방을 평정할 때 세운 공적은 삼한(三韓)을 뒤덮는다”고 찬양했다.

태조대에 활약한 이민족 출신 인물로는 설장수(偰長壽)도 눈에 띈다.

건국 직후 명과의 외교에서 능력을 발휘한 그는 본래 회골(回鶻: 위구르) 출신이었다.

이들을 포용하여 공을 세우도록 이끌었던 이성계의 혜안이 돋보인다.

16세기 이후 여진족을 ‘오랑캐’로 백안시하여 결국 국가적 위기를 불렀던 상황을 돌아보면 더욱 그러하다.

바야흐로 국내 거주 외국인이 100만 명을 훌쩍 넘고 ‘다문화가정’이 낯설지 않은 시대가 되었다.

‘순혈주의’에 매달려 출산율 저하와 인구 감소만을 걱정할 것이 아니라

다문화 사회를 포용하면서 사회 전반에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는 지혜를 모아야 할 때다.

- 한명기 명지대 교수 · 한국사

- 2010.09.16 중앙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