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청량리역은 동대문구의 상징이자 서울과 경기 동북부 및 강원지역을 이어주는 관문이다. 하루에도 수백 차례 열차들이 이곳을 들고 나면서 사람들과 소식을 실어나른다. |
동대문구엔 동대문이 없다. 정확히 33년 전인 1975년 10월 종로구에게 뺏겼다. 사람이 없어서 뺏긴 게 아니라 너무 많아서 뺏겼다. 당시 동대문구에 살던 인구는 74만명에 달했다. 서울시내 15개 구에서 단연 1위. 일부 지역은 성북구와 성동구로 편입됐고, 지금의 동대문이 자리한 지역은 종로구로 넘어갔다. 그럼에도 구 인구가 한때 100만명에 육박해 결국 2개 구로 나눠졌다. 중랑구가 그렇게 만들어졌다.
하지만 2008년 10월 현재, 동대문구민은 38만명도 채 되지 않는다. 강산이 세 번 바뀌는 동안 쇠락을 거듭했던 것. 지역도 세월만큼 쪼그라들고 초라하고 옹색한 모습으로 변했다. 1943년에 구가 설립돼 올해로 65세가 된 노년의 도심, 동대문구는 이제 그 속에서 껍질을 벗듯 변화의 용틀임을 꿈꾸고 있다.
청량리 서울약령시 · 경동시장
10월의 청량리 하늘은 눈이 시리도록 파랬다. 햇빛은 맑고, 바람은 투명했다. 그 바람을 타고 향긋한 약초 냄새가 코끝을 자극했다. 동대문에서 청량리를 잇는 왕산로엔 ‘서울약령시 한의약 문화축제’를 알리는 청사초롱이 가득했다. 축제는 올해로 14회째. 동대문구 제기동 서울약령시와 경동시장은 전국에서 가장 큰 한약재 시장이다. 국내에서 유통되는 한약재의 80%가 이곳을 거쳐간다. 이 지역에 한약재 시장이 형성된 것은 1960년대 중후반부터다. 교통 여건과 관계가 깊다.
박상종 서울약령시협회 회장의 이야기다. “중앙선, 경춘선 등을 통해 강원도와 경기도 동북쪽에서 많이 생산되는 한약재들이 청량리역과 성동역(1971년에 사라졌다. 현재 지하철 1호선 제기동역 옆 한솔동의보감(구 미도파백화점) 건물 자리가 바로 역사가 있던 곳)으로 집결되면서 자연스레 시장이 생겼어요. 지금은 사라지고 없지만 근처 동마장 시외버스터미널을 통해서도 한약재가 많이 들어왔죠. 처음에는 6, 7개에 그쳤는데 1970년대 들어서면서 급증했어요.”
오늘날 한약방은 1100여 개에 이른다. 초창기 한약방 중에 아직도 명맥을 이어가는 곳이 있다. 경동시장 사거리 인근의 우신원한약방이 그중 하나다. 한약재와 40년 가까이 함께해온 이형신 우신원한약방 원장이 가장 귀하게 생각하는 약재는 무엇일까? 바로 인삼이다. “아무리 좋은 약이라도 구하기 힘들면 소용이 없다. 병을 제대로 치료하려면 능히 구하기 쉬워야 한다”는 것이 그의 지론이다.
올해는 특별히 서울약령시를 상징하는 약령문이 만들어졌다. 약령문 준공 기념식이 이번 축제의 하이라이트였다. 하지만 어찌된 일인지 시장 어디에서도 축제 분위기가 느껴지지 않았다. 오가는 사람도 그리 많지 않았다. 불경기 탓일까? | |||||||||||||||||
경희대 앞 파전골목과 센강
개발은 추억을 덮는다. 40년 전 경희대 앞에는 조그마한 개천이 흘렀다. 그 물길은 지금의 회기역을 돌아 중랑천으로 흘러들어갔다. 그때는 기차역은 고사하고 제대로 된 집 한 채 없는 허허벌판이었다. 그곳에 조그맣고 허름한 판잣집 한 채가 있었다.
몸집이 뚱뚱한 사람은 기어들어가야 할 정도로 대문도 비좁고 낮았다. 그곳이 바로 회기역 주변에 형성된 파전골목의 원조격인 ‘나그네파전’ 집이다. 주인장은 올해 72세인 공경자 씨. 독립문이 고향이라는 그는 6·25전쟁 때 피란을 갔다가 돌아와 이곳에 터전을 마련했다고 한다. 파전 장사를 시작한 것은 피란 중에 부산에서 동래파전을 맛본 것이 계기가 됐다고. 이곳은 1970~80년대 군부독재로 암울했던 시기에 운동권 학생들과 가난한 고학생들의 배고픔과 시름을 달래주던 곳으로 유명했다. 주인 공씨의 이야기다.
“학생들이 앞 개천을 ‘경희대 센강’이라 불렀고, 우리 집을 ‘워커힐 나그네’라고 불렀어. 참 운치도 있었고 정도 많았지. 지금도 가끔 옛날 생각나서 오는 사람들이 있다우.” 요즘 이곳에서는 불황기인데도 10여 개 파전집이 성업 중이다. 여전히 주머니 사정이 두둑하지 못한 학생들이 주 고객이다. 하지만 개천은 복개공사로 사라지고, 판잣집은 현대식 건물로 개·보수된 지 오래다. 옛 모습은 동네 토박이들과 이곳을 기억하는 이들의 추억으로만 남아 있다.
- 2008.10.28 주간동아 658호(p60~65) - 엄상현 기자 gangpen@donga.com / 사진 · 장승윤 기자 Tomato99@donga.com |
|
'나아가는(문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환향녀(還鄕女)와 화냥년 (0) | 2008.10.24 |
---|---|
영국의 엽기 신입생환영회 (0) | 2008.10.24 |
내년 2009년은 세계 천문의 해(인류 최초로 달에 간 40주년) (0) | 2008.10.24 |
귀신, 살아있는 사람들의 또 다른 그림자 (0) | 2008.10.23 |
고구마 꽃 (0) | 2008.10.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