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주짱의 하늘꿈 역사방

지켜(연재자료)

[조선후기 신지식인 한양의 中人들] 마재인(馬才人)과 마상재(馬上才)

Gijuzzang Dream 2008. 3. 17. 20:15

 

 

 (20) 마재인(馬才人)과 마상재(馬上才)  

 
연암 박지원이 ‘우상전’에서 소개한 통신사 수행원의 열댓가지 기예 가운데 하나가 마상재(馬上才)이다.
마상재란 말 위에서 하는 재주를 말한다. 달리는 말 위에서 총쏘기, 달리는 말의 좌우로 등을 넘기, 말 위에 누워 달리기, 말 다리 밑으로 몸을 감추기 등의 여덟가지 무예이다.
 
‘증정교린지(增訂交隣志)’의 신행각년례(信行各年例)에서는
“양마인(養馬人), 잡예기능(雜藝技能), 그림을 잘 그리는 자, 글씨를 잘 쓰는 자, 이름난 의원, 말타기 재주가 있는 자(馬才人)들을 거느리고 온다.”고 했다.
 
통신사가 일본에 갈 때에 꼭 데리고 갈 전문가로
화원, 사자관(寫字官), 의원, 마상재를 꼽은 것이다.
 

사가현립 나고야성박물관에 소장된 ‘마상재도권’ 가운데

지기택과 이두흥이 거꾸로 달리는 모습과 서서 달리는 모습.

 

훈련도감에서 훈련시키고 임금이 직접 시험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무예를 조직적으로 훈련시키기 위해 1594년 훈련도감을 설치했다.

명나라 장군 낙상지(駱尙志)가 영의정 유성룡에게 “조선이 아직도 미약한데 적이 영토 안에 있으니, 군사를 훈련시키는 것이 가장 급하다. 명나라 군사가 철수하기 전에 무예를 학습시키면 몇년 사이에 정예가 될 수 있으며, 왜병을 방어할 수 있다.”는 제안에 따른 것이다.

 

여기서 곤봉, 장창, 쌍수도 등의 무예를 연마하기 시작해 차츰 종류가 늘었다. 나중에 마상쌍검, 마상월도(馬上月刀), 마상편곤(馬上鞭棍), 격구(擊毬), 마상재 등의 마술들이 추가됐다.

이를 토대로 ‘무예도보통지(武藝圖譜通志)’를 편찬했는데, 말 타고 하는 여러 가지 무예가 그림으로 자세하게 소개됐다.

 

마상재는 기마민족의 특성을 가장 잘 보여주는 무예로, 역대 임금들이 친히 시험하였다.

정조가 1784년 9월23일에 창경궁 춘당대에 나아가 초계문신(抄啓文臣)들에게 친시(親試)를 행하고, 별군직(別軍職)에게 자원에 따라 마상재를 시험 보이라고 명했다. 그러나 모두 회피하자 두령이었던 신응주를 잡아들이도록 명하고 하교하였다.

 

“너희들은 모두 활 쏘고 말 타는 재주 때문에 지금 나와 가장 가까운 자리에 있는데, 오늘같이 내가 나와서 시험보는 날에도 서로 미루면서 어명에 응할 생각을 하지 않고, 말 달리거나 칼 쓰는 일을 부끄럽게 여기는구나.

약간의 무예를 지니고도 핑계를 대고 회피한 구순은 귀양 보내고, 나머지는 모두 삭직하라.”

 

1711년 제8차 통신사 행렬에서

일본인 마부와 짐꾼, 호위병을 포함해서 14명이 마상재 지기택과 이두흥을 모시고 가는 모습.

마상재가 입은 옷은 우리 조정에서 내려준 옷감으로 만들었다.

 

숙종, 영조, 정조가 춘당대에서 자주 마상재를 시험 보였으며, 조선의 마상재가 뛰어나다고 소문이 나자 일본에서는 통신사가 올 때마다 마상재를 꼭 보내달라고 청했다.

 

 

쓰시마의 외교능력 등 떠보려 초청

 

인조 12년(1634) 12월10일에 동래부사 이흥망이 아뢰었다.

일본 쇼군이 유희를 좋아해 조선의 마상재를 보내달라고 청했다는 것이다. 그러자 비변사에서 12월14일 절충안을 내었다. 임진왜란에 끌려간 포로 가운데 고국으로 돌아오기를 원하는 사람이 많은데, 마상재를 보내면서 우리 백성을 돌려달라고 청하자고 했다.

 

이듬해(1635년)에 역관 홍희남이 돌아와 그 내막을 아뢰었다. 쇼군이 쓰시마 도주를 시켜 마상재를 청한 까닭은 우리나라 교린정책이 참인지 거짓인지를 떠보고, 한편으로는 쓰시마 도주가 조선과 일본 사이에 외교복원을 주선한 것이 사실인지 거짓인지를 정탐하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3대 쇼군 도쿠가와 이에미쓰(德川家光)는 쓰시마에서 국서(國書)를 위조한 야나가와 잇켄(柳川一件) 때문에 쓰시마의 외교력과 그 진심을 시험해 볼 필요가 있었던 것이다.

 

조선 조정에서는 청나라와의 상황이 불안했으므로 후방이라도 안정을 확실히 하기 위해 1636년 제4회 통신사와 함께 마상재를 보냈다.

마상재가 단순 구경거리를 넘어 외교의 첨병 노릇을 톡톡히 한 것이다.

 

 

일본에서는 문예보다 우대받았던 무예

 

통신사가 일본에 갈 때마다 마상재를 시범보였다.

1748년 통신사의 종사관인 조명채(1700∼1764)가 기록한 ‘봉사일본시문견록(奉使日本時聞見錄)’에 가장 자세히 기록되었다.

 

궁내청 서릉부에 소장된 ‘조선인희마도(朝鮮人戱馬圖)’에는 ‘지기택 34세,이두흥 29세’라는 소개와 함께 7종류의 곡예가 섬세하게 그려져 있다.

모두 조선통신사문화사업추진위원회에서 편찬한 ‘마음의 교류-조선통신사’에 실린 그림.

 

쓰시마에 도착하자 도주가 환영잔치인 하선연(下船宴)을 베푼다고 3월7일에 알리면서 마상재, 사자관, 화원의 기예를 보려고 청하였다. 조명채는 “전례가 그러하였다.”고 기록했다.

 

말타기, 글씨, 그림의 기예는 에도에 가서 보여주는 게 목적이었지만, 일본측에서는 오가는 길에 기회가 있을 때마다 청했다. 조선에서는 국위를 선양하기 위해 아낌없이 재주를 자랑했다.

이날도 “사자관과 화원 및 역관들이 들어가서 재배를 하자 도주가 일어나 손을 들어 답례하고, 그가 청하는 대로 각각 제 재능을 다해 보이자 좌우에서 모시는 자들이 모두 감탄하며 칭찬했다.”고 한다.

이들은 돌아와서 “태수의 집뜰 바닥에는 모두 달걀 같은 자갈을 깔았는데 밟으면 사각거리는 소리가 나며, 마루 위에 오르면 바퀴 같은 물건이 마루 밑에서 굴러 윙윙 울리는 소리가 났다.”고 이야기했다. 조명채는 “아마도 도둑을 막는 방법인가 보다.”라고 생각하며, 조선 사대부의 집 구조와 다른 점을 기록했다.

 

15일에는 태수가 마상재에게 은자 두닢을, 사자관과 화원에게는 각각 한닢을 보냈다. 일본돈 한닢이 조선 화폐로는 넉냥 두돈이라고 했다. 문예를 숭상하는 조선에서는 글씨나 그림을 더 높이 쳤지만, 무예를 숭상하는 일본에서는 마상재를 두배나 높이 쳤다. 에도에 도착하자 5월30일부터 마상재 연습이 시작됐다.

 

비장(裨將)과 역관들이 마상재를 하는 마재인(馬才人)을 데리고 쓰시마 도주의 에도 저택에 가서 연습했다. 대문 안에 새로 판잣집을 만들어 놓고 술과 안주를 대접하며 마상재를 한 차례 시범했는데, 마장(馬場)이 짧아서 재주를 다 보이지 못했다고 한다.

쓰시마 도주가 마상재가 입을 쾌자 한 벌씩을 만들어 보냈는데, 모두 큰 무늬를 놓은 비단이었다. 이 또한 전례에 따른 것이다.

 

6월3일에 비장과 역관들이 마재인을 데리고 쇼군의 궁에 들어갔다가 오후 네시쯤에야 돌아왔는데, 조명채는 마재인의 보고를 그대로 기록했다.

 

“쇼군의 후원은 홍엽산(紅葉山) 아래에 있었는데, 소나무와 전나무가 어울려 푸르고 대(臺)나 연못은 만들지 않았습니다. 멀리 바라보니 주렴과 비단 휘장을 드리운 누각이 있었는데, 쇼군이 앉은 곳인듯했습니다. 누각 아래에 여러 관원들이 다담(茶)을 땅에 깔고 꿇어 앉았으며, 호위병들이 조총과 창칼을 메고 줄지어 서 있었습니다.

말이 나가거나 멈추는 곳에는 쓰시마 봉행(奉行)의 간검(看檢)이 있어, 말이 나갈 때에는 봉행이 쇼군의 누각 아래에 나아가 아뢰었습니다. 길은 편편하고 넓었지만 간간이 수렁이 있어 말발굽이 빠졌는데, 섰다가 도로 앉아 간신히 말에서 떨어지는 것을 면했습니다.

말이 수렁에서 빠져나오기를 기다려 곧 일어서자, 궁중에서 구경하던 자들이 모두 박수를 쳤습니다. 그들이 일부러 수렁을 만들어 놓고 우리를 시험한 것인데, 잘 달리는 것을 보고 나서야 편한 길로 달리게 했습니다. 온갖 재주를 다 보여준 뒤에 끝났습니다.”

 

 

달리는 말 타고 130보 거리 과녁 적중

 

구경꾼 가운데에는 그 전 사행의 마상재를 구경한 자도 있었는데, 이번 마상재가 그때보다 훨씬 잘했다고 칭찬했다.

 

10일에는 쇼군궁에서 마상재 이세번과 인문조 외에 활쏘는 군관까지 8명을 초청했다.130보 과녁을 거리에서 쏘았는데, 이주국이나 이백령 같은 군관들은 5발을 모두 맞혔지만 마상재가 전문인 인문조는 3발, 이세번은 2발을 맞혔다.

 

그 다음에는 말을 타고 추인(人)을 쏘았는데, 역시 군관들은 5발을 다 맞히고 마상재는 3발을 맞혔다. 군관 이일제가 첫번째 추인을 맞힌 뒤에 말안장이 기울어져 떨어질 뻔하다가 곧 몸을 솟구쳐 안장에 바로 앉고 달리면서 나머지 화살을 다 맞히자 구경꾼들이 모두 감탄했다.

 

일본인들은 말을 잘 타지 못했기 때문에 날쌔게 달리는 것만 보아도 장하게 여기는데, 백발백중의 솜씨를 보이자 칭찬을 아끼지 않은 것이다.

 

에도에서 일정을 다 마치고 떠나게 되자, 6월12일 마상재가 타던 말 2마리를 쓰시마 도주에게 선물로 주었다. 이것 또한 전례에 따른 것이다.

 

이튿날 쇼군이 마상재를 포함한 사원(射員)과 화원, 사자관에게 은자 60매를 상으로 보냈다.

 

조선에서는 문예보다 천대받던 무예, 특히 마상재가

사무라이를 높이던 일본에서는 존중받고, 국위를 선양한 모습까지 볼 수 있다.

- 허경진, 연세대 국문과 교수

- 서울신문,  2007-05-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