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주짱의 하늘꿈 역사방

지켜(연재자료)

[조선후기 신지식인 한양의 中人들] 안동 장씨 - 역관의 명문

Gijuzzang Dream 2008. 3. 17. 20:16

 

 

 (16) 역관 명문 인동 장씨

 
지금까지 확인된 조선시대 잡과(雜科) 합격자는 모두 6122명이다.
이 가운데 역과가 2976명, 의과가 1548명, 음양과가 865명, 율과가 733명 순이었다.
 
산학(算學)은 정조 즉위년(1756)부터 주학(籌學)이라고 했는데,
잡과에서 제외되었기 때문에 취재(取才)를 통해 1627명 이상 선발했다.
역과가 가장 많은 합격자를 냈는데, 인조가 병자호란 때에 남한산성에서 나와
청나라에 항복한 이후 역관(譯官)의 업무가 중요해졌기 때문이다.
 
조정에서는 사신들의 여비를 공식적으로 지급하지 않고,
1인당 인삼 여덟자루(80근)를 중국에 가져다 팔아 쓰게 했다.
돌아올 때에 골동품이나 사치품을 사다가 팔면 몇배의 장사가 되었다.
 
인삼이 차츰 귀해지자,
인조 때에는 인삼 1근에 은 25냥으로 쳐서 2000냥을 가져다 무역하게 하였다.
사신들은 중국 장사꾼과 만날 수 없어 사신들의 몫까지 역관들이 대신 무역했다.
역관들이 무역을 통해 막대한 재산을 축적하고, 서울의 돈줄은 역관의 손에 달려 있었다.
 

대빈궁(大嬪宮). 장희빈의 신위를 모신 사당.

1908년에 다른 궁들과 함께 영조의 생모 신위를 모신 육상궁(毓祥宮)에 옮겨 모셨다. 임금의 생모이면서도 왕비에 오르지 못한 일곱분의 신위를 육상궁에 함께 모시고 제사를 지내기에 칠궁이라고도 한다. 청와대 경내에 있다. 

 

연암 박지원의 소설 ‘허생전’에서 허생이 돈을 빌린 갑부 변씨도 역관이다.

변씨는 허생을 어영대장 이완에게 추천하여 벼슬을 주려 했다.

역관들은 막대한 재산과 해박한 국제정세를 통해 정권의 핵심에 가까이 다가갔다.

역관의 딸로 왕비에까지 오른 장희빈이 대표적인 예이다.

 

인동 장씨는 역과 합격자가 22명뿐이라 전체의 1%도 채 안되지만,

1등 합격자가 많고 정치적·경제적 수완이 뛰어난 인물들이 나와 역관 명문을 이루었다.

 

 

역관들 중국과의 인삼무역으로 막대한 돈 벌어

 

원래 양반인 인동 장씨 집안에서는 20대 경인과 응인 대에 이르러 처음 역관이 되었다.

장경인은 1628년 명나라에 진향사(進香使) 역관으로 갔다가

사신이 재촉해 시세에 맞게 팔 수 없게 되자 중국인 앞에서 서장관을 욕해 나중에 심문을 당했다.

경험이 없어 첫 장사에 실패한 것이다.

 

그의 맏아들 장현(張炫)이 1639년 역과에 1등으로 합격해 사역원에서 중국어를 가르치고,

40년 동안 북경에 30여차례나 다녀왔다.

 

‘인동장씨세보’에는 장경인 이하 역관 집안이 빠져 있어,

김양수 교수는 역과방목과 ‘역과팔세보(譯科八世譜)’ 등을 통해

이 집안이 어떻게 역관 집안으로 정착되었는지 조사했다.

 

다른 역관들도 인삼 무역을 통해 부자가 되었지만, 장현은 색다른 방법을 썼다.

자신의 딸을 효종의 궁녀로 넣어, 왕을 후견인으로 삼은 것이다.

 

 

KBS 2TV를 통해 방영된

드라마 ‘장희빈’의 한 장면.

왕명으로 화포까지 밀수입

 

효종 4년(1653) 7월에 대사간 홍명하가

자신의 벼슬을 바꿔달라고 아뢰었다.

사신들이 압록강을 건널 때에 화물 50여 바리에 내패(內牌)가 꽂혀 있어 물의를 일으킨데다, 불법무역을 심문당하던 역관 김귀인이 동료들의 이름을 끌어대자 형관이 손을 저어 말렸기 때문.

제대로 조사하지 못한 책임을 지고 물러나겠다는 뜻이었다.

 

내패(內牌)는 내수사(內需司)의 짐이라는 꼬리표였으니,

역관 장현의 짐이라는 것을 알았지만 아무도 손댈 수 없었다.

 

효종은 “풍문이 사실과 다르다.”면서 장현을 감싼 뒤에,

도강 초기에 50바리라는 것을 알았으면

왜 그때 조사하지 않고 지금 와서 시끄럽게 구느냐고 오히려 나무랐다.

 

이날의 실록 기사에는 장현의 이름이 나타나지 않았지만,

사관은 이 기사 끝에

“성명을 끌어댄 자는 역관 장현인데, 궁인(宮人)의 아버지이다.”라고 붙였다.

 

대사간이나 효종의 입에서는 장현의 이름이 끝내 나오지 않았지만,

알 만한 사람은 다 알고 있었던 것이다.

 

이 한번의 무역만으로도 엄청난 이익을 남겼는데,

무역량과 그 이익은 해가 가고 직급이 높아질수록 눈덩이처럼 커졌다.

심지어는 화포(火砲)까지 밀수입하다 청나라 관원에게 적발되기까지 했다.

 

염초(焰硝)나 유황(硫黃), 화포 등의 무기류는 금수품(禁輸品)이다.

선양에서 모욕적인 인질생활을 겪었던 효종은 복수를 다짐하며 북벌책(北伐策)을 강구했으며,

기회가 있을 때마다 무기를 사들였다.

 

현종 7년에도 최선일이

염초와 유황을 밀수하다 적발돼 청나라 사신에게 문책당하고 몇천금의 뇌물을 썼다.

숙종 17년(1691) 6월에는 장현의 밀수건이 문서로 넘어왔다.

몇년 전에 청나라에서 화포 25대를 구해오다가 봉황성장(鳳凰城將)에게 적발된 사실이

자문(咨文)으로 이첩돼와, 조정에서도 할 수 없이 “장현을 2급 강등시키겠다.”고 청나라에 알렸다.

 

그가 역모를 꾸미지 않았다면, 화포는 당연히 나라에서 쓸 물건이다.

적어도 화포 밀수건은 왕의 묵인하에 저지른 사건이라고 볼 수 있다.

장현의 신임이 그만큼 두터웠고, 그에 따른 경제적 이익도 막대했으리라고 짐작된다.

 

응인은 경인과 사촌 간으로 선조 16년(1583) 의주에 역학훈도(譯學訓導)로 있었다.

목사와 통군정에 올라 시를 짓는데, 술을 따르고 운을 부르자 술잔이 식기 전에 시를 지을 정도로

문학적 재능이 뛰어났다.

그의 아들 장형(張炯)도 취재를 거쳐 사역원 봉사를 지냈다.

그의 장인 윤성립은 밀양 변씨 역관 집안의 사위였다.

 

장형의 맏아들 장희식은 효종 8년(1657) 역과에 장원으로 합격해 한학직장(漢學直長)이 되었으며,

작은아들 장희재는 총융사까지 올랐다.

딸이 장희빈이니, 장희빈의 외할머니는 조선 최고의 갑부 역관 변승업의 큰할아버지 딸이었다.

안팎으로 역관 집안들과 혼맥을 이루면서, 인동 장씨도 역관 집안의 핵심이 되었다.

 

 

 

정치력 발휘, 장희빈을 왕비로

 

장희빈이 처음 종4품 후궁인 숙원(淑媛)에 봉해지던 숙종 12년(1686) 12월10일

사관은 이렇게 기록했다.

 

장씨를 책봉하여 숙원으로 삼았다.

전에 역관 장현은 온나라의 큰 부자로 복창군 이정과 복선군 이남의 심복이 되었다가

경신년(1680) 옥사에 형을 받고 멀리 유배되었는데, 장씨는 바로 장현의 종질녀(從姪女)이다.

나인(內人)으로 뽑혀 궁중에 들어왔는데, 얼굴이 아주 아름다웠다.

경신년(1680)에 인경왕후가 승하한 후 비로소 은총을 받았다.

 

 

왕실과 가까이 했던 장현은 경신대출척으로 한때 밀려났지만,

바로 그해에 오촌 조카딸 장희빈이 숙종의 눈에 들면서 기사회생하였다.

장현이 딸을 궁녀로 들였던 것처럼, 장형도 역시 딸을 궁녀로 들였다.

인경왕후는 노론 김만기의 딸이니, ‘구운몽’의 작가 김만중의 조카딸이기도 하다.

 

숙종 14년(1688) 10월에 장씨가 아들을 낳자

숙종은 노론의 반대를 무릅쓰고 원자로 정해 종묘사직에 고했으며,

소의(昭儀 · 정2품) 장씨를 희빈(정1품)에 봉했다.

노론을 견제하려던 종친과 남인들이 장희재 주변에 모여들자,

서인의 영수 송시열이 “원자로 정하는 것이 너무 이르다.”고 상소했다가

남인의 공격을 받고 삭탈관직당했다.

노론의 등쌀을 지겨워했던 숙종이 장희빈에게 마음이 기울면서 남인을 편들어준 것이다.

다음날로 목내선을 좌의정에, 김덕원을 우의정에, 심재를 우의정에 임명하면서 정국을 뒤바꿨다.

 

이것이 바로 기사환국이다.

장희빈의 아버지 장형은 영의정, 장수는 좌의정, 할아버지 장경인은 우의정에 추증하여,

역관 집안이 정국의 핵심에 들게 되었다.

목내선은 “역관 장현이 청나라 내각의 기밀문서를 얻어온 공로를 표창해 주십사.”고 아뢰었다.

이미 품계가 숭록대부(종1품)까지 올라 더 이상 오를 수 없지만

“600금이나 비용을 쓴 점을 감안하여 그 자손에게라도 수여하자.”고 하자,

왕이 “그 자손에게라도 한 급을 올리라.”고 했다.

 

장희빈이 왕비로 책봉되자, 오빠 장희재도 포도대장을 거쳐 총융사에 올랐다.

 

 

서울의 돈줄 좌지우지

 

숙종실록 18년 10월24일 기사에 재미있는 이야기가 실렸다.

 

왕이 주강(晝講)에 나오자, 무신 장희재가 아뢰었다.

“신이 주관하고 있는 총융청은 군수(軍需)가 피폐하므로, 병조판서 민종도와 상의하였습니다.

병조의 은 1만냥을 꿔다가 장차 교련관에게 주고, 사신이 북경에 갈 적에 같이 가서 잘 처리하여

그 이득을 가지고 동(銅)을 무역해다가 주전(鑄錢)하는 재료로 삼기로 했습니다.”

그러자 임금이 옳게 여겼다.

이때 민종도와 장희재가 서로 안팎이 되어 마구 뇌물 주기를 자기들 하고 싶은 대로 했었다.

 

 

숙종이 기사환국을 통해 당쟁으로 약화된 왕권을 회복하려고 하자,

남인들이 그 기회를 이용해 집권하고 서인에게 복수하려 했다.

 

장희재는 국고를 이용해 역관의 무역방식으로 재산을 불렸다.

후대의 사관은 군수(軍需)를 빙자한 무역의 이익이

결국은 두 사람의 뇌물로 쓰였을 것이라 판단했다.

수출과 수입을 통해서 몇배를 벌어들인 뒤에 그 구리로 동전까지 찍어 풀었으니,

얼마가 남는 장사였는지 계산하기 힘들다.

서울의 돈줄이 역관 집안에서 나왔다는 사실은 ‘허생전’ 뿐만 아니라 이러한 기록에서도 확인된다.

- 허경진, 연세대 국문과 교수

- 서울신문, 2007-04-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