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서 장군의 상소문
군사를 훈련시키려고 하면
어떤 이는 “백성이 굶주리고 있으니 할 수 없다”하고,
무기를 수리해 놓으려 하면
“백성이 가난하니 할 수 없다”하고,
장정의 숫자를 점검해보려고 하면
“백성이 놀라서 시끄럽게 되니 할 수 없다”하고,
군대를 출동시키려 하면
“국고가 비어있으니 안된다”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백성이 굶주리고 국고가 비었다고 해서
오랑캐가 쳐들어오지 않는다는 것입니까?
정동 사거리에 우뚝 섰던 널 그리며
서울지도를 보면 드는 의문 중 하나.
왜 동대문은 동대문구에 없고, 서대문구에는 서대문이 없는 걸까?
동대문은 현재 종로구에 있다. 그 이유는 단순히 행정구역의 변천 때문이라고 한다.
하지만 지명의 상징성과 현실의 차이는 짙은 아쉬움을 남긴다.
그렇다면 서대문은 어디에 있을까.
서대문은 위치 문제를 넘어 존재 자체를 거론해야 할 형편이다.
일제강점기인 1915년 도시계획의 일환으로 깨끗이 철거돼 흔적조차 남지 않았기 때문이다.
서대문(돈의문)은 현재 새문안길(신문로)로 불리는 큰 도로에 있었다.
이곳은 한양의 중심 도로인 종로로 이어지는 중요한 길목이었다.
돈의문은 서울 성곽의 4대문 가운데 하나로, 서대문(西大門), 새문, 신문(新門)이라고도 했다.
1396년(태조 5) 한양 도성(都城)의 제2차 공사가 끝나고 8문이 완성되던 때 처음 세워졌다.
1413년(태종 13) 폐쇄됐고,
조정은 그 대신 그 북쪽에 서전문(西箭門)을 새로 지어 사람들이 출입케 했다.
그러다 1422년(세종 4) 다시 서전문을 헐고 돈의문을 수리했다.
그 뒤 헐어진 것을 보수해 1711년(숙종 37)에 다시 지었으나,
1915년 일제의 도시계획에 따른 도로확장 공사로 철거되고 말았다. (출처: 네이버 백과사전)
600년 서울의 어느 곳이나 마찬가지로 서대문 주변에도 여러 유서 깊은 곳이 있다.
서대문 바로 밖에는 조선 초기의 충신인 김종서가 살던 집이 있었다.
김종서의 옛 집터가 종로구 재동 백송 근처에 있었다는 설도 있다.
하지만 조선 순조 때 나온 <한경식략(漢京議略)>에는
“돈의문 밖 고마청(雇馬廳·입성하기 전 말을 갈아타던 곳)에서 김종서 장군이 살았다”는
기록이 있다. 오늘날에도 농협중앙회 본사에 김종서 집터 표지석이 자리하고 있다.
농협중앙회 입구 한편에는 예로부터 ‘학자수(學者樹·학자의 나무)’라 부르며
선비를 상징하던 오래된 회화나무 한 그루가 서 있어 평범한 곳은 아니었다는 걸 말해주고 있다.
김종서는 세종 때 6진을 개척해 지금의 두만강 국경을 만든 장군으로 잘 알려져 있다.
그러나 그는 사실 문과에 합격한 문신이었다.
문종 때에는 <고려사>와 <고려사절요>의 편찬을 주도하기도 했다.
김종서는 문종 승하 후 어린 나이에 임금이 된 단종의 보필을 맡았다.
왕위를 노리고 있던 수양대군에게는 가장 큰 걸림돌이 아닐 수 없었다.
수양대군은 1453년 10월의 어느 늦은 밤 심복들을 데리고 직접 김종서의 집을 찾아갔다.
수양은 자신이 건네준 편지를 김종서가 달빛에 비춰 보는 사이 사람을 시켜 뒤에서 철퇴로 내리쳤다.
김종서는 바로 숨이 끊어지지는 않았지만 곧 목숨을 잃었다.
김종서의 옛 집터임을 알리는 새문안길 보도 표지석 근처에 서서
한동안 서대문이 있었을 정동 사거리를 바라봤다. 성문의 모습을 머릿속으로 그려봤다.
현실의 장소에 역사의 시간을 얹어 보는 건 매우 흥미로운 일이다.
그 밤 서대문 인근에서 미래의 임금을 꿈꾸며 길을 걸었을 수양대군을 떠올려 봤다.
하지만 그 가을밤의 한기와 역사의 쓰라림을 머릿속에서 재구성하기에는
주변 풍경이 너무나 크게 변해 있었다.
생각을 구체화하기 위해 결국 스케치북을 꺼냈다. 현재와 500년 전의 과거를 겹쳐 그려 봤다.
현실의 공간을 따라 한 발짝 한 발짝 수양대군이 다가온다.
문득 달 밝은 밤, 파르르 바람에 떠는 회화나무 가지 소리가 들려오는 것 같았다.
- 이장희 일러스트레이터 www.tthat.com
- 2011-06-18 동아 [이장희의 스케치 여행]
'하루하루~(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리판에서 배우는 '2인자 리더십' (0) | 2011.06.20 |
---|---|
임의진/ 시골편지's (7) (0) | 2011.05.24 |
의자왕과 달(月) 이야기 (0) | 2011.05.13 |
천상열차분야지도 음악 (0) | 2011.03.09 |
양력설, 음력설 (0) | 2011.0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