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아가는(문화)

대취타 - 힘차고 장엄한 행진음악

Gijuzzang Dream 2008. 1. 12. 03:48

 

 

 

 힘차고 장엄한 행진 음악, 대취타

 

 

텔레비전 사극에서 왕이 행차하는 장면을 본 적 있나요?

그 때 크게 울려 퍼지는 음악이 바로 대취타예요.

 

우리나라 전통음악은 정악과 민속악으로 나눌 수 있는데,

정악은 궁중의 왕족과 양반들이 즐기던 음악이고, 민속악은 민중들이 좋아하던 음악이에요.

대취타는 종묘제례악과 함께 정악에 속하는 대표적인 음악이랍니다.


명금일하대취타 하랍신다


대취타는 왕의 행차나 군대 행진에서 취고수들이 연주하는 행진 음악이에요.

태평소, 나발, 나각, 바라, 징, 용고 등과 같이 소리가 큰 취악기와 타악기로 연주하지요.

 

대취타를 연주할 때에는

손에 ‘둥채’라고 하는 지휘봉을 든 집사가 “명금일하대취타 하랍신다.” 하고 소리를 칩니다.

이어서 징수가 징을 두 번 크게 치고 북수가 북을 둥둥 치면

태평소를 비롯한 모든 악기들이 일제히 ‘퉁 쾌 처르르’ 하며 힘차고 웅장하게 울려 퍼지지요.

 

태평소가 중심 선율을 연주하는 가운데 나발과 나각이 번갈아 ‘뚜우’ 소리를 길게 내고,

바라와 북과 징은 박자를 맞춥니다.

 

음악이 힘차고 웅장해서 듣고 있으면 가슴이 시원해지지요.

나중에 대취타를 듣게 되면 악기와 연주 방법을 생각하면서 귀를 기울여 보세요.

힘찬 기운과 느낌을 받을 수 있을 거예요.


역사와 함께 전해진 음악


고구려 벽화나 악기에 관한 백제 시대 기록을 살펴보면,

취고수들의 행진 음악이 삼국 시대부터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어요.

 

고려 시대에는 행진 음악을 연주하는 ‘취각군’이라고 하는 군사가 있었지요.

고려 시대의 행진 음악은 조선 시대로 이어졌는데,

조선 중기 이후에

나발, 나각, 태평소, 용고, 바라, 징과 같이 소리가 큰 악기들을 연주하는 취고수들에,

향피리, 대금, 해금, 장구와 같은 악기를 연주하는 세악수들이 행렬에 끼게 되었어요.

 

취고수가 행렬 맨 앞에서 앞장을 서며, 그 뒤로 세악수가 따르지요.

취고수와 세악수를 합쳐서 ‘군악수’라고 합니다.

군악수들은

황색 옷에 남색 띠를 두르고 머리에는 초립을 쓰고 발에는 미투리를 신고서 대취타를 연주했어요.

이후 대한 제국 말에

일본이 강제로 우리나라 군대를 없앤 뒤에는 대취타를 연주한 적이 없었어요.

민간의 광고악대와 사찰 의식에서 간간이 사용되면서 명맥만 잇다가

1971년에 중요무형문화재 제46호로 지정되면서 전통문화로서 그 가치를 인정받게 되었습니다.


※ 취타란 무엇인가요?
‘취타’는 ‘분다’라는 뜻의 ‘취’와 ‘때린다’라는 뜻의 ‘타’가 합쳐진 말이다.

즉 입으로 부는 취주악기와 두드리는 타악기로 이루어지는 음악이라는 뜻이다.

취타는 대취타를 관현악곡으로 바꾼 것인데,

거문고·가야금·해금 같은 현악기와, 향피리·단소·소금·대금 같은 관악기,

좌고·장구·북·편종·편경 같은 타악기로 연주된다.


※ 대취타에 쓰이는 악기


- 나발 : 흔히‘나팔’이라고도 한다.

짧은 관 세 토막을 끼워 연결하고, 끝에 나팔꽃처럼 벌어진 벨을 붙여 만든다.

길이는 114cm 정도 된다. 음은 한 음만 낼 수 있으며, 주로 농악에 쓰인다.


- 나각 : ‘나’라고도 한다.

소라 가운데 큰 놈인 대라를 잡아 살을 빼 내고, 꼭지 부분을 떼어 부는 구멍으로 삼는다.

그대로 쓰기도 하고 안쪽 면에 붉은 칠을 하기도 한다.

또 겉에 노리개 등을 매달아 장식하거나 천으로 둘러싸기도 한다.

크기는 일정하지 않은데, 크기에 따라 음정이 다르다.


- 태평소 : ‘호적, 쇄납, 날라리, 대평소, 소눌’이라고도 한다.

나무로 만든 긴 관에 혀를 꽂아서 부는 세로 악기로, 음색이 화려하고 강렬하다.

유자나무, 대추나무, 뽕나무 등 단단한 나무의 속을 파서 만든 나무 관 위쪽에는

구멍이 7개, 아래쪽에는 1개가 있다.


- 용고 : 북통에 화려한 용 그림을 그려 넣은 북이다.

북통 양편에 고리를 박고 그 고리에 끈을 꿰어 어깨에 멘 뒤

양 손에 북채를 쥐고서 위에서 내려친다. 조선 시대 군대에서 사용했다는 기록이 있다.


- 바라 : ‘발, 제금’이라고도 한다.

접시처럼 생긴 둥근 놋쇠 판 한 쌍을 마주쳐서 소리를 내는 악기이다.

절에서 쓰는 크고 무거운 바라에서 손가락에 붙들어 매고 쓰는 아주 작은 것까지 종류가 다양하다.


- 징 : ‘금, 금징’이라고도 한다. 종묘제례악에 쓰일 때는 ‘대금’이라고 부른다.

크고 둥근 놋쇠 판에 끈을 매달아 한쪽 손에 들고, 끝에 헝겊을 감은 채로 쳐서 소리를 낸다.

음색이 웅장하면서도 부드럽다.

-------------------------------------------------------------------------
* 사계절출판사에서 발간한 [어린이 문화재 박물관②] 에서 발췌한 내용 입니다.
* 이글의 저작권은 문화재청과 사계절 출판사에 있습니다.
* 사진과 글의 무단 전재나 복사를 금합니다.
* 문의_문화재청 홍보담당관실 (042.481.4678)
-------------------------------------------------------------------------

게시일 2007-11-02, 문화재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