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일 속의 신라 중장기병(重裝騎兵)
1600년만에 그 완전한 실체를 세상에 드러내다 !
중무장하고 말 탄 삼국시대 중장기병 장수가 1600년 만에 무덤 밖으로 걸어나왔다.
4~6세기 신라 왕족 · 귀족의 집단묘역으로 알려진 경주 쪽샘지구에서
중장기병이 착용한 갑옷 · 마구류가 온전한 모습으로 출토됐다.
![]() |
삼국시대 중장기병의 모습 ⓒ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
문화재청(청장 이건무)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소장 지병목)는
경주 황오동고분군(사적 제41호)내 쪽샘지구1 발굴조사에서 출토된
중장기병(重裝騎兵, 중무장을 하고 말을 타고 싸우는 무사)의 말에 착용하는 각종 보호 장구들인 마구류(馬具類)와
사람이 착용하는 철제의 각종 보호 장구들인 갑주류(甲冑類) 등 중요 유물을 공개했다.
![]() |
경북 경주시 황오동 고분군 쪽샘지구 C10호묘 주곽(主槨)에서 출토된 말의 갑옷, 마갑(馬甲). 서쪽에서 동쪽 방향으로 총길이 230㎝가 넘는 마갑이 정연하게 깔려 있으며 아래에는 토기들이 함께 부장돼 있다. ⓒ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
이번에 보고되는 유적은 경주 쪽샘지구 내에 위치한 고분으로,
일제강점기 때 부여된 고분 호수인 53호분의 동쪽에서 확인된 주부곽식목곽묘(主副槨式木槨墓,
하나의 봉분 속에 2개의 덧널이 있는 무덤구조, ‘쪽샘지구 C10호묘’)이다.
그림 1) C10호 목곽묘 전경
무덤은 동-서 방향으로 땅을 판 후,
피장자(被葬者, 무덤의 주인공)가 묻히는 주곽(主槨)과 부장품을 넣는 부(장)곽(副葬槨)을 따로 만들었다.
주곽의 크기는 묘광(墓壙, 무덤을 만들기 위해 땅을 판 구덩이) 440×220cm, 목곽(木槨) 380×160cm이며,
서쪽에 위치한 부곽은 묘광 260×220cm, 목곽 210×160cm의 규모를 갖추고 있다.
특히 주곽에선 30개 이상의 꺾쇠가 발견됐다.
그림 2) C10호 목곽묘 주곽 전경
목곽 안 바닥에 마갑(馬甲, 전투에서 말의 보호를 위해 착용된 갑옷)을 깔고
그 위에는 말을 탄 장군이 입었던 것으로 추정되는 찰갑(札甲 · 비늘식 갑옷)이 놓인 상태였다.
마갑은 목곽의 바닥에 서쪽에서 동쪽방향으로
목 · 가슴부분, 몸통부분(130×100cm), 엉덩이부분의 순으로 정연하게 깔려있다.
몸통부분 마갑 위에는 무덤의 피장자로 추정되는
장수의 갑옷인 찰갑으로 된 흉갑(胸甲, 가슴가리개, 60×50cm)과 배갑(背甲, 등가리개)을 펼쳐 깔았는데,
시신이 찰갑을 입은 상태로 안치되지 않고 찰갑 위에 안치됐다고 보는 이유다.
흉갑과 배갑 둘을 옆구리에서 여미게 만든 이른바
‘양당식(裲當式 · 앞뒤 양부분으로 만들어 열 수 있도록 한 모습)’ 구조다.
아마도 피장자의 주검은 이들 위에 안치하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갑옷의 북편에 환두대도(環頭大刀, 둥근고리자루긴칼, 84cm)와
녹각병도자(鹿角柄刀子, 사슴뿔모양 자루갖춤 작은칼, 작은 칼의 손잡이를 사슴뿔로 만들어 끼운 것)를
두었는데, 환두의 위치가 동쪽을 향한 것으로 보아 피장자의 머리 방향은 동쪽을 향한 것으로 파악된다.
머리맡에는 고배(高杯, 높은 다리 달린 잔), 장경호(長頸壺, 목이 긴 항아리) 등의 토기류와
철모(鐵矛, 쇠로 만든 창), 철부(鐵斧, 쇠도끼) 등의 철기류가 매납되어 있다.
찰갑의 배갑(背甲, 등 가리개) 하단부에는
다리를 보호하는 대퇴갑(大腿甲) 등으로 추정되는 소찰(小札, 작은 철편)들이 연결되어 있다.
주검의 발치에서
무사들이 착용하는 만곡종장판주((灣曲縱長板胄, 굽은 형태의 긴 철판을 세로로 연결하여 만든 투구)와
목가리개(頸甲), 찰갑의 부속류인 견갑(肩甲, 어깨를 보호하는 갑옷), 비갑(臂甲, 팔을 보호하는 갑옷)
등으로 추정되는 다량의 소찰이 무더기로 출토되었다.
포항 옥성리 29호 출토 만곡종장판주(몽고발형주, 복발형주)
비교적 온전한 본체와 볼가리개에 비해 복발이 남아 있지 않은데,
가죽 등으로 만든 복발을 장착한 때문으로 보인다.
부곽에는 마주(馬冑, 말 얼굴가리개)와 마구 부속품인 안교(鞍橋, 안장틀),
등자(鐙子, 발받침), 비(轡, 재갈), 행엽(杏葉, 말의 치레거리) 등의 마구류와
대호 (大壺, 큰항아리), 유개사이부호(有蓋四耳附壺, 뚜껑이 있고 4개의 손잡이가 어깨부분에 있는 항아리),
단경호(短頸壺) 등 호류(壺類)가 출토되었는데, 출토상태는 매우 양호한 편이다.
연대는 고배 등 토기의 형식으로 보아 5세기 전반경으로 추정된다.
그림 3) C10호 목곽묘 부곽 전경
지금까지 우리나라에서는 마갑, 마주, 갑옷 및 관련 부속구들이 단편적으로 소량씩만 출토되었다.
다만, 마갑의 경우, 실물로 원형을 추정할 수 있는 유일한 예가
지난 1992년도에 문화재청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에 의해 조사된 함안 마갑총(馬甲塚)에서 있었지만
이번 출토품은 그보다 훨씬 양호하고 완전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그림 4) 주곽내 마갑의 목 · 가슴부분과 투구, 목가리개 등 출토모습
또한 갑옷의 경우, 지금까지 판갑(板甲, 삼각형이나 장방형의 큰 철판으로 만든 갑옷)은 종종 출토되어
그 원형을 파악하는데 어렵지 않았지만
찰갑의 경우, 일부 부속구만이 출토되어 그 존재만이 확인될 뿐,
그 원형은 고구려 고분벽화(안악3호분, 쌍영총, 삼실총, 개마총 등) 등을 통해서만 짐작할 수 있었다.
고구려 안악 3호분 대행렬도
이번 쪽샘유적 목곽묘(C10호묘)에서와 같이
한 개의 고분에서 마갑, 마주 등의 마구류 일체와 찰갑과 그 부속구 일체인 갑옷류가 함께 출토되었다는
사실은 그 유례를 찾아보기 힘들며
이번 발굴을 통해 고분벽화에서만 볼 수 있었던 삼국시대 중장기병의 모습을
실물자료를 토대로 완벽하게 재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4~5세기, 신라 발전의 토대를 마련한 중장기병대의 중심 역할을 담당하였을
한 장수의 완연한 모습이 약 1,600년 만에 되살아나게 된 것이다.
향후,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에서는
이번 발굴조사에서 출토된 완전한 형태의 마구류, 갑주류 등을 보존처리하여 공개할 예정이며,
그 결과는 이 방면의 조사연구 및 복원에 획기적인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건무 문화재청장은 “5세기 신라는 고구려로부터 중장기병을 받아들여 국방력을 키웠고
이를 토대로 삼국통일을 이뤄냈다”며
“전환기에 있던 신라를 해명하는 데도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담당자 :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박종익, 박윤정
전화번호 : 054) 777-8805
- 2009년 06월 02일 문화재청
- 경주 쪽샘지구는 경주시 황오동 361번지를 중심으로 형성된 4~6세기대 신라의 왕족과 귀족들의 집단묘역으로 알려진 곳으로, 다양한 고고학적인 증거가 남아있을 것으로 추정되어 주목받고 있는 곳이다. [본문으로]
'나아가는(문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엉이에 얽힌 동서양의 비밀 (0) | 2009.06.06 |
---|---|
흥덕왕대 금제규정으로 본 신라 공예문화 (0) | 2009.06.03 |
합스부르크 家의 몰락을 가져온 근친결혼 (0) | 2009.05.28 |
한지(韓紙)를 이용한 옛 문서 복원 (0) | 2009.05.27 |
바티칸에서 건너온 '호신십자고상(護身十字苦像)' (0) | 2009.05.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