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주짱의 하늘꿈 역사방

지켜(연재자료)

[조선의 인물, 조선의 책] 17. 독서가 이덕무

Gijuzzang Dream 2008. 7. 7. 21:40

  

2006.12.19 565 호 (p 90 ~ 92)

 

 [독서가 이덕무]

벼슬 욕심 버리고 책에 파묻혀 한평생

서자 후손 탓 출세 힘들자 일찌감치 관직 포기 … 읽고 또 읽고, 순수한 책 읽기

 

이덕무(李德懋, 1741~1793)는 서파(庶派)였다. 그 자신이 서자라는 말이 아니다.

그의 직계를 거슬러 올라가 서자가 있으면

자동적으로 그 후손은 서파가 된다.

 

조선시대에 서파라는 것은

관료로서의 출세 길이 막힌다는 것,

사회적 차별 속에서 살아야 함을 의미한다.

이상하지 않은가. 스스로 태어나기로 결정해

이 세상에 온 사람은 없다. 자신의 탓이 아님에도 세상의 천덕꾸러기가 된다는 것은 정말 납득할 수 없는 일이다.

 

 

‘사소절’ ‘관독일기’ 등 많은 저서 남겨

 

벼슬이 최고의 가치라 하고는 ‘너만은 안 된다’라는 말을 들었을 때 어떻게 살아야 할 것인가.

대부분의 사람은 그 차별이 원래 그런 것이려니 하고 살아간다.

 

하지만 똑똑한 사람은 이 차별이 말도 안 되는 것임을 깨닫고, 분노하고 좌절한다.

술과 도박에 자신의 재능과 시간을 탕진한다.

그리하여 ‘서자는 할 수 없다’는 평가를 스스로 얻고 만다. 하지만 슬기로운 사람도 있다.

분하지만 참고 단정한 길을 걷는다. 이덕무가 그런 사람이었다.

이덕무 역시 과거공부를 하고 34세 되던 해 가을 증광초시(增廣初試)에 합격하지만,

이것은 그의 생애에 어떤 의미를 갖는 사건이 아니었다.

그는 관료로서의 길을 일찍 포기했던 것이다.

 

그렇다면 이덕무의 행로는? 그는 비상한 사람이었다.

세상을 어떻게 할 수 없다는 것을 미리 알았기에 단정한 삶을 산다.

그가 남긴 모든 문자는 그가 얌전하게 처신하는 사람임을 보여주고 있다.

선비가 일상에서 지켜야 할 예의범절을 꼼꼼하게 정리한 ‘사소절(士小節)’을 보면,

평생 조심조심 살아갔던 그의 모습이 선연히 떠오른다.

 

이렇게 자신을 다독여도 이따금 가슴속에서 슬픔과 분노가 일어나는 것은 어찌할 도리가 없었다.

 

‘관독일기(觀讀日記)’에 이런 구절이 있다.

 

밤에 희미한 달빛이 은은히 비치고, 뭇 벌레의 울음소리가 시끄럽더니 이내 또록또록 들린다.

등불은 가물가물하는데, 말없이 홀로 오뚝 앉아 있노라니,

강개(慷慨)한 감정이 겹겹이 생겨나고 까닭 없는 슬픔이 밀려온다.

아마도 가을의 기운이 장부(丈夫)의 뻣뻣한 창자를 단련시키려고 하여 이런 것인가 보다.

 

희미한 달빛과 풀벌레 울음소리에 강개(慷慨)한 감정과 까닭 없는 슬픔이 솟구친다.

가을 기운을 핑계대지만, 이것이 어찌 가을 기운 때문이랴. 소외된 인간의 심사가 아닌가.

 

이덕무는 직업이 없었다.

정식 직업이라 부를 만한 것은 39세 되던 해(정조 3년, 1779) 얻은 규장각 검서관(檢書官) 자리였다.

이전의 그는 백수였다. 농사꾼도 아니었다.

서울 한복판에 사는 그에게는 농토가 없었다. 또 약질이라 농사는 턱도 없는 일이었다.

그러면 무엇을 할 것인가. 이덕무가 할 수 있는 일이란 책을 읽는 것밖에 없었다.

이덕무의 저서 ‘사소절(士小節·위)’과 ‘아정유고(雅亭遺稿)’의 본문.

반쪽짜리 양반 이덕무에게 책 읽기는 모순이다.

‘책을 읽으면 선비이고, 벼슬을 하면 대부(讀書曰士, 從政曰大夫)’란 말이 있듯, 독서란 관료가 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하지만 이덕무의 독서는 그것이 불가능했다.

여기서 오로지 지적 행위로서의 독서가 생겨난다.

다른 목적을 갖지 않는 순수한 책 읽기!

과연 이덕무는 오로지 책 읽기 자체에만 몰두했던 것이다.

 

목적 없는 책 읽기라 해서 과연 목적이 없을 것인가.

 

나는 늘 예나 지금이나 인가(人家)의 자제들이

밀랍을 먹인 종이로 바른 창문에 화려하고 높은 책상을 두고,

그 옆에 비단으로 장정한 서책들을 빽빽하게 진열해놓고서,

자신은 머리에 복건(幅巾)을 쓰고 흰 담요 위에 비스듬히

누운 채 아무짝에도 쓸데없는 이야기를 지껄이고

기침이나 캉캉 뱉다가 한 해가 다 가도록 한 글자도 읽지

않는 것이 가장 유감스럽다.  

 

좋은 서재에 책을 쌓아두면 뭐 하나? 한 해가 다 가도록 한 글자도 읽지 않는다.

부귀한 인간들은 책을 읽지 않는다.

그 점잖은 이덕무도 이런 인간에게는 결코 호감을 느끼지 못했던 것이다.

 

위의 이야기에 이어 이덕무는 맹자와 양웅(揚雄)을 인용한다.

 

“배불리 먹고 따뜻하게 입고 편안히 지낼 뿐, 만약 가르침이 없으면 금수(禽獸)에 가깝다.”(맹자)

 

“사람이 배우지 않으면 비록 걱정거리가 없다 한들, 금수가 될 것이다.”(양웅)

 

이덕무는 맹자의 ‘가르침’과 양웅의 ‘배움’이 바로 독서라고 말한다.

독서를 하지 않으면 아무리 부귀할지라도 그는 인간이 아니다.

이덕무에게 독서는 곧 인간이 되는 길이다.

나는 독서하는 이덕무에게서 지금 세상에서 거의 멸종된 ‘교양인’의 모습을 본다.

 

 

스스로 책 읽는 바보 ‘간서치’라 불러

 

이덕무는 독서에 골몰하는 자신을 ‘책 읽는 바보’, 간서치(看書癡)라 불렀다.

 

그가 초년에 쓴 자전 ‘간서치전(看書癡傳)’은 아주 짧다. 같이 읽어보자.

 

남산 아래 바보가 살았다. 눌변이라 말을 잘하지 못했고, 성격이 졸렬하여 세상일을 알지 못했고, 바둑이나 장기 따위는 더더욱 몰랐다. 남들이 욕을 해도 따지지 않고, 칭찬해도 뻐기지 않았고,

오직 책 보는 것을 즐거움으로 삼아, 추위도 더위도 주림도 아픈 줄도 아주 몰랐다.

 

글을 막 배웠을 때부터 스물한 살이 될 때까지 하루도 손에서 옛글을 놓은 적이 없었다.

그가 지내는 방은 아주 좁았다. 하지만 동쪽 남쪽 서쪽에 모두 창이 있어,

동쪽 서쪽으로 해가 옮겨가면 햇볕이 드는 밝은 창 쪽으로 가서 책을 보았다.

예전에 보지 못한 책을 보게 되면 기뻐 웃으니,

집안 사람들은 그가 웃는 것을 보고는 곧 그가 기이한 책을 구한 것을 알곤 하였다.

 

그는 두보(杜甫)의 오언율시를 더욱 좋아해 중얼거리는 것이 마치 병자의 앓는 소리와 같았다.

그러다 심오한 뜻을 깨치면 기쁜 나머지 일어나 방 안을 빙빙 돌곤 했는데,

그 소리가 마치 까마귀가 우는 것 같았다.

때로는 아무 소리도 없이 조용하게 눈을 동그랗게 뜨고 한곳을 응시하기도 하고,

혹은 꿈을 꾸고 있는 것처럼 혼잣말을 중얼거리기도 하였다.

사람들이 그를 ‘간서치(看書癡)’라 해도 그냥 기쁘게 받아들일 뿐이었다.

 

스물한 살 때의 이야기니 요즘으로 치면 대학 2학년이다.

대학 2학년이 이토록 책을 읽다니 책 읽지 않는 학생들은 반성할 일이다.

 

어쨌든 이렇듯 책에 빠진 인간이었으므로

그는 천지간의 책을 다 보고야 말겠다는 애교 있는 과대망상증을 보인다.

24세 때 쓴 ‘갑신제석기(甲申除夕記)’에서 그는 이렇게 말한다.

 

“여러 성현들이 남기신 경전과 이런저런 믿을 만한 역사책들 속에 푹 잠겨 헤엄치듯

그 책들을 읽어내어 오묘한 이치를 얻어내고야 말리라.

그리고 그 밖의 패관야승(稗官野乘)과 잡가(雜家)의 말을 섭렵한다면,

천지간에 가득한 책을 거의 다 보아낼 수 있을 것이다.”

 

호서가, 독서가는 알 것이다.

‘천지간의 서적을 다 보겠다’는 말이 얼마나 무모한 욕심인지. 하지만 그 욕심은 정녕 아름답지 않은가.

 

이렇듯 책탐(冊貪)에 빠진 이덕무는 그 욕심을 어떻게 다스렸을까. 오직 읽는 것뿐이었다.

 

나는 세상사에 대해서는 손방이다. 하지만 오직 시서(詩書)를 모으는 일에는 마음을 두고 있다.

그래서 남의 책 수백 권을 빌려 좌우에 가지런히 쌓아두고 있다.

혹 읽을 책을 계속해서 빌리지 못하게 되면,

장부(帳簿)나 달력이라도 싫어할 줄을 모르고 뒤적이며 읽었다. (‘갑신제석기’)

 

장부나 달력이라도 보기를 마지않는다는 말은 얼마나 재미있는가.

책을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이런 경험이 있지 않은가.

초등학교 때 읽을거리에 굶주린 나는 책을 빌리기 위해 싫어하는 친구에게 아쉬운 소리를 해가며

반나절을 따라다닌 기억이 있다. 가장 부러운 집안은 대궐 같은 부잣집이 아니라 책이 많은 집이었다.

 

가난한 이덕무는 책을 살 돈이 없으니, 빌리고 베끼는 것이 책탐을 푸는 거의 유일한 길이었다.

그러기에 책을 빌려주지 않는 사람은 비판의 대상이 된다.

 

만권(萬卷) 장서를 두고도 빌려도 주지 않고 읽지도 않고 햇볕을 쪼이지도 않는 사람이 있다 하자.

빌려주지 않는 것은 어질지 않은 것이요, 읽지 않는 것은 지혜롭지 않은 것이요,

햇볕에 쪼이지 않는 것은 부지런하지 않은 것이다.

 

사군자(士君子)라면 반드시 책을 읽어야 하는 법이다.

빌려서라도 읽어야 하나니, 책을 묶어놓고 읽지 않는 것을 부끄럽게 여겨야 할 것이다.

[‘세정석담(歲精惜譚)’]

 

스스로 책을 읽지 않는 것은 지혜롭지 못한 짓이요,

자신이 읽지 않으면서도 남에게 빌려주지 않는 것은 어질지 못한 짓이다. 그렇지 않은가.

지금 세상도 다를 바 없다. 어떤 사람은 무슨 귀중한 책을 가지고 있노라 자랑하다가

보자고 청하면 난색을 표하고, 유명 도서관에서는 귀중본이 있다고 목록에 밝히고는

‘귀중본’ 도장을 쾅쾅 찍어 너무 귀중하여 보여줄 수 없다고 한다.

 

책 빌리고 빌려주는 예의에 관한 기록도 남겨

 

이덕무의 편지를 보면 책을 빌리고 빌려주는 일이 허다하게 나온다.

이런 이덕무이니 책을 빌리고 빌려주는 데 대한 예의가 없을 리 없다.

그는 ‘사소절’에서 책을 빌리는 예의에 대해 일장 설교를 늘어놓는다.

 

몇 가지를 보자. 책을 빌려주는 것의 기본 정의다.

 

“남에게 책을 빌려주어 그 사람의 뜻과 사업을 키워주는 것은,

남에게 돈과 재물을 주어 그 곤궁과 굶주림을 구제해주는 것과 같다.”

 

어떤가. 책을 빌려주는 것은 남에게 재물을 주어 곤궁과 굶주림을 구제하는 것과 같으니

이런 자선이 없다. 하지만 남에게 책을 빌려주기를 강요해서는 안 될 것이다.

 

“남의 책이나 시문(詩文), 그림은 보고 난 뒤 빌려주기를 청할 것이며,

주인이 허락하지 않을 경우 억지로 빼앗아 소매 속에 넣고 일어나서는 안 된다.”

 

요즘도 통하는 말이다. 좀더 읽어보자.

 

남의 책을 빌리면 정하게 읽거나 베끼고 기한 내에 돌려주어라.

기한을 넘기거나 주인이 독촉하는데도 돌려주지 않으면 안 된다.

또 빌린 책을 돌려주지 않고 다시 다른 사람에게 빌려주어서는 안 된다.

 

지켜야 할 예의는 이것뿐이 아니다. 남이 아직 완성하지 못한 책이나 장정이 안 된 서화를 빌려서는

안 된다. 완성품이 아니기 때문에 원작이 손상될 수 있는 탓이다. 빌려준 사람에게 보답도 해야 한다.

 

남의 책을 빌렸을 경우, 책주인이 만약 호고(好古)하는 사람이라면,

그 책의 오류처를 바로잡아 종이쪽지에 따로 써서 그 곁에 붙여두어야 할 것이다.

함부로 책 본문에 마구잡이로 어지러운 글씨로 적어서는 안 될 것이다.

 

남의 책을 빌렸을 경우, 다 읽은 뒤 다시 먼지를 털어 차례대로 정돈하고 보자기에 싸서

돌려보내야 할 것이다. 법서(法書)를 빌려서 베낄 경우는 다른 책보다 더러워지기 쉬우니,

더욱 마음을 써서 보호해야 할 것이다.

 

이덕무는 이렇게 책을 빌려 읽고 거창한 지식을 쌓았다. 지금은 책이 범람하는 세상이다.

하지만 독서하는 교양층은 얇아지고 인문서는 팔리지 않는다. 참으로 걱정이다.

 

 

 

못 말리는 책 욕심 … 중국 책시장에 원정 쇼핑

사신단에 끼여 베이징행 … 유리창서 선진서적 접하고 낙후한 조선학계에 새바람 불어넣어

 

이덕무가 검서관으로 일했던 서울 창덕궁 내 규장각 건물인 주합루.

 

이덕무 역시 베이징에 간다. 우리의 책벌레 이덕무도 드디어 베이징(北京)으로 간다.

정조 2년(1778) 3월의 일이었으니 홍대용보다 13년 뒤다.

 

사람들은 흔히 이덕무와 가까웠던 박지원(朴趾源)이 이덕무보다 앞서

중국에 갔다 온 줄 알고 있지만, 사실인즉 이덕무가 먼저다.

 

이덕무의 연행(燕行)은 박제가와 함께였다. 이덕무는 늘 베이징에 가고 싶어했는데,

그와 친분이 있던 심염조(沈念祖)가 사은진주사(謝恩陳奏使)의 서장관(書狀官)이 되자

그의 소원을 들어주었다. 박제가의 소원은 상사(上使) 채제공(蔡濟恭)이 풀어주었다.

심염조와 채체공 두 사람을 따라 베이징으로 떠나기 전날 밤,

박지원 · 이서구(李書九)와 이덕무의 집안 조카 이광석(李光錫)이

이덕무의 집에서 전별연을 베풀어주었다.

 

이덕무의 연행은 흥미로운 이야기를 많이 남기고 있지만,

우리의 관심은 역시 이덕무와 책의 관계다. 책에 미친 이덕무였으니,

베이징의 책시장이 그의 마음을 뒤흔들었던 것은 자명한 일이다.

 

그가 남긴 ‘연행기’를 줄거리 삼아 그와 함께 베이징 책시장을 구경해보자.

 

이덕무가 유리창에 간 것은 5월17일이었다.

역관 김재협(金在協)이 무령현(撫寧縣)에서 만났던 서소분(徐紹芬)이란 사람의 편지를

유리창 북쪽에 사는 서소분의 아우 서소신(徐紹新)에게 전하러 갔는데,

이덕무와 박제가는 김재협을 따라가서 서소신을 만나고 필담을 나눈다.

 

서소신은 ‘사고전서(四庫全書)’ 등교관(謄校官)이었다.

한 달에 5만 자 분량의 책을 필사하는 것이 그의 임무였으니 서소신은 당연히 지식분자다.

필담으로 이런저런 이야기를 나누고 돌아오는 길에 두 사람은 유리창을 본격적으로 탐사한다.

책과 서화, 골동품, 비단, 옥기(玉器) 등도 샀다(가난뱅이 이덕무가 웬일인가?).

구경과 쇼핑(?)에 몰두하다 보니 피곤하기 짝이 없다.

조선 촌사람 둘은 어깨를 비비고 지나갈 정도로 빽빽한 유리창의 인파에 두통이 날 지경이었다.

 

이틀을 쉬고 5월19일 이덕무는 박제가와 함께 다시 유리창 책방 순례에 나선다.

부지런하고 꼼꼼한 이덕무는 조선에 없는 책과 희귀본 목록을 길게 작성한다.

목록을 작성한 책방은 모두 11곳이었다.

숭수당(嵩秀堂), 문수당(文粹堂), 성경당(聖經堂), 명성당(名盛堂), 문성당(文盛堂), 취성당(聚星堂), 대초당(帶草堂), 욱문당(郁文堂), 문무당(文茂堂), 영화당(英華堂), 문환재(文煥齋) 등 이었다.

 

11곳의 서점들은 조선의 사신단(使臣團)이 베이징에 도착하면 반드시 찾는 곳이었다.

이 서점들이야말로 18세기 후반부터 조선에 책을 쏟아 부은 풀(pool)이었으니,

조선 후기의 학문적 · 사상적 변화와 긴밀한 관계가 있는 곳이다.

책을 사랑했던 이덕무와 벗들은 ‘백탑’ 아래에서 모임을 갖고 책과 세상에 대한 의견을 나누며 친분을 쌓았다. 이 때문에

‘백탑파’라고 불렸다.

이덕무가 베이징에 갔을 때 유리창에는 상당한 변화가 있었다.

홍대용이 베이징에 갔을 때(1765)는 없던 사고전서관이

1772년 개설됐고, 1781년엔 ‘사고전서’ 1벌이 완성되었던 것이다.

 

이덕무의 연행은 1778년이었으니

‘사고전서’의 완성을 불과 3년 남겨놓고 있었다.

‘사고전서’의 편찬은 베이징 책시장을 팽창시켰던 것이고,

그 팽창의 결과가 앞서 소개한 서점들이다.

요컨대 홍대용 때보다 훨씬 더 많은 서점이 생겨났고,

좀더 많은 서적이 집적(集積)되기 시작했던 것이다.

 

이 부분을 좀더 소상히 살펴보자.

 

 

흔해빠진 책들만 수입하던 풍조 꼬집기도

 

5월25일 이덕무는 박제가와 함께 천주당을 찾아갔으나,

신부가 없어 자세히 구경하지 못한다.

낙담하여 돌아오는 길에 다시 유리창 서점가를 방문한다.

그리고 전에 보지 못했던 책방 서너 곳을 찾아낸다.

그중 오류거(五柳居)란 서점에서 주인 도옥(陶鈺)과 안면을 튼다.

도씨는 책 거상(巨商)이었다. 도씨는 이렇게 말한다.

책을 실은 배가 강남(江南)에서 와

통주(通州) 장가만(張家灣)에 정박했는데,

모레 이곳으로 실어올 것이다. 모두 4000여 권이다.

 

도씨는 사고전서관에 책을 납품하는 상인이었다.

그가 운하를 통해 배로 책을 베이징으로 실어온 것은

바로 책의 납품 때문이었던 것이다. 생각해보라.

일개 서점이 책을 배로 실어 운반하다니! 이덕무는 충격을 받는다.

 

그는 박제가와 함께 도씨의 오류거에서 발간한 책목록을 빌려

돌아오면서 그 충격의 소회를 말한다.

 

“이 목록에는 내가 평생 구하려던 책만이 아니라 천하의 기이한 책이

엄청나게 많았다.

나는 이제야 절강(浙江)이 서적의 본고장이라는 것을 알게 됐다.”

 

이덕무는 베이징에 도착하자마자

절강 지방에서 출판된 서적을 소개하는 ‘절강서목(浙江書目)’ 최신판을 구입했는데,

오류거의 목록에는 ‘절강서목’에도 없는 책이 있었던 것.

 

오류거 주인 도옥과 일단 안면을 트자 그 뒤로는 무상출입이다.

이덕무는 5월28일 박제가와 함께 오류거를 찾아갔으니,

앞서 도씨가 말한 바 있는 절강에서 배편으로 싣고 온 ‘기서(奇書)’를 보기 위해서였다.

그리고 간 김에 서장관 심염조가 부탁한 ‘경해(經解)’와

마숙(馬)의 ‘역사(繹史)’ 등 희귀본을 비롯해 수십여 종의 책을 주문한다.

 

6월2일 이덕무는 다시 오류거로 가서 주문했던 주이존의 ‘경해’ 60갑(匣)을 열람한다.

 

그리고 의미심장한 한마디를 덧붙인다.

 

‘경해’는 죽타(竹) 주이존(朱彛尊)과 담포(憺圃) 서건학(徐乾學)의 소장 서적을 다 수집하고,

거기다 수수(秀水)의 조추악(曹秋岳), 무석(無錫)의 진대암(秦對巖), 상숙(常熟)의 전준왕(錢遵王)·모부계(毛斧季), 온릉(溫陵)의 황유태(黃兪邰) 장서를 빌려 모은 것으로 140여 종이나 된다.

‘자하역전(子夏易傳)’부터 당(唐)나라 사람의 저술은 겨우 2, 3종이고

그 나머지는 대부분이 송(宋) · 원(元) 제유(諸儒)의 찬술(撰述)이다.

명나라 사람의 저술도 1, 2종이 끼여 있다. 정말로 유학과 경학(經學)의 거창한 숲인 것이다.

이 책은 간행된 지 벌써 100년이 넘었지만, 우리나라 사람들은 있는 줄을 까마득히 몰랐다.

해마다 사신이 끊임없이 오가지만, 사오는 책이라고는 오직 연의소설(演義小說)이거나

‘팔가문초(八家文抄)’와 ‘당시품휘(唐詩品彙)’ 따위일 뿐이다.

이 두 종류의 책은 비록 실용적이기는 하지만 집집마다 다 가지고 있고,

또 우리나라에서 간행한 것도 있으니 다시 사올 필요가 없는 것이다.

 

중국에서 이 책은 널리 퍼져 있어 꼭 진귀한 것도 아니고 값도 무척 싸다.

다만 조선 사신이 올 때면 꼭 따로 간직해두고 비싼 값에 파니,

우리나라 사람의 멍청함이 이와 같다.

 

이덕무는 ‘경해’를 실마리로 삼아 조선의 서적 수입이 내포한 문제를 지적한다.

‘경해’는 경전에 관한 역대의 모든 문헌을 수집한 거대한 자료집이었던 것이다.

‘경해’를 이루는 저작들의 대부분은 이덕무가 밝히고 있듯,

주이존(1629~1709)과 서건학(1631~1694)의 장서였다.

 

주이존의 ‘경의고(經義考)’와 서건학의 ‘독례통고(讀禮通考)’가 경학사(經學史)의 기념비적 저작이듯, 두 사람은 17세기 중국을 대표하는 학자이자 장서가였다.

이들의 박학(博學)에 기초한 경전 연구는 이덕무의 말처럼

거의 100년이 지난 18세기 후반에야 비로소 조선에 알려지기 시작했던 것이다.

청대 학문의 정수라고 할 ‘경해’의 존재는 까마득히 모르고 국내에서도 흔해빠진 연의소설이나

‘당송팔대가문초’ ‘당시품휘’만 수입하고 있다는 그의 지적은 실로 통절하다.

 

어마어마한 규모의 ‘경해’는 이덕무에게만 충격을 준 것이 아니었다.

실로 베이징 책시장의 서적들은 낙후한 조선 후기 학계 전반에 파란을 일으키기 시작했던 것이다.

‘경해’를 구입한 사람은 앞서 말했다시피 심염조였다.

또 심염조는 이덕무를 베이징에 갈 수 있도록 주선해준 사람이다.

그는 베이징에서 조선으로 돌아오는 길에 이덕무와 어떤 책에 대해 대화를 나눈다.

 

“그대(이덕무)가 예전에 정림(亭林) 고염무(顧炎武)의 곧은 지조를 높이 평가하여

명말(明末)의 제일가는 인물이라 하였기에,

그의 문집을 오류거(五柳居) 도씨의 책방에서 구입하였소.

도씨가 요즈음 금서가 300여 종이 있는데, ‘정림집(亭林集)’도 그중 하나이니

꼭꼭 숨겨 가라고 신신당부하였소. 내가 이번에 가마 속에서 ‘정림집’을 다 읽었는데,

정말 명말 유민(流民) 중 제일가는 인물이었소. 절의(節義)가 고금에 으뜸일 뿐만 아니라

시문(詩文)도 법도가 있고 우아하여 무심(無心)한 말은 하지 않았소.”

 

“정림은 비록 벼슬은 하지 않았지만 명나라를 잊지 않았고

강희(康熙) 기미년(1679)의 박학굉사과(博學宏詞科)에도 나아가지 않았으니,

이 사람이야말로 참으로 대신(大臣)입니다.

그가 지은 ‘일지록(日知錄)’은 경(經)과 사(史)를 돕는 우익이 될 만하니,

그 박학함을 알 수 있습니다.”

 

고염무(1613~1682)는 명말청초의 대학자다.

명나라가 멸망한 후 청 왕조의 회유에 넘어가지 않고 끝까지 지조를 지킨 저항적 지식인이다.

그의 저작이 금서가 된 것은 청나라에 협조하지 않은 정치적 태도 때문이었다.

 

 

귀국 후 규장각 검서관으로 첫 취직

 

고염무는 양명학의 공소(空疎)함을 비판하여 현실적 · 실증적 학문에 몰두했다.

쉽게 말해 중국판 실학(實學)이다.

그가 엄밀한 문헌적 증거에 토대를 두고

경전과 역사, 문학, 지리, 풍속 등 다방면의 문제를 다룬 ‘일지록’을 저작한 것은

청대 고증학의 출발을 알리는 하나의 학문사적(學問史的) 사건이 된다.

 

이덕무는 베이징에 가기 전 3년을 찾아 헤맨 끝에

어떤 사람이 비장(秘藏)한 ‘일지록’을 어렵게 빌려 읽고 큰 충격을 받은 나머지

이 책의 존재를 주위에 이야기했는데, 그중 한 사람이 바로 심염조였던 것이다.

어쨌든 심염조와 이덕무가 고염무와 ‘정림집’ ‘일지록’에 대해 신선한 어조로 대화한 것은

고염무 사후 거의 1세기가 지난 뒤다. 야박하게 말하면 조선의 학문은 1세기가 뒤져 있었고,

베이징 책시장이 열리자 비로소 그 100년의 차이를 인지하기 시작했던 것이다.

홍대용의 연행 무렵부터 조선인들에게 열리기 시작했던 유리창의 서적시장은

조선 사람들을 새로운 학문과 예술의 세계로 인도한다.

 

조선의 지식인은 유리창에서 이적(夷狄)의 문화가 아닌 난숙한 제국(帝國)의 문화를 인지하고

그것을 배우자고 주장했으니, 이른바 북학(北學)이 바로 그것이다.

특히 ‘사고전서’의 편찬은 베이징 유리창으로 서적을 집적했고,

그 집적된 서적이 조선으로 흘러넘쳐 조선 후기 학계에 새로운 변화를 불러일으켰던 것이다.

 

아마도 베이징에서 수입된 서적의 존재가 없었다면

정약용의 방대한 저술은 저작되지 못했을 것이고,

희한하고 참신한 문체로 쓰인 박지원의 ‘열하일기’도 세상에 모습을 드러내지 못했을 것이다.

 

베이징에서 돌아온 이듬해 이덕무는 39세의 나이에 생애 최초로 취직을 했다.

규장각의 검서관(檢書官)이 되었던 것이다.

규장각 검서관은 규장각에서 출판하는 모든 책을 교정하는 직임이다.

책벌레 이덕무는 자신의 소원대로 책을 읽는 것이 직업이 되었다.

그는 1793년 사망하는 해까지 규장각을 벗어나지 않았다.

 

한데 이덕무를 규장각에 거둔 정조는 베이징의 서적이 조선의 문단과 사상계에 불러일으킨

진보적 동태를 이단으로 몰아 탄압하려 했다.

박지원과 박제가 등은 물론, 이덕무 역시

정조가 비판하고 억압하고자 했던 새로운 사고의 범위 속에 있었다.

정말 흥미롭지 않은가. 자신이 불러들인 인물들을 억압하다니….

- 주간동아

- 강명관 부산대 교수·한문학 hkmk@pusan.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