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의 세시 풍속을 다룬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를 보면 설, 한식, 단오, 추석을 4대 명절이라고 해 설날이 오랜 전통을 지녔음을 밝히고 있다. 설 전날, 즉 섣달그믐인 까치설에는 묵은해의 잡귀를 쫓는 나례(儺禮)의식이 궁궐과 민가에서 거행됐다.
또 ‘고려사(高麗史)’ 제64권 군례조(軍禮條)의 계동대나의(季冬大儺儀)에는 “대궐 안을 청소하고 정돈하는 한편, 귀신을 쫓는 벽사(邪)를 위하여 나례의식을 주관해 궁(宮)이 정(淨)함으로써 나라 전체가 정하여 나라가 태평하고 백성이 평안하기를 기원했다” 라고 적혀 있다.
왁자지껄 진자 12명은 악귀 내쫓는 역할
큰 액막이굿인 대나지례(大儺之禮) 거행 의식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담당부서에서는 왕에게 주달하여 12∼16세 사람 중에서 선발해 진자(진子)로 삼았다. 탈을 쓰고 붉은 바지를 입은 진자 24명을 1대(隊)로 했다. 이 중 집사자(執事者) 12명은 붉은 수건에 붉은 창옷을 입고 채찍을 잡는다. (12귀신이 되어 악귀를 쫓는 역할). 별도의 악사 22명 중 1명은 방상씨(方相氏 · 귀신을 쫓는 사람)라고 해서 네 눈 달린 황금빛 탈을 쓰고 곰 가죽으로 만든 검정 옷에 붉은 치마를 입고 오른손에는 창을, 왼손에는 방패를 든다. 또 다른 한 명은 창수(唱帥 · 먼저 외치는 사람)라고 하여 탈을 쓰고 가죽옷을 입고 몽둥이를 든다. 고각군(鼓角軍 · 북을 두드리고 피리를 부는 사람) 20명을 1대로 하여 4명은 기를 잡고 4명은 피리를 불고 12명은 북을 치면서 금중(禁中 · 궁궐)의 악귀를 쫓기로 돼 있다. (중략) 굿하는 사람들이 대별로 궁문 밖에 모이면 내시(內侍 · 국왕 측근의 엘리트 관료)가 왕이 있는 내전 앞으로 가 진자가 다 모였으니 궁중의 역귀(疫鬼)를 쫓아낼 것을 아뢰고, 굿하는 사람들에게 명령해 궁중으로 들어가게 한다. 진자들은 북을 치고 왁자지껄하게 궁으로 들어가는데 방상씨는 창을 들고 방패를 휘두른다. 창수는 진자 12명을 인솔하며 외치기를 ‘열두 귀신으로 하여금 흉악한 악귀들을 내쫓을 것이며, 너희들의 몸뚱이를 물어뜯고 허리뼈를 꺾으며 살을 찢고 내장을 뽑게 할 것이다. 너희들이 빨리 물러가지 않고 뒤떨어지는 놈은 열두 귀신의 밥이 될 것이다.’ (중략) 그리고 굿한 음식과 술은 구덩이에 파묻고 각각 물러간다.
이 의식에서 악공들의 연주에 맞춰 역귀를 쫓을 때 내세운 동남동녀(童男童女) 진자들은 처용무(處容舞)를 추었고, 나례 때 희생(犧牲 · 집단 성원의 안녕과 동식물의 증식을 기원해 행하는 종교적 행위)으로는 닭 다섯 마리를 잡아 역기(疫氣)를 쫓았다.
고려 정종(靖宗)이 조서에 이르기를 “내가 즉위한 후 호생(好生 · 생명을 구함)할 것을 마음먹고 새, 짐승, 곤충까지 모두 나의 혜택을 입게 하려 했다. 그런데 연말 액막이굿에 닭을 다섯 마리나 잡아 역귀를 구축하려 하니 내 마음이 몹시 아프다. 될수록 다른 것으로 대용하게 하라”고 이르니 사천대(司天臺)에서 “‘서상지(瑞祥志)’에 따르면 12월에 행하는 큰 액막이굿을 할 때 해당 부서에 지시해 막대기로 심을 박고 흙으로 소를 만들어서 찬 기운을 가시게 한다고 했으니 각각 길이 1척, 높이 5촌에 달하는 황토우(黃土牛) 네 마리를 만들어 닭 대신에 사용케 하기 바랍니다”라고 아뢰어 왕이 그대로 따랐다.
- 이영철 목원대 겸임교수 hanguksaok@hanmail.net - 주간동아, 2010.02.16 724호(p114~115)
|
'나아가는(문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황실 표범가죽 양탄자 (0) | 2010.06.11 |
---|---|
21세기에 발굴된 인류 진화 5대 화석 (0) | 2010.04.16 |
양력으로 바뀐 설날 음력 설에 담긴 과학적 의미 (0) | 2010.02.20 |
창녕 송현동 15호분의 16세 여성 순장자 (0) | 2010.02.07 |
뒷간 - 자연친화적 거름생산 (0) | 2010.0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