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주짱의 하늘꿈 역사방

나아가는(문화)

능묘(陵墓) 조각

Gijuzzang Dream 2008. 11. 28. 15:52

'나아가는(문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능묘조각

 

 

 

일반적으로 능묘조각이라고 하면 능묘를 옹위하기 위해 봉분 앞에 배치하는

문무석인(文武石人)과 석수(石獸), 석등, 그리고 호석(護石)에 장식된 부조상 등을 말한다.

그러나 넓은 의미에서 보면

시신과 함께 묻는 부장용 토우(土偶)나 용(俑, 인형) 등도 능묘조각에 포함될 수 있다.

능묘 주위에 석조물을 배치하는 풍습은 중국 전한(前漢) 시대에 시작되었다.

우리나라에서는 통일신라시대인 8세기 중엽에 조성된 성덕왕릉에서 처음으로

문무석인과 십이지상이 배치되는 능침제도가 확립되기 시작하여,

9세기경의 원성왕릉에서 완성을 보게 되었다.

8세기 중엽에서 9세기 중엽에 걸쳐 만들어진 문무석인, 석자사, 십이지상등의 능묘조각은

그 당시 뛰어난 불교조각의 솜씨에 힘입어 힘찬 모델링, 정교한 세부 조각, 사실적인 신체 묘사 등으로

우리나라 능묘조각의 절정을 이루었다.

고려시대에 이르면 봉분의 호석과 난간이 통일신라시대의 전통을 그대로 따르고 있으나,

일시 쇠퇴하였다가 14세기 중엽의 충목왕릉인 명릉(明陵)에 이르러 능묘조각이

다시 정비되기 시작하였고, 14세기 말의 공민왕의 현릉(玄陵)과

그의 왕비 노국공주의 정릉正陵에 이르러 능침제도가 완성되었다.

 

조선시대에는 기본적으로 공민왕릉의 능침제도를 그대로 따랐으나,

양과 호랑이상이 두 쌍씩 봉분 주위에 배치되고, 문무석 뒤에 석마(石馬)가 등장하였다.

태조의 건원릉에서 보이는 이러한 배치 정형은 『국조오례의』를 따른 것으로서,

그 기본형은 조선시대 전 시대에 걸쳐 일관되게 쓰였다.

전통시대에 있어서 풍수적인 입장은 지상에 조성하는 모든 건축물에 필수적인 조건으로 간주되었다.

특히, 왕릉이나 왕릉급 무덤의 경우에 그것은 무엇보다 우선되어야 할 중요한 과제였다.

크게는 입지나 좌향(坐向) 문제에서부터, 작게는 능묘 장식에 이르기까지

모든 부문에 걸쳐 풍수논리가 적용되지 않는 법이 없었다. 풍수적인 고려와 함께

명계(冥界)에서 생활하는 죽은 자의 안녕을 빌기 위한 장치도 마찬가지로 중요했다.

토우나 토용 같은 것을 만들어 부장함으로써 사자(死者)가

명계에서 편안하고 안정된 생활을 하도록 꾀했다.

무덤과 관계된 모든 것은 살아 있는 자가 죽은 자에게 할 수 있는 최선의 배려였다.

 

 

흥선대원군묘의 고석(鼓石) 귀면(경기 남양주시화도읍 장현리)

               

능묘를 사악한 잡귀로부터 지키는 신상에는 십이지상과 귀면상이 있다.

십이지상은 봉분을 둘러싸고 있는 호석에 주로 조각되지만,

귀면은 오직 고석에만 새겨진다. 무덤 앞의 상석(床石)을 혼유석(魂遊石)이라고 부른다.

그것은 묘제를 지낼 때 영혼이 나와서 이곳에서 후손이 올리는 제수를 흠향한다고 생각하여

배치한 자리이기 때문이다.

조상의 영혼이 명계에서 나와 후손들이 올리는 제수를 흠향할 때

잡귀들이 모여들어 방해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막으려는 의도에서 상(床) 다리에 새긴 것이다.

그런데 무서워야 할 귀면의 표정이 웃는 낯이다.

한국인의 모나지 않은 품성이 여기에도 나타나 있는 것이다.

 

 

 

강동 고분출토 청동제십이지신상(국립경주박물관 소장)

     

 

경주 용강동 고분에서 출토된 이 청동제십이지상은

7, 8세기에 이르는 시기의 신라 지배계급의 것으로 추정되는 석실무덤에서 발견되었다.

이곳에서 출토된 청동제 십이지상은 우리나라 고분 발굴사상 처음으로 출토된 것으로,

석실의 네 벽에 각 3점씩 배치한 것으로 보이지만,

5점은 결실되고 쥐, 소, 호랑이, 토끼, 말, 양, 원숭이상만 확인되었다.

모두 하반신에만 옷을 걸치고 상반신은 옷을 입지 않은 입상 자세를 취하고 있다.

옷은 여러 겹의 주름을 주어 부드럽게 묘사되어 있으며,

두 손을 가슴 높이까지 올려 마주잡고 있는데, 공수(拱手) 자세를 표현하려 했던 것으로 보인다.

 

 

 

유릉의 무인석(경기 남양주시 금곡동)

                

유릉(裕陵)은 조선의 마지막 왕인 제27대 순종황제와

그의 비 순명효황후 민씨, 계비 순정효황후 윤씨의 능으로

고종황제와 명성황후의 합장릉인 홍릉과 같은 묘역에 있다.

홍릉과 유릉, 즉 홍유릉은 철종 이전의 무덤과 다른 형식을 취하고 있다.

고종을 황제로 칭하게 됨에 따라 황제의 능으로서의 위엄을 갖추기 위해

석물의 규모나 종류를 달리했고, 임금의 침실, 제사 지내는 방의 위치도 달리했다.

유릉은 12면의 면석에 꽃무늬를 새긴 병풍석과 12칸의 난간석을 세웠다.

무덤 아래에는 침전이 정자각을 대신하였으며 그 아래 문무인석, 기린, 코끼리, 사자상 등을 배치하였다.

특히 문인석은 규모가 장대하고 조각수법이 정교하 여황제능의 문인석으로서 손색이 없다.

 

 

 

흥선대원군묘의 문인석(경기 남양주시 화도읍 창현리)

             

보기 드물게 미소를 짓고 있는 문인상이다. 종전의 경직되고 엄숙한 문인상과 비교되는 부분이다.

무인상이 있는 곳에 문인상이 있고, 문인상이 있는 곳에 무인상이 있다.

두 상은 항상 같이 있음으로 해서 비로소 완전한 의미를 가지게 된다.

武라는 것은 병기로써 나라와 민생을 지키고 정의를 수호하는 것이다.

武를 제외한 모든 문화를 文이라 할 때 武는 文을 보전하기 위해 필요한 것이다.

武는 文의 자기부정으로 나왔지만, 실은 자기 보전으로 돌아가는 것이다.

요컨대 武는 오직 文을 위해서만 필요한 것이기 때문에 그 자체만으로 존재할 의미가 없는 것이다.

文은 목적이요 武는 수단이며, 文은 내적이요 武는 외적인 것이다.

이 두 가지 중 하나라도 없어서는 안 된다.

흥선대원군묘의 무인석, 문인석도 그런 면에서 다를 것이 없다.

 

 

 

유릉의 해치상(경기 남양주시 금곡동)

             

정수리에 뿔이 하나 나 있는 것으로 봐서 이 동물상이 해치임을 알 수가 있다.

옛 문헌에 의하면, 해치는 정수리에 뿔을 하나 가지고 있으며,

죄 지은 사람을 찾아내는 신통한 재주가 있다고 한다.

순임금 때 고요(皐陶)라는 현명한 신하가 있었는데, 순임금의 지시로 형벌을 담당했다.

그는 형벌을 엄격하게 적용하여 어지러운 풍기를 바로잡았는데,

어떤 사람이 죄가 있는지 없는지를 가려야 할 때 그는 해치로 하여금 그 사람을 받게 하였다.

그러면 해치는 죄가 있는 사람은 뿔로 받고 죄가 없는 사람은 받지 않았다고 한다.

경복궁 광화문 앞에서도 해치를 볼 수 있다.

해치상을 궁궐 문 앞에 세우는 제도는 중국 초(楚)나라 때부터 있었다.

당시에 해치상을 궁문 앞에 세워두고 총채라 하여

드나드는 관원들에게 해치의 꼬리를 쓰다듬게 했다고 하는데,

그 뜻은 마음속의 먼지를 털어내고 자경(自警)하는 마음을 가지게 하려는 데 있었다.

 

 

 

유릉(裕陵)의 사자상(경기 남양주시 금곡동)

                  

왕릉에 사자가 처음 등장한 것은 통일신라시대의 원성왕릉에서이다.

원성왕릉의 사자의 모습은 불국사 다보탑이나 분황사탑의 사자상과 유사한데,

이들 사자상은 엉덩이를 땅에 붙이고 앉아 가슴을 내밀어 위엄 있고 당당한 자세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유릉의 사자상은 위엄보다는 유약함이 느껴지고

활달한 생동감보다는 경직된 장식성에 치우친 감이 있다.

사자 목에 달려 있는 방울은 벽사의 기능을 가진 것으로,

잡귀들이 가장 싫어하는 것이 금속성 소리라는 전통적인 속신(俗信)에서 나온 것이다.

 

 

 

흥선대원군묘(興園)의 망주석과 세호(細虎) (경기 남양주시 화도읍 창현리)

                 

왕릉 망주석의 용도를 풍수적인 관점에서 본다면 수구(水口)막이라 할 수 있다.

명당수가 만나 흘러나가는 입구에 있는 작은 산이나 바위 등을 풍수가들은 수구사(水口砂)라고 부른다.

수구사가 있으면 물 흐르는 속도가 느리게 조정되어 명당의 기운과 생기가 보전된다고 풍수가들은 믿는다.

망주석이라는 수구막이에 붙어있는 작은 짐승을 세호(細虎)라 한다.

일반적으로 능을 기준으로 해서 왼쪽의 것은 올라가고, 오른쪽의 것은 내려오는 모습으로 조각되어 있다.

상승과 하강의 대비는 양기는 북돋우고 음기는 누른다는 의미를 지닌다.

그런데 능묘에 따라서는 좌우가 바뀌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것은 왕의 업적, 혈통 등과 관련이 있다.

조종(祖宗) 개념에 따라 시호에 ‘조(祖)’자가 붙은 왕의 능은 좌상우하(左上右下),

‘종(宗)’자가 붙은 왕의 능에는 좌하우상(左下右上)의 형태로 조각된다.

실제로 숙종, 경종, 헌종, 철종 등 宗자 돌림 왕릉의 세호는 좌상우하로 되어 있고,

영조, 정조 등 祖자 돌림의 왕릉들의 세호는 우상좌하 형식으로 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결국 세호는 종조(宗祖) 신분을 새긴 풍수문양이라고 할 수 있다.

 

 

 

원성왕릉의 석사자(경북 경주시 외동읍 괘능리)

                

지금까지 괘릉으로 불리던 원성왕릉은 통일신라시대 능침제도의 완성을 보여주는 능이다.

괘릉이라는 이름은 본래 이곳에 작은 연못이 있어

수면위에 왕의 유해를 걸어 안장했으므로 그렇게 불렀다는 속설에 연유한다.

봉분을 두르고 있는 호석, 호석에 조각된 십이지신장상,

무덤 앞에 배치된 무인석의 활달한 조각 수법은

당시 신라인의 문화적 독창성과 예술적 감각을 유감없이 보여준다.

특히, 이 능에는 다른 데서 찾아 볼 수 없는 사자석이

능과 문무인석 사이에 동서남북으로 배치되어 있다.

한(漢)나라 때부터 무덤을 조성하고 그 속에 진묘수(鎭墓獸)라 하여

무덤을 지키는 파수꾼을 입구 쪽에 배치하는 풍습이 있었는데,

이 석사자는 무덤 밖에서 무덤을 지키는 진묘수인 셈이다.

 

 

 

김유신묘 호석의 십이지신장상, 용(경북 경주시 충효동)

                 

김유신 묘의 십이지신상은 평면부조로 새겨져 있는데,

조각 솜씨가 완숙한 경지에 도달해 있음을 한눈에 알 수 있다.

자태가 부드러우면서도 세련되어 있어 통일신라시대의 조각 중에서도 뛰어난 작품으로 평가되고 있다.

얼굴 부분은 매우 사실적으로 묘사하였고, 신체는 거의 정면으로 표현하되 약간의 굴곡을 주었다.

바지와 포(袍)를 입고 두 가닥의 띠로 허리를 묶고 있는 형태로 조각되어 있다.

왼손으로 검을 잡고 오른손으로 보주(寶珠, 여의주)를 잡고 있는 것으로 보아

불교와의 관련성이 있을 것으로 추측된다.

 

 

 

김유신묘 출토 납석제 십이지신상, 돼지(국립경주박물관 소장)

                   

김유신 묘역에서 납석으로 만든 해상(亥像)과 묘상(卯像), 오상(午像)이 발견되었는데,

이 상은 그 중 하나이다. 높이가 30㎝ 정도로 작고, 형태는 갑주무장상으로 되어 있다.

현재 발견된 것은 해상과 묘상과 오상뿐이지만,

당시에는 유상과 자상도 배치되지 않았나 생각되는데,

그 이유는 열두 방향의 기본 축이 되는 것이 동남서북이라고 할 때,

동쪽을 관장하는 토끼와 남쪽을 관장하는 말의 상을 배치했다면

서쪽과 북쪽을 각각 관장하는 닭과 쥐도 향방에 맞는 위치에 배치했을 것으로 추측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납석제 십이지신상은 능묘가 조성된 뒤에 보충한 것으로 보이는데,

그렇게 한 이유는 확실히 밝혀지지 않고 있다.

 

 

 

전傳 민애왕릉 십이지신상(국립경주박물관 소장)

             

이 납석제 십이지상은 신라의 민애왕의 능으로 전해오는 봉분 주변에서 발견되었다.

돼지(亥), 쥐(子), 닭(酉)을 표현한 것인데, 이 밖에 소(牛)가 하나 더 나왔다.

이들은 무덤의 호석 받침돌 바깥을 따라서 판 작은 구덩이에서 출토되었는데,

모두 무덤을 등진 채 놓여 있었다.

평복 차림에 두 손을 가슴 앞에서 모은 공수자세의 좌상으로 손은 길게 늘어진 소매 속에 감추어져 있다.

상 전체에 생략이 심하고 단순 소박하여 추상성이 강하지만,

얼굴에는 각 동물들의 속성이 비교적 잘 표현되어 있다.

 

 

 

유릉의 코끼리상(경기 남양주시 금곡동)

          

유릉에는 돌로 조각한 사자, 낙타, 말, 기린 등의 동물상이 도열해 있는데,

이 코끼리상도 그 중 하나이다. 코끼리는 우리나라에서는 볼 수 없는 동물이지만

‘코끼리 상(象)’이 ‘상서롭다’는 뜻의 ‘상(祥)’과 발음이 같다는 데 연유하여

길상의 상징으로 장식미술에 널리 애호되었다.

특히 큰 코끼리는 화평(和平), 역량(力量), 장엄(莊嚴), 선량(善良), 용감(勇敢)과 같은

상징적 의미를 가지고 있어 왕릉 장식 조각상으로 자주 활용된다.

- 허균 

- 경기문화재단, <기전문화예술>

 

 

 

 

 

 

남한의 마지막 호랑이  (0) 2008.12.03
융건릉에서 배우는 왕릉조각의 조형미  (0) 2008.11.28
우리 옛 장신구(裝身具)  (0) 2008.11.28
가평 백자가마유적 - 백자철화용항아리 발견  (0) 2008.11.20
脫신화, 脫정치화로 본 이응로와 윤이상  (0) 2008.1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