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 속의 호랑이
올해 2010년은 경인년 호랑이해 이다.
해가 바뀌자 여러 곳에서 호랑이를 주제로 한 전시가 여러 곳에서 열릴 만큼 호랑이에 관한 관심이
한창인데 그 기운에 편승하여 우리나라 그림 속에 보이는 호랑이에 대하여 몇 자 써보려고 한다.
우리나라 속담, 민화를 비롯하여 문학작품까지 주요한 스토리 구성요소로 그려지는 호랑이에 대해
이야기 해보자.
호랑이는 우리나라의 개국신화라 할 수 있는 단군신화에 등장할 정도로
우리민족에게 어느 동물과도 비교할 수 없는 용맹함을 보이는 맹수로서의 그 무게감을 가지면서도
한반도 어디에서나 볼 수 있는 친근하고 정감어린(?) 동물이었다.
따라서 정확한 시기가 중요치 않은 우리의 옛 이야기를 할머니들은
"옛날 옛적 호랑이 담배 피우던 시절"로 얼버무렸고
그 이야기 속에 곶감이나 떡, 팥죽과 같은 맛난 음식과도 호랑이는 같이 있었으며
대한민국이 들끓었던 1988년 올림픽의 마스코트도 호돌이였다.
해가 바뀌는 정초에는 호랑이의 강력한 힘과 용맹으로서 새해의 악재(惡材)를 떨쳐버리기 위하여
호랑이 그림을 대문에 내다붙이거나 부적에 그려 넣기도 하고
조정에서는 쑥범(쑥으로 만든 범)을 만들어 신하에게 나누어주기도 하였다.
용맹의 표상으로 호랑이 흉배를 무인의 관복에 달아주고
글을 하는 선비들도 필통이나 도자기에 호랑이를 새겨 넣어 바라보며 그 기상을 즐기기도 하였다.
특히 자식의 입신양명을 위해 아이를 낳은 방에 호랑이 그림을 그려 붙여 놓기도 하고
기가 약하고 심약한 사람에게 호랑이 뼈를 갈아 먹이는 한방요법도 있다고 하니
우리민족은 호랑이의 용맹한 기상에 대하여 이처럼 신앙과 같은 믿음을 보여 왔음을 알 수 있다.
호랑이를 영물시(靈物視)하여 회화작품으로 나타난 예는 우선 고구려 고분벽화에서 찾아 볼 수 있다.
(그림1, 2)
사방을 호위하는 사신(四神)중 유일한 실제 동물인 호랑이가 가리키는 방향은 서쪽이다.
『이아(爾雅)』라는 유교경전에 서방백호는 서쪽의 일곱 별자리(규루위묘필자삼, 奎婁胃昴畢?參)모습이
호랑이 형상을 닮아서 유래된 것이라고 하는데 이유야 어찌했던,
이에 따라 무덤의 서쪽벽에 도를 깨우친 의미와 신성함을 나타내는 흰털을 지닌 호랑이가 그려지게 되었다.
이 같은 서방의 백호는 죽음을 관장하며 죽은 자와 산자를 잊는 역할을 하기도 하고
五行 중 金(무기)기운을 뜻하므로 강한 무력을 상징하기도 한다.
고구려 고분벽화에 그려진 백호는 머리와 터럭모양과 같은 세부형태는 호랑이와 유사하지만
몸체는 청룡처럼 목과 몸통, 꼬리가 가늘고 긴 파충류와 같이 그려져 있다.
그러나 부릅뜬 눈과 날카로운 이빨과 발톱, 먹이를 내리칠 듯이 들어 올린 앞발과 몸 전체에 퍼져 있는
상서로운 기운에서 호랑이의 용맹한 기상이 잘 나타나 있다고 하겠다.
불화에서 호랑이는 산신각에 모셔진 산신도에서 그 모습을 찾을 수 있다.
동이전 예(濊) 조에, “그 풍속은 산천을 존중한다. 산천에는 각기 부계(部界)가 있어서
함부로 서로 간섭할 수 없었다” 라고 하고,
이 기록의 뒷부분에 “호랑이에게 제사 드려서 그것을 신으로 섬긴다.”라는 조항이 있다.
후세에 호랑이를 산신과 동일시하여 불화로 그려 숭상한 원류를 여기서 찾을 수 있을 것 같다.
특히 우리의 옛이야기 가운데 산속에서 백발이 성성한 신선 같은 할아버지를 맞나 도움을 받았다거나
산신이 호랑이로 변하여 신출귀몰하고 기이한 행적을 행하였다는 내용은 너무나도 친숙하여
대한민국의 국민이라면 산신도에 그려진 山神과 호랑이의 의미를 모르는 사람은 거의 없을 것이다.
백수의 왕으로 외경(畏敬)의 존재였던 호랑이는 산신의 화신으로서 혹은 산신의 뜻을 이해하고
그 뜻을 따라 움직이는 심부름꾼으로 함께 산신도에 등장하게 되었을 것이다.
산신도에서 호랑이는 깊은 산 그윽한 골짜기 소나무를 배경으로
그림 중앙에 백발의 산신 주위로 그려지는데 무섭고 용맹스러운 모습의 大虎로 그려지는 경우도 있지만
거의 대부분이 무섭지 않고 애교 있게 그려지는 민화풍의 모습이다.(그림 3)
그리고 간혹 사찰의 산신각이나 칠성각 벽화에 호랑이와 토끼가 등장하는 그림을 만나 볼 수 있는데
특이하게 호랑이는 長竹의 담뱃대를 입에 물고 토끼는 담배에 불을 붙이고 있는 장면이다.(그림 4)
정말 호랑이 담배피던 시절을 그림으로 나타낸 것인데
이는 효자가 호랑이로 변해버렸다는 설화에서 유래하였다는 설과
포악한 호랑이 같은 정부에 힘없는 토끼 같은 민중을 그렸다는 설 등이 있지만
확언할 수 없는 내용이고 왜 사찰의 벽화에 이와 같은 그림이 그려지는 것도 미지수이다.
그림에 숨겨 있는 뜻은 접어두고 토끼가 불붙인 담배를 호랑이가 물고 있는 이 그림은 정말 해학적이고
기발한 상상력을 가진 우리민족의 정서가 호랑이 재해석하는 또 하나의 결과물일 것이라고 보인다.
우리의 민속에 호랑이는 악귀를 쫓는 신령한 힘을 가지고 있다고 믿어
벽사의 의미로 그림에 많이 이용되는 주제이기도 하였다.
따라서 새해 三災가 든 가족이 있는 집에서는 입춘대길(立春大吉)의 글귀와 함께
호축삼재(虎逐三災)를 써서 붙이기도 하고
그 집안의 흉사를 몰아내는 의미를 내포하는 호랑이 그림을 집안이나 문에 걸어두기도 하였는데
민화에 그려진 호랑이 그림은 거의 문배(門排: 새해를 축복하는 뜻으로 그린 그림)용도로
사용되던 것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처럼 벽사의 의미로 그려진 호랑이 그림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그 대표적인 예가 까치와 호랑이가 그려진 '호작도(虎鵲圖)'이다.
일반적으로 호랑이 그림은 산신도를 제외하고는 호랑이 단독으로 그려지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이 경우는 까치와 호랑이가 함께 등장하고 있다.
그림을 보면 까치가 호랑이에게 무엇인가를 말하고 있는 듯한 모습을 하고 있고,
호랑이는 그 까치를 쳐다보고 있는 자세를 취하고 있는데,
맹수라기보다 어딘가 다소 얼이 빠진 모습을 하고 있다.(그림 5)
지금 우리가 호작도라고 뭉뚱그려 부르는 그림 중에는
주인공이 얼룩무늬가 아닌 점박이 무늬를 하고 있는 것이 꽤 많이 있다.
점박이 무늬를 한 호랑이는 없으며, 그것은 표범 모습인 것이다.(그림 6)
민화의 경우, 소재 자체의 상징성과는 상관이 없이 단순히 발음의 유사성 때문에
길상의 상징물로 취급되는 경우가 많데
호작도의 경우 호랑이와 상징성이 비슷한 표범의 표(豹)가 보(報)와 발음이 유사한 관계로
호랑이를 대신해서 표범을 그리고 이것이
까치, 즉 희조(喜鳥)와 결합하여 기쁨으로 보답한다는 ‘희보(喜報)’의 뜻을 가지게 된 것이다.
그리고 우리나라 사람들에게는 호랑이의 보은설화에서도 보는 바와 같이
은혜를 베풀면 그 이상의 보답을 해준다고 생각하였던 동물이었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표범과 호랑이의 상징성이 은연중에 혼합된 것이다.
어찌했던 호랑이와 표범은 광명이 다가와서 정치를 개혁한다는 의미와 관련되어 길상적 의미를 지닌 동물로 간주되기에 서로 혼용되어 그려지기도 하였다.
우리나라에서 이런 종류의 그림을 통하여 신년의 기쁨과 복된 미래를 기대해 보는데 있어 그림의 소재가 표범이든 호랑이든 간에 그것은 큰 문제가 아니었을 것이다.(그림 7)
올해는 경인년이다.
우리민족의 아픔인 6.25가 발발한지 꼭 一甲子 되는 해이기도 하다. 어느 유명한 역사학자는 그랬다... 역사는 돌고 돈다고.
아픈 기억은 사람을 두렵게 한다. 그래서 인지 조심조심 경인년 한해를 살고 싶은 마음으로 호랑이 그림을 바라본다.
그리고 개인 살이도 어렵고 나라살림도 어렵고..세상에 모든 것이 어렵게 느껴지는 이 시대에
재화(災禍)를 멀리 쫓아버린다는 호랑이의 기운이 서린 그림으로나마 한 가닥의 희망을 가지고 싶은 것이
나의 바람이기도 하다.
- 정진희, 문화재청 국포국제공항 문화재감정관실 감정위원
- 2010-03-12 문화재청, 문화재칼럼
'느끼며(시,서,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대인들의 초상화 - 벽화 속의 묘주상(墓主像) (0) | 2010.08.09 |
---|---|
추사 김정희와 4人의 제자 (0) | 2010.08.09 |
미술 컬렉터 페기 구겐하임 (0) | 2010.02.21 |
카라바조의 작품들 - 연극적 사실주의 창조 (0) | 2010.02.20 |
프란시스코 데 고야의 그림들 (0) | 2010.0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