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주짱의 하늘꿈 역사방

지켜(연재자료)

[조선후기 신지식인 한양의 中人들] 이언진 - 한어 역관

Gijuzzang Dream 2008. 3. 17. 20:15

 

 

 (18) 한어 역관 이언진의 활약상  

 
일본에서 문인들에게 환대를 받고 돌아온 역관 이언진(李彦진·1740∼1766)이
연암 박지원에게 자신이 지은 시를 보냈다.
“오직 이 사람만은 나를 알아 주리라.”고 생각한 것이다.
 
그러나 연암은 시를 가지고 온 사람에게
“이건 오농세타(吳細唾)야. 너무 자질구레해서 보잘 것 없어.”라고 하였다.
오농세타는 중국 오(吳)지방의 가볍고 부드러운 말을 뜻한다.
 
이언진이 명나라 말기 오지방을 중심으로 유행했던 유미문학을 본떴다고 비판한 것이다.
이언진은 노하여 “미친 놈이 남의 기를 올리네.” 하더니,
한참 뒤에 탄식하며 “내 어찌 이런 세상에서 오래 버틸 수 있으랴.” 하고는
두어 줄기 눈물을 흘렸다. 얼마 지나지 않아 이언진이 세상을 떠나자,
연암은 자신이 젊은 천재를 타박한 것을 뉘우치며 ‘우상전(虞裳傳)’을 지어 주었다.
우상은 이언진의 자이다.

소라이학파의 중견학자 이야세 류몬의 필담집 ‘동사여담’에 실린 이언진의 초상. 계미사행(1763)때에 일본 문인들이 조선통신사 수행원들과 주고받은 필담을 기록한 책이 30여종 남아 있다.

 

 

전기 6편 나왔지만 직접 만나 보고 쓴 작가는 없어

 

이언진이 25세에 일본에 가서 선풍적인 인기를 끌고 돌아오자 조선에서도 이름이 알려졌다.

하지만 2년 뒤에 병으로 죽었다.

일본에 가기 전에는 하찮은 역관이었기에, 그를 만나본 사대부 문인들이 별로 없었다.

게다가 자신이 지었던 작품마저 불태워 버리고 죽었기에,

그의 생애에 관한 자료는 별로 남아 있지 않다. 그런데도 그의 이름이 워낙 알려졌기에,

여섯명이나 되는 작가가 그의 전기를 지었다. 그 가운데 그를 만나본 사람은 하나도 없었다.

 

그가 남긴 시와 전해들은 이야기만 가지고 암중모색하며 그의 모습을 재구성해낸 것이다.

그를 가장 잘 이해했다는 이덕무도 그의 전기를 지으며 왜어 역관이라고 기록했다,

일본에 간 역관이니까 왜어 역관이라고 생각할 수 있겠지만, 그는 한어 역관이었다.

물건을 관리하는 압물판사(押物判事)로 따라간 것이다.

계미사행의 조선 문사들이 1764년 봄 성고원에서 일본 문인들과

필담을 나누며 한시를 주고받는 모습.

 

역관이었던 그의 아버지 이덕방(李德芳)은

문장이 뛰어난 아들을 낳게 해달라고 관제묘(關帝廟)에 빌어 이언진이 태어났다.

총기가 매우 뛰어나 눈길이 한 번 스치면 모두 이해했다.

문장이 뛰어난 아들을 원했던 것을 보면 글 잘하는 집안이었던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아버지는 역과에 합격하지 못해

‘역과팔세보(譯科八世譜)’ 합천이씨(陜川李氏)조에 ‘생도(生徒)’로 기록되었다.

사대부 족보는 조(祖) · 부(父) · 자(子) · 손(孫)으로 내려오지만,

역과 합격자들의 친가, 외가, 처가 선조들을 기록하는 ‘역과팔세보’는

손자부터 거슬러 올라가며 기록했다.

 

이언진의 할아버지 이세급(李世伋)은

1717년 역과에 10등으로 합격하여 동지중추부사(종2품)를 지냈다.

외할아버지 이기흥(李箕興)은

1714년 역과에 7등으로 합격해 절충장군(정3품)까지 올랐고, 집안 대대로 청학(淸學)을 전공했다.

 

위항시인들의 시선집인 ‘풍요속선’에서는 “파리한 모습에 손가락이 길었다.”고 묘사했는데,

이언진의 창백한 천재의 분위기를 연상케 한다.

이상적은 “총기가 세상에 뛰어나, 한 번 보면 잊지 않았다”고 했다.

이덕무는 “책 읽기를 좋아하여 먹고 자는 것까지 잊었다. 다른 사람에게 귀중한 책을 빌리면

소매에 넣어가지고 돌아오면서, 집에 올 때까지 기다리지 못해 길 위에서 펼쳐 보며

바삐 걸어오다가 사람이나 말과 부딪치는 것도 알지 못했다.”고 기록했다.

그는 타고난 천재일 뿐만 아니라 노력하는 천재였다.

 

이언진이 일본 문인들과 필담을 나누었던 대조루.

 

 

 

스승인 이용휴는 제자의 유고집 서문에서 이렇게 평했다.

“생각이 현묘한 지경까지 미쳤으며, 먹을 금처럼 아꼈고,

문구 다듬기를 마치 도가에서 단약(丹藥)을 만들 듯했다.

붓이 한 번 종이에 닿으면 전할 만한 글이 되었다.

남보다 뛰어나기를 구하지 않았는데도 사람들 가운데 그보다 나은 사람이 없었다.”

 

먹을 금처럼 아꼈다는 말은 시를 쓰면서 그 표현에 꼭 필요한 글자만 썼다는 뜻이고,

단약을 만들 듯했다는 말은 불순물을 걸러내기 위해 여러 번 갈고 닦았다는 뜻이다.

 

그러나 이러한 평가는 그가 세상을 떠난 뒤에 아쉬움과 함께 이뤄진 것들이다.

생전의 활동은 1759년 역과에 13등으로 합격해 두 차례 중국에 다녀오고,

1763년 통신사를 따라 일본에 다녀온 것이 전부였다. 그때 그는 25세 청년이었다.

 

통신사 일행은 오사카까지 조선 배를 타고 가 육지에 상륙해 수군을 남겨두고,

사신과 수행원들만 육로로 에도(江戶·도쿄)에 갔다.

오사카에서는 체제를 정비하느라 자연히 며칠 묵었다.

1월22일 손님이 워낙 많이 찾아오자

제술관 남옥은 오전원계(奧田元繼)라는 문인을 이언진에게 미뤘다.

“외당에 손님이 있으니, 나가서 접대해야겠습니다. 사역원 주부 이언진이라는 사람이 있는데,

이 사람이 고사를 잘 아니 만나보십시오. 분명히 새 이야기를 들을 수 있을 겁니다.”

남옥이 만날 일본 문인이 19명이나 되었으니, 그 가운데 한사람쯤 이언진에게 맡긴 것이다.

 

이언진은 이런 기회를 놓치지 않고 해박한 학식과 번쩍이는 시를 지어

일본 문인들의 기억에 강렬한 인상을 남겼다.

 

 

‘관상´과는 달리 출세 못한 채 요절

 

1월23일과 25일에는 임성(林成)이라는 관상가가 객관에 들려 조선 수행원들의 관상을 보아 주었다.

이언진이 자신의 관상이 어떠냐고 묻자,

“골격이 준수하고 학당(學堂)에 근본이 부족하지 않으니 크게 출세할 것”이라고 답했다.

학당은 귓문(耳門)의 앞쪽을 가리키는데,

관상서인 ‘태청신감’에서는 학당을 총명지관(聰明之館)이라고 하였다.

귀(耳)와 눈(目)이 모이는 곳이기 때문이다. 학당이 넉넉하면 문장을 떨치게 된다.

 

귀국한 지 2년 뒤에 이언진이 병들어 죽은 데다 아들마저 없어 양자를 들였으니

그의 관상 내용은 틀렸다. 하지만 조선 문사들과 필담을 나누며 한시를 주고받았던 임성이

이언진의 영민한 모습에 주목했던 것만은 사실이다.

이러한 관상 이야기는 ‘한객인상필화(韓客人相筆話)’에 실려 전한다.

 

일본 문인들은 조선 문사들의 시를 얻고 싶어서, 음식을 싸가지고 며칠씩 걸어와서 만났다.

명함을 들여놓으며 만나 달라고 신청한 다음에, 허락받으면 들어와서 인사를 나누고

필담과 시를 주고받았다. 하루에도 몇 명씩 만나고 몇 십수씩 시를 짓느라 조선 문사들은 지쳤다.

서기들은 그것이 임무였기에 피할 수 없었고, 서너달 동안 이천수 정도 짓는 것은 흔한 일이었다.

 

그러나 이언진은 한어 역관이었기에 바쁘지 않았다. 일본어 통역을 해야 할 필요도 없었고,

서기들처럼 의무적으로 일본 문인들을 만나 시를 주고받을 필요도 없었다.

그 대신에 자신이 만나고 싶은 문인이 나타나면 자기가 먼저 그에게 접근해서

이야기를 나누며, 시를 주고받았다.

 

서기들처럼 하루에 백여수를 짓다 보면 천편일률적인 시가 나올 수밖에 없지만,

그는 어쩌다 짓고 싶을 때에만 지었기 때문에 개성이 번쩍이는 시를 지을 수 있었다.

그랬기에 그의 시를 받아본 일본 문인들은 그를 가장 높이 평가했다.

사신 행렬이 어느 도시에 들어가기 전에 그의 이름이 먼저 퍼졌다.

그가 부채에 써준 것만 해도 500개나 되었다고 한다.

 

 

박지원에 혹평 받고 충격… 원고 대부분 소각

 

사상이 다양했던 일본 문인들은 성리학 일변도의 조선 문사들과 필담을 나누며 한계를 느끼다가,

명나라 고문파(古文派) 문인 이반룡과 왕세정을 숭상하는 이언진에게 흥미를 느꼈다.

 

정주학(程朱學)에서 벗어나 옛날의 말로써 옛날의 경전을 해석하자고 주장하는

조래학자(徠學者)들이 찾아와 송학(宋學)을 비판했다.

이에 이언진은

“국법이 송유(宋儒)를 벗어나 경서를 설명하는 자는 중형을 내리니,

이런 일에 대해 감히 말할 수 없습니다.”라고 사양하면서 문장에 대해 논하자고 하였다.

 

구지현 선생은 ‘이언진과 일본 문사 교류의 의미’라는 논문에서

“필담 내내 이언진은 왕이(王李)로, (조래학자) 정민경(井敏卿)은 이왕(李王)으로

칭하는 것에서부터 양쪽의 견해가 처음부터 차이를 가지고 있었다.”고 하였다.

 

이언진은 고문처럼 쓰는 게 목적이 아니라 고문의 정신을 잘 체득하여

자기 나름대로 일가를 이루는 것이 목적이었기에,

이반룡이 아니라 왕세정에게 더 관심을 가졌던 것이다.

그가 앞서 지나갔던 곳을 돌아오는 길에 다시 이르자 그의 시집이 이미 출판되어 있었지만,

일본 문인들은 그가 자신들과 다르다는 것을 알았기에 관심도 시들해졌다.

 

그는 사행에서 돌아온 이듬해인 1765년 ‘일본시집’을 편집하고 짧은 머리말까지 썼지만

출판하지 못했다. 그 자신도 자기의 문장이 평범치 않다는 것을 알아,

병이 깊어 죽게 되자 원고를 모두 불태워 버렸다.

“누가 다시 이 글을 알아주겠느냐.”라고 생각한 것이다.

 

같은 해 박지원에게 품평을 구했다가 혹평을 당한 충격이 컸다.

그가 죽었다는 소식을 들은 박지원은

“우상이 나이가 젊으니 부지런히 도(道)에 나아간다면 글을 지어 세상에 전할 만하다고

생각했었다.”라고 변명했다. 기이한 것보다 정도에 힘쓰라고 권면했는데,

“우상은 내가 자기를 좋아하지 않는다고 생각했다.”는 것이다.

 

그나마 아내가 불길 속에 뛰어들어 일부를 건져냈다.

그의 원고는 ‘피를 토하는 글’이라는 뜻의 구혈초(嘔血草)라고도 불렸고,

유고집은 ‘타다 남은 글’이라는 뜻의 ‘송목관신여고(松穆館燼餘稿)’라는 이름으로 간행되었다.

- 허경진, 연세대 국문과 교수

- 서울신문, 2007-04-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