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주짱의 하늘꿈 역사방

지켜(연재자료)

유홍준 문화재청장의 특설강좌Ⅱ (2) 아, 아름다워라, 고려 불화여 !

Gijuzzang Dream 2008. 4. 30. 23:23

  

 

 

‘문화유산을 보는 눈’   

보살의 '시스루 패션' . . . 700년전 섬세美

 

 2. 아, 아름다워라, 고려 불화여 !  

 

 

 

 

고려불화가 우리에게 알려지기 시작한 것은 1980년 무렵부터로 얼마 안된 일입니다.

일제 강점기 때 활약한 미술사가 우현 고유섭 선생의 유고를 모은 ‘한국미술사급(및) 미학논고’ 중

고려시대 그림에 대해 쓴 글에서도 고려불화로 소개된 것은

일본 도쿄 센소지(淺草寺)에 소장된 혜허(慧虛)스님이 그린 ‘수월관음도(水月觀音圖)’ 한 점뿐이었어요.

나머지는 영주 부석사와 예산 수덕사의 벽화 등과 그 밖에 전해들은 내용들에 관한 것입니다.

 

“고려불화는 섬세하고 화려하다”거나 “섬려하기 그지없다”는

중국 원나라 곽약허(郭若虛)와 탕구(湯垢)의 평가에서 보듯 문헌기록을 통해 국제적인 평가를 받은

고려불화의 아름다움은 알려졌어도 우리가 실물로 본 것은 없었던 것이지요.

그러다 일본의 미술사가 구마가이 노부오(熊谷宣夫)가

1967년 ‘조선학보’ 제44집에 실은 ‘조선불화징’이란 글을 통해

고려 및 조선초기 탱화 70여 점이 일본에 있다는 놀라운 사실을 공개했습니다.

이를 계기로 1973년 동주 이용희 선생이 일본 속의 한국그림을 찾는 탐방기를 ‘한국일보’에 연재했는데,

이번 강의의 제목 ‘아, 아름다워라 고려불화여’는 제게 깊은 인상을 남겨준 당시 글의 제목이에요.

 

마침내 1978년 일본 나라(奈良)현의 야마토분카칸(大和文華館)에서

52점의 탱화와 17점의 사경변상도(寫經變相圖)가 출품된 ‘고려불화 특별전’이 열려

고려불화가 일반에게 처음으로 공개된 동시에 대대적인 각광을 받는 전기가 됐습니다.

1981년 일본 아사히(朝日)신문사에서 ‘고려불화’라는 두꺼운 화집을 발간하고

같은 시기 중앙일보사에서도 ‘한국의 미’시리즈 중 하나로 ‘고려불화’편을 냈지요.

그 후 일본 규슈대에서 고려불화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은 정우택 동국대 교수가

1997년 펴낸 ‘고려시대의 불화’가 현재 가장 많은 정보를 전해주고 있습니다.

고려불화는 현재 일본을 중심으로 전세계에 160점 정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정작 우리에겐 제대로 된 게 한 점도 없었어요.

그러나 1980년대 호암미술관이 두 점을 구입한 뒤

지난해 태평양박물관이 사들인 것을 포함해 현재 9점 정도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고려불화는 일본 가가미진지(鏡神寺)에 있는 큰 탱화(높이 419.5㎝, 폭 254.2㎝)를 제외하면

대개 높이가 120~180㎝, 폭이 100~120㎝ 정도되는 작은 두루마리(권축 · 卷軸) 그림이에요.

따라서 고려시대 사찰에서 어떤 특정 목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그려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는데,

총 160여점 중 화기(畵記)가 있어 연도와 제작자를 확실하게 알 수 있는 것은 20점 정도지요.

고려불화는 1286년 만들어진 니혼(日本)은행 소장품 등 몇 점을 제외하면

거의 모두 14세기 전반(1300~1350년)에 만들어졌습니다.

문신귀족과 무신귀족이 각각 고려의 지배층이던 시기에 화려하게 꽃핀 청자와 상감청자처럼

고려불화도 중국 원나라 간섭기 지배층이었던 권문세족의 독특한 문화 속에서 나온 것입니다.

권문세족들이 가문의 안녕을 바라며 당시 사찰에 지어놓은 개인 원당(願堂)격인 암자에 걸어놓기 위한

특수한 형식으로 나온 게 고려불화란 것이지요.

고려불화가 일본에 많이 있는 것은 당시 일본인들의 주문으로 수출됐을 가능성과 함께

고려말 왜구와 임진왜란 때 많이 유출됐기 때문이며,

정작 일제강점기에 약탈된 것은 거의 없는 것 같습니다.

지옹인(知恩院)과 사이후쿠지(西福寺) 같이 일본 교토를 중심으로 한 명찰들에 주로 소장돼 있는데,

제사용 초상화 등이 100년, 200년이 지나 벌레가 먹고 습기가 차서 떨어지게 되면

새로 임모본(臨摸本)을 만든 뒤 불태워 없애버리는 우리와 달리

일본에선 개칠(改漆) 외에는 고쳐 써온 전통 때문에 지금까지 많은 고려불화가 남게 된 것이에요.

불교와 관련된 그림 중 가장 시기가 이른 것으로
755년,

호암미술관 소장 ‘신라백지묵서 대방광불화엄경(新羅白紙墨書 大方廣佛華嚴經)’에 실린

사경변상도(寫經變相圖)가 있습니다. 불경을 쓰는 형식 중 하나로 12세기가 돼서야 나오는

아코디언 접듯이 접게 된 첩(帖)의 형태가 아니라 두루마리 형태인 게 특징인데,

맨 앞에 경을 수호하는 의미로 사천왕과 제석천, 범천 같은 수호신상과 보상당초화문이 그려져 있지요.

 

'변상'이라고 하는 것은 경의 내용을 그림으로 바꿨다는 뜻입니다.

맨 마지막 부분에 제작 연대(1006년)와 함께

첫 번째와 두 번째 교정자의 이름이 기재돼 있는 감지(紺紙)에 금물로 쓴 ‘대보적경’이나

현재 세계기록유산으로 지정된 ‘직지심경’과 ‘훈민정음’ 등을 보면

우리가 활자매체와 언어에 대해 각별한 문화전통을 갖고 있었으며,

바로 이 점이 주변국 문화이면서도 강력한 문화력을 가질 수 있는 토대였음을 자부할 수 있게 되지요.

 

12세기 이후로는 부와 권력의 상징으로서 7권짜리 ‘묘법연화경(법화경)’과

‘대방광불화엄경’ 80권본을 금물로 쓴 사경이 유행하게 됩니다.

이중 법화경을 금물과 은물로 써서 7층 보탑을 그린

일본 교고고쿠지(敎王護國寺) 소장 ‘법화경서사 보탑도’는 참 끔찍스러운 느낌을 주는 작품입니다.

비천상 등 일부 도상을 제외하고 지붕골 등 7층 보탑 전체가 법화경 글씨로 이뤄진 이 작품을 보면

한국인이 규모가 작다거나 정치함이 부족하다는 것이 전혀 근거가 없음을 알 수 있게 되지요.

부석사와 수덕사 같은 고려시대 절에 일부 남아 있는 벽화와 강진 무위사의 조선초기 벽화는

고려시대 벽화 수준을 역추적할 수 있는 자료입니다.

    

(왼쪽) 일본 교고고쿠지소장 ‘법화경서사 보탑도’. 법화경을 적은 글씨로 탑그림을 그렸다.

 

(오른쪽) 고려 수월관음의 정형을 보여주는 내빈종사 서구방이 그린 ‘수월관음도’ 부분도.

 

속살이 훤히 비치는 시스루 패션을 표현해낸 섬세한 기법이나 공력에서

 

고려불화의 아름다움을 대표하는 작품이다.


 

족자 형태로 된 고려불화의 도상은 전부 구복(求福)과 관련된 아미타신앙에 국한된 것이 특징이에요.

‘아미타여래도’와 관음보살을 그린 ‘수월관음도’, ‘지장보살도’ 등이 대종을 이루며,

‘정토삼부경’ 중 ‘관(觀)무량수경’과 미륵이 중생을 제도해나가는 과정을 설명한 ‘미륵하생경’의 그림이

변상도로 그려지고 있습니다.

극락세계를 주재하는 아미타여래의 경우 ‘단독상’과 관음·세지보살을 거느린 ‘삼존(三尊)상’,

8대 보살을 모두 거느린 ‘구존(九尊)상’에다 이들이 다시 각각 좌상과 입상으로 표현돼

모두 6가지 유형으로 그려지면서 당시 인기를 끌었지요.

비교적 이른 시기인 13세기 말에 그려진 니혼은행 소장 ‘아미타여래상’과 달리

14세기 전반에 그려진 고려불화들은 도상과 연꽃 등의 문양이 고려식으로 변형된 것이 특징입니다.

1306년(충렬왕 32년)에 그려진 일본 네즈(根津)미술관 소장 ‘아미타여래상’ 화기에는

당시 부자간 왕위 다툼으로 원나라에 불려간 충렬왕과 충선왕, 충선왕의 왕비 등 세 전하가

하루 속히 귀국하기를 기원하는 내용이 기록돼 있습니다.

그런데 권문세족의 문화 속에서 나와서 그런지

고려불화의 도상 중 얼굴 부분은 인상이 하나같이 권위적인 게 특징입니다.

다른 것은 다 마음에 드는데 굉장히 근엄하고 상하구도도 엄격하게 짜여 있는 얼굴은 제 마음에 안들어요.

또 초본(밑그림)을 놓고 윤곽을 그린 다음 채색하고 문양을 넣는 작업 등이 철저하게 분업으로 이뤄진

고려불화의 제작 특성상 옷주름은 물결을 치는데 문양은 아무런 변화없이 그려지고 있습니다.

바로 이 점이 고려불화가 거의 몇가지 패턴으로 계속해서 그려진 내력이기도 하지요.

 

모든 중생의 구제를 자임한 지장보살 외의 모든 보살은 보관(寶冠)을 쓰고 있으며

협시보살은 부처님 무릎 위로 머리가 올라오지 못하게 그려집니다.

속살이 투명하게 비치는 보살들의 ‘시스루(Seethrough)’ 패션이나

모자를 썼을 때 앞 머리의 가는 머리카락이 팔(八)자로 날리는 맵시까지 표현해 낸 섬세함도

대단하지요. ‘아미타삼존도’의 입상은 대개 정면보다 4분의 3 방향의 측면을 바라보고 있습니다.

호암미술관 소장 ‘아미타삼존도’는 세지보살 대신 지장보살을 그려

구복신앙의 정수만 모아놓은 그림으로 고려불화의 다양성을 보여주는 작품이지요.

‘물방울관음’으로도 불리는 일본 센소지 소장 ‘수월관음도’는 지금까지 한번도 공개된 일이 없고

단지 사진만 전할 뿐입니다. 고려불화중 최고의 인기품목은 남인도 바다에 면한 보타락가산에 앉아

반가부좌를 틀고 용맹정진하고 있는 수월관음과 그 앞에 선재동자가 물음을 구하는 모습을 그린 것이지요.

그중에서도 버드나무 가지가 꽂혀있는 청자정병이 함께 나오는 수월관음도의 정형은

1323년(충숙왕 10) 내반종사(內班從事) 서구방(徐九方)이 그린 일본 스미토모(住友)은행 소장품이에요.

관세음보살의 전신을 감싼 흰 사라를 단순하게 흰색으로 칠하지 않고 미세한 흰선을 무수하게 반복적으로

그어 속살이 훤히 비치는 시스루 패션이 되도록 표현하기 위해 들어간 공력과 섬세함은

고려불화가 당시 세계미술사에서 당당하게 1등이 될 수 있었던 이유를 설명해줍니다.

모든 명작의 공통점은 디테일이 아름답다는 것인데, 고려불화도 예외가 아닙니다.

일본 다이도쿠지(大德寺) 소장 ‘수월관음도’는

동해 용왕과 의상대사의 낙산사 전설이 담겨 있는 게 특징입니다.

여의주와 육환장을 손에 든 ‘지장보살도’의 경우

단독상 외에 명부의 구세주답게 무독귀왕(無毒鬼王)과 도명존자(道明尊者),

사천왕, 범천과 제석천, 시왕(十王), 판관과 사자 등 권속들을 거느린 도상이나

무독귀왕과 도명존자만 협시한 삼존도 등으로 그려졌지요.

인도 마가다국 빈비사라왕 부자의 갈등과

부처님이 일러준 극락세계에 도달하는 16가지 방법을 설명한 ‘관무량수경’ 서품 변상도는

고려불화 중 가장 내용이 많고 화려합니다.

도솔천의 미륵이 하생해 중생을 구제하는 ‘미륵하생경’ 변상도와 함께

그림에 담긴 건축과 병풍 등의 세부 내용들은

단순한 불화를 넘어 고려시대 풍속화로서의 의미도 크지요.

우리는 고려시대 하면 청자만 얘기하며 문화능력을 과소평가하는 경향이 있는데

14세기 전반기 고려사람들이 이룩한 불화는 당시 세계문화사 속에서 당당히 1등을 차지한 품목입니다.

프랑스의 기메박물관과 독일의 베를린미술관, 미국의 메트로폴리탄박물관 등 세계 유수 박물관에서

고려불화를 소장하고 있는 것도 바로 그 때문입니다.

- 정리〓최영창기자 ycchoi@munhwa.com
- 문화일보, 2005-0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