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주짱의 하늘꿈 역사방

지켜(연재자료)

[근대문화유산] 37. 홍난파 가옥

Gijuzzang Dream 2008. 8. 21. 19:48

 

 

 

 

 

[한국의 근대문화유산 37 ] 한국 근대음악의 산실

 

 

 ◆ 홍파동 홍난파 가옥 ◆

 


 


1. 등록번호 : 제90호(2004년 9월 4일 등록)
2. 소 유  자 : 종로구청
3. 설 계  자 : 미상
4. 건립연도 : 1930년
5. 면      적 : 연면적 121.45㎡
6. 위      치 : 서울특별시 종로구 홍파동 2-16
7. 현 용  도 : 주택
8. 구      조 : 벽돌조


19세기 말, 개항기로부터 일제강점기에 걸쳐 서울에는 개신교 선교사들이 집단으로 거주하는 지역이

몇 군데 생겨났던 적이 있다. 정동, 연건동, 서대문 밖 충정로가 대표적인 곳이었는데,

현재의 홍파동에도 선교사의 주택이 여러 채 건립되었던 것으로 전해진다.

특히, 근처 송월동에 독일 영사관이 있었던 관계로

독일 계통 선교사의 주택단지가 세워졌던 것이 아닌가 여겨진다.

건물은 지상 1층, 지하 1층의 규모로 붉은 벽돌조이다.

가파른 경사지를 이용하여 남쪽에 현관과 거실, 침실을 두고 북서쪽에 지하층을 두었다.

서쪽의 길에서 대문을 통하여 마당 안으로 올라오면 계단을 따라 현관에 다다르게 된다.

현관문은 정교하게 디자인 되어 있으나 다른 서양사람들의 주택에서 쉽게 볼 수 있는 현관주변시설이

따로 없다. 지붕은 다른 지역의 선교사 주택보다는 경사면이 더 가파르다.

아마 북 유럽의 주택문화가 반영된 것은 아닐까 추측해 본다.

이 집의 실내는 1930년대 서양인 주택의 특징이 잘 나타나 있다.

우선, 거실의 벽난로로서, 벽난로는 붉은 벽돌로 치장 쌓기를 하였다.

거실바닥은 보통 벽돌만한 크기의 나무토막을 사용하여 쐐기문양을 내어서 마감하였다.

최근에 생활하였던 소유주가 방들을 터서 사용함으로써 원래의 평면 모습은 사라졌지만

바닥에 그 자국들이 남아 있어 원형을 추측할 수는 있다.


서구문물이 들어오는 과정에서 같이 유입된 서양종교의 선교사 주택들이 최근에 많이 사라지고있다.

일본인의 영향을 받지 않고 한국에 세워진 순수한 서양인의 주거문화를 확인할 수 있는

귀중한 자료가 될 수 있는데 아쉬운 일이라 아니할 수 없다.

이 건물은 경사가 심한 대지를 이용하여 적절하게 건축물을 세워서 공간을 알뜰하게 사용한

실용적인 사례를 확인할 수 있는 자료이다.

대문을 들어서서 바로 연결할 수 있는 지원시설 - 부엌, 창고, 보일러실 - 부분과

반듯하게 만들어진 계단을 통하여 정원을 거쳐, 현관으로 유도되는 중요 동선의 배려,

넓은 지하실의 활용, 그것을 위한 적극적인 유리창의 확보 등,

건축 계획학적인 면에서 참고할 사항이 많이 남아 있다.

ⓒ 홍난파 가옥의 쐐기모양 거실 바닥


게다가 일제강점기동안의 행적에 여러 가지 문제를 지니고 있는 것이 사실이기는 하지만,

한국 근대음악의 역사에서 중요한 업적을 남긴 홍난파의 일생동안 중요한 작품이

이곳에서 거주하였을 때 만들어진 것이라 하니 이 장소와 공간이 지니고있는 의미 또한

한국근대사에서 아주 큰 것이라 하겠다. 한국근대사와 건축학적 가치에 따라 홍난파 가옥은

2004년 9월 4일 등록문화재 90호로 등록 · 관리되고 있다.


-----------------------------------------------------------------------------------
* 우정디자인기획에서 발간한 [한국의 근대문화유산 Vol.2] 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 이글의 저작권은 문화재청에 있습니다.
* 사진과 글의 무단 전재나 복사를 금합니다.
* 문의_문화재청 대변인실 (042.481.4677)
-----------------------------------------------------------------------------------
- 문화재청, 문화재포커스, 2008-1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