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에서 일기예보는 언제 시작됐을까?
기상관측의 시점은 널리 알려진데 반해 기상예보의 시작을 기록한 자료는 지금까지 없었다.
‘1905년 11월 2일자’ 일기도 한 장만이 가장 오래된 일기도로 기록됐지만
그 내용이 상세히 알려지지는 않았다. 그렇다면 1905년 11월 1일이 일기예보의 시작일까? 이를 결정하기란 결코 쉽지 않다.
시각에 따라 시점이 판이하게 다르기 때문이다.
‘기상관측의 시작을 일기예보의 시작이라고 볼 수 있는가’
‘정기적으로 관측했거나 국가조직이 주도해야 하는가’
‘일제 침략사를 포함시킬 것인가’에 따라 시점은 달라질 수밖에 없다.
이번에 발견된 일기도가 그려지기 전까지는 기상관측만이 이뤄졌다.
1881년 2월부터 한성 주재 일본공사관은
하루 세 번 기상을 관측한 뒤 그 결과를 본국에 보고했다.
1883년부터는 인천, 부산, 원산에 들어온 청나라인이
매일 기상관측을 했다는 기록이 남아있다.
하지만 본격적인 근대기상의 시작은 일본의 기상관측과 맥을 함께 한다. 일본 근대 기상은 1875년 6월 1일 도쿄에 기상대가 처음 세워지면서 시작됐다고 볼 수 있다.
9년 뒤인 1884년 6월 일본은 일기예보를 시작했는데 이때 처음 부산에서 관측한 기상정보가 이용됐다.
다시 2주 뒤인 6월 16일부터 일본 중앙기상대가 일본전신국에 위탁해 부산에서 정기적인 기상관측을 시작했다.
물론 이는 전적으로 일본의 국익을 위해서 실시된 것이었다.
청나라와 러시아와 전쟁을 치뤄야 하는 일본은 대량 해상수송과 해상안전을 위해 기상관측의 필요성을 절감했다.
전쟁을 시작한지 한 달 뒤인 3월초 도쿄 중앙기상대는 와다유지(和田雄治)를 조선의 기상관측 책임자로 발령했다. 그는 훗날 조선이 측우기를 발명했으며 빛나는 측우문화가 있다는 사실을 세계에 처음 알린 자이기도 하다.
그가 부임한 뒤 기상관측소의 기구는 더욱 확장됐다.
같은 해 9월에는 조선의 제주도와 울릉도, 중국의 다롄, 옌타이, 톈진에서,
10월에는 항저우, 난징에서 기상관측이 시작됐다.
그래서 1904년 10월까지 새로 세워진 기상관측소는 13개에 이르렀고
매일 세 차례 관측이 이뤄졌다.
그리고 일본 내 30여개 관측소에서도 매일 새로운 기상 관측 자료를 수집했으며
군대 집결지와 섬 지역의 일본 해군 감시 망루에서도 기상관측을 실시했다. 이 정도라면 일기도를 작성하고,
천기(일기)예보와 폭풍경보를 발표할 수 있을 만큼 충분한 정보였다.
더욱이 와다유지는 도쿄에서 일기예보를 해왔던 유능한 예보관이었다.
하지만 이 시기에 작성된 일기도는 아직 발견되지 않았다.
대한제국도 이 무렵부터 자체적인 기상관측사업을 시작한다.
1907년(광무 11) 1월 평양과 대구측후소에서 기상관측을 시작했으며
2월1일에는 황제가 직접 기상관측을 독려하는 칙령을 내리기도 했다.
같은 날 경성에도 측후지소가 문을 열었는데 훗날 서울측후소의 전신이 된다.
하지만 이들 측후소들은 관측업무만 담당했을 뿐 예보기능은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1907년 4월 1일 마침내 일본은
일본 중앙기상대에 소속된 모든 임시관측소와 대한제국 소속의 모든 측후소를 흡수해
통감부 관측소로 만들었다.
1908년 4월 이들 통감부 관측소는 다시 일본 농상공부 관측소로 이름을 바꾸고
모든 업무를 일본인들에게만 맡겨 버렸다.
여기엔 두 가지 깊은 뜻이 담겨 있다.
1907년부터 1908년 3월 31일까지 대한제국에 기상전문인력이 존재했다는 것과
일본이 조선에 기상기술을 전수하지 않았다는 점이 바로 그것이다.
농상공부 관측소는 대한제국이 일본에 강점된 1910년 조선총독부관측소로 바뀌었으며
와다유지가 이 과정을 주도했다.
2005년 우리나라 정부는
2004년 3월 25일을 근대기상 100주년으로 정했지만 성급한 측면이 많다.
여러 다른 의견이 있었음에도 일본기상학회의 주장만을 따른 결과다.
물론 보는 각도에 따라 일본의 주장이 옳다 할 수도 있겠으나,
침략의 역사를 잔치까지 열어가며 기념한 것은 아무래도 설득력이 부족하다.
기압계나 온도계의 사용 시점을 기준으로 삼는다면 1881년이 돼야 마땅하다.
국가 기관 설립 시점을 중시한다면 갑신정변이 일어난 1884년 6월이 될 것이다.
일기예보 기록을 중요하게 여긴다면
최초의 자료가 나타날 때까지 1905년 11월 1일을 기준으로 삼아야 할 것이다.
단 침략사를 고려하지 않는다면 말이다.
만일 우리민족이 주도했는가를 중시한다면
대한제국 시기인 1907년 1월 1일 또는 2월 1일이거나 광복절을 시점으로 잡아야 한다.
성급하게 결정된 기념일이 200, 300년 잘못된 잔치로 이어지는 것은 막아야 하지 않을까. - 변희룡 교수의 ‘1905년 11월 1일 날씨 맑음’(2005년 12월호)에서 발췌 및 편집
- 2008년 02월 26일, 동아사이언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