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아일체(物我一體) 속 자연과 벗하다
'별서명승'이란,
사대부들이 살았던 가옥에서 좀 떨어진(0.2km~2km 정도) 곳에
자기만의 심신수양과 휴식, 학문을 위해서 별도로 지어놓은 농막과 같은 장소를 말하는데,
특별히 경치가 아름다워 명승적 가치가 있을 경우 '별서명승(別墅名勝)'이라 칭한다.
별서명승으로서의 조건은 조영자에 대한 생활 기록이나 삶의 흔적이 남아 있어야 하고,
바라보이는 경치가 고유성, 희귀성, 심미성, 특수성 등을 보유해야 할 것이다.
경치도 아름다워야 하지만 사람이 기거하고, 흔적이 있을 때
비로소 경치가 돋보이고, 경승의 의미가 있다 할 것이다.
다음은 조선후기 이재 선생(1680-1746)의 후손 이기용(李奇用)이 쓴 <학천정기(鶴泉亭記)>에 나타난
명승의 의미를 설명한 대목이다.
학천정의 건립 경위와 중수 과정이 소상하게 밝혀져 있으며, 특히 산수의 아름다움이 인간에 의해
더욱 아름다워지고 오래 전해질 수 있다는 사실을 강조하며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땅은 산수에 의해 아름다워지지만, 때에 따라 드러나기도 하고 드러나지 않기도 한다.
그러므로 정자(程子)가 낙사(洛社)에서 수계(修契)를 개최하여 낙사가 드러나게 되었고,
주자(朱子)가 무이구곡에서 뱃노래를 부르자 무이구곡이 드러났다.
만약 낙사와 무이구곡이 두 선생을 만나지 못했다면
이곳은 예나 지금이나 하나의 골짜기에 불과했을 것이다.
우리나라에 있어서도 석담(石潭)은 율곡을 만나 드러났고, 화양동은 우암을 만나 드러났다.
…… 우리 도암(陶菴) 선생에 이르러 이곳이 드러나게 되어 학습하고 노니는 장소로 사용되었다.
종제인 지암공(知菴公)을 시켜 조그만 집을 짓게 하여 둔산정사(屯山精舍)라 이름 붙이고
당호를 성심(惺心)이라 불렀다.
……우리의 道가 융성하여졌고, 산수는 이것 때문에 드러나게 되었다.
地以山水勝, 而有時乎顯晦. 故程夫子修於洛社而洛社顯. 紫陽子櫂歌武夷而武夷顯. 向使洛社武夷不遇兩夫子則只是古今一壑而已. 至於我東, 石潭遇栗翁顯, 華陽得尤翁顯.
……至我陶菴先生而顯, 於是爲藏修之遊息之. 使從弟知菴公 起數椽扁之 以屯山精舍, 堂曰惺心,
…… 吾道之以隆 山水因之而顯矣.
별서명승의 지정현황 및 형성배경
지금까지 국가지정명승 중 별서명승은 11개소 인 것으로 추정되며,
이는 국가지정명승 68개소의 16.2%에 해당되는 수치이다.
이들 별서명승은 서울성북동의 성락원, 부암동의 백석동천, 전남 완도의 부용동원림,
담양의 소쇄원, 명옥헌, 식영정, 순천의 초연정, 경북 예천의 초간정, 선몽대일원, 구미의 채미정,
안동의 백운정 및 개호송숲 일원 등 서울지역 2개소, 전남지역 5개소, 경북지역 4개소 등이다.
조선전기에서 중기의 선비들은 훈구파와 사림파로 구분되었고,
여기에서 희생된 김종직을 위시로 한 사림파들은
무오사화(1498), 갑자사화(1504), 기묘사화(1519), 을사사화(1545)등의 4대 사화를 겪게 되었다.
이후 다시 사림파들은 영남사림파와 기호사림파로 나뉘어 학문적 경쟁은 물론 정치적 경쟁도 병행하였다.
이런 과정에서 정치에서 물러난 선비들이
고향이나, 별도의 한적한 전원지를 찾아 유일자적하는 풍토가 생겼으며,
여기에서 탄생된 것이 정자를 중심으로 한 심신수련의 공간이자 휴식처인
'별서(別墅)'요, '별서명승(別墅名勝)'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별서명승의 형성배경은 양반 위주의 정치체제, 토지소유로 인한 튼튼한 경제구조,
당쟁과 학문적 대립에 따른 사대부들의 현실 도피적 은일관, 도교, 유교적 자연관이 주원인이다.
또한 우리나라는 험준하고 다양한 형태의 지형으로 산수가 좋고 경승지가 많아 은둔, 은일하기가 용이했으며 기후적으로 온난하고 식생이 자라는데 유리한 점 등의 지리적 여건으로 자연의 아름다움과 우주를 논할 수 있는 장소로서 독특한 별서명승문화를 이루는 근간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별서명승의 입지적 특징은 산수가 수려한 경승지에 위치한다는 점과 인간의 정주생활이 이루어지는 가옥과 완전히 격리되지 않은 도보 권에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마을과의 격리방법은 시각적 격리, 관념적 격리, 복합적 격리 등으로 분류된다.
별서명승의 공간구조는 담장 안의 내원, 담장 밖의 가시권에 속하는 외원,
정원공간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는 영향권원의 3개 권역으로 나눌 수 있으며,
감상 대상은 단순히 담장 안의 내부공간을 중심으로 한 것이 아니고 외부의 경관까지를 포함하였다.
그 이유는 앞산의 봉우리, 앞에 전개되는 시냇물과 들판의 풍경, 서산에 지는 달 등이
시문이나 행장기록에 자주 표현되고 있는 것에서도 나타난다.
따라서 별서명승의 공간구조는 적어도 외원을 포함한 영역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별서명승 지정 확대의 필요성
일본의 경우 357개소의 명승(특별명승 35개소 포함)중 198개소가 古정원으로서 명승으로 지정되었으며,
이중 도쿄의 소석천정원(小石川庭園), 육의원(六義園), 강산후락원(岡山後樂園),
교토의 무린암(無隣庵), 청풍장(淸風莊) 정원 등 20%이상(77개소 추정)이
고관대작 또는 선비들의 심신수련처이자 휴식처로 지정된 일종의 별서명승이라고 생각된다.
중국은 10㎢이상 대단위 지역만을 국가명승으로 지정하기 때문에, 국가급 풍경명승구에 별서명승은 없고
사성급 명승에 관리들의 별서가 명승으로 지정되었다.
소주 졸정원이 2007년 5월에 5성급 풍경명승으로 지정되었고,
상해예원, 사천성의 대읍류씨장원(大邑劉氏庄園), 강소성의 소주사자림, 망사원, 류원,
양주의 개원(介園), 하원(何園) 등이 4성급풍경명승으로 지정된바 있다.
그러므로 우리의 자연유산중 경치도 아름다우면서 선조들의 생활 흔적이 남아있는 별서공간들을
복합유산의 성격을 띄고 있는 별서명승으로 지정해 나갈 필요가 있다.
<동국여지승람>에 보면 조선후기 존재했던 정자는 1,200개 정도 되며,
현재는 1,500개 정도 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중 200개 정도는 조영자가 분명하고, 행장 및 기록이 있어서 정밀조사해 볼 가치가 있다.
또한 훼손의 정도가 심하지 않으면서 조영자가 조선시대를 대표할 수 있는 인물로 사료적 가치가 큰 경우,
자연유산보존은 물론 국민적 활용측면에서 별서명승으로 계속 지정해 나가야 할 것이다.
삶의 흔적이 물씬 풍기면서도 자연승경이 아름다운 문화유산 별서명승.
단순한 사적이나 시도기념물로서만 지정 관리 할 것이 아니라 명승으로 지정하고 보존 관리함으로써,
국민들의 정서에 부응하고 문화유산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 이재근 문화재전문위원, 상명대학교 부총장
- 2010-08-12, 문화재청, 월간문화재사랑 |
'찾아 떠나고(답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여, 공주 - 잃어버린 왕국 백제왕궁 (0) | 2010.09.30 |
---|---|
자전거로 둘러보는 유적도시 - 경주, 공주, 부여, 익산 (0) | 2010.09.14 |
진천 농다리 - 천년을 이어온 동양최고 돌다리 (0) | 2010.02.20 |
옛길에서 만난 사람 영산포, 영산포 사람들 (0) | 2010.02.20 |
봉은사 판전(板殿) (0) | 2010.0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