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주짱의 하늘꿈 역사방

알아가며(자료)

조선 왕실의 출산 풍속

Gijuzzang Dream 2010. 2. 2. 03:55

 

 

 

 

 

 조선 왕실의 출산 풍속

 - 왕의 탄생을 이야기하다

 

 



 

 


1693년의 출산

 

“복통이 임박해도 놀라지 말고 가능하면 너무 일찍 힘을 주지 말 것이다.

사람을 붙들고 천천히 걷도록 하되 만일 피곤할 때는 사람에 의지하여 서 있다가

또 걷기를 반복해야 한다.

너무 허리를 구부리거나 오래도록 앉아있거나 눕거나 잠을 자면 안 된다.”

 

조선 왕실에서 아이를 출산할 때 사용한 지침서인 <임산주의서> 가운데 일부이다.

출산에 임박해서 주의할 내용들을 큼직한 궁서로 반듯하게 써 놓아

궁중의 산모들은 이를 보고 또 보면서 대비하였다.

 

도대체 조선왕실에서는 어떤 과정을 거쳐 아이를 출산하였을까?

다음은 1693년(숙종 19)의 출산 풍경을 재구성해 본 내용이다.


 


택일과 산실청 관리의 선발

 

내의원 의원이 왕실의 임신 사실을 확인하면 곧바로 분만실 즉 산실청이 설치되었다.

산실청 준비에서 택일이 가장 우선이었다.

택일은 서운관 일관(日官)들이 담당하였는데,

택일이 끝나면 산실청 담당 관리와 의원 및 의녀들을 선발하였다.

 

1693년의 경우에도 9월 3일 산실청을 설치하기로 결정하였고,

산실청 담당 의원으로 최성임 · 정유각 · 이홍장 · 김여기 · 유심 · 정두준 등 10여 명의

내의들의 이름이 올랐다.

이 가운데 최성임과 정두준이 유능하다는 평을 받아 낙점을 받았다.

주방에서 일할 주방관과 서무를 담당할 서기관,

이밖에 출산 실무를 맡을 의녀 취엽과 인향이가 각각 선발되어 산실청 준비를 도왔다.

 

 

1693년 산실청은 창경궁 양화당 동쪽의 정일재(精一齋)로 결정되었다.

그리고 바로 옆에 의관들의 숙직 처소가 마련되었다.

 

산실 배설에는 무수한 물품들이 사용되었는데,

먼저 방위를 적은 글자와 산실에 붙이는 부적들이다.

그리고 임산부가 손에 쥐고 힘을 줄 수 있도록 사슴가죽으로 만든 고삐와

이를 벽에 고정할 수 있도록 큰 못이 필요하였다.

이밖에 분만 시 바닥에 깔 자리를 위해 짚과 가마니, 양모로 짠 자리, 기름종이,

백마가죽 등이 진상되었다. 특별한 물건도 있었는데

해마(海馬)와 석연자(石燕子: 오래된 연꽃 열매) 1쌍이 그것으로,

산모가 손에 쥐고 출산하면 수월하게 아이를 낳을 수 있다고 믿었던 부적들이다.
 

 

산실청의 부적들

 

산실의 부적을 설치하기 위해서 우선 범철관이 지남철을 꺼내 방위를 정한다.

다음 북쪽 벽 위에 먼저 산도(産圖)를 붙이고,

안전하고 빠른 출산을 위해 최생부(催生符)를 그 아래에 붙였다.

최생부 아래에는 차지법(借地法)을 붙였다.

차지법은 말 그대로 땅을 빌린다는 뜻이다. 이상은 모두 붉은 색 주사로 쓰여졌다.

 

부적 설치가 완료된 후에는 산실의 길방에 못(가막쇠)을 박고

누런 사슴 가죽으로 만든 고삐를 부착하였다.

 

부적과 고삐를 매단 후 이제 방바닥의 자리를 준비할 차례이다.

먼저 방 안에 짚을 펴 평평하게 만들었다.

다음에 빈 가마니를 펴고, 그 위에 초석(草席)을 펴고

다음에 양털로 짠 자리(羊毛氈)을 펼쳤다.

그 위에 기름 장판지(油芚)를 펴고 마지막에 백마 가죽을 깔았다.

기름먹인 종이는 출산시 오로 등 다양한 분비물이 바닥으로 흘러내리는 것을 막기

위함이었다. 백마 가죽은 귀가 온전히 달린 가죽을 준비했다.

백마는 양기의 상징이며 흰색 또한 상서로운 색이었으므로

출산의 안전과 신속함을 위해 흰 색의 말가죽을 깔고 그 위에서 출산하였다.

 

산실자리가 모두 준비되면 수의(首醫)가 방 밖으로 나가서 북향하고 무릎을 꿇은 후 차지법을 세 차례 독송한다.

 




약물 준비와 출산당일

 

분만 예정일이 속한 월 초에는 분만시 필요한 약물을 내의원에 요구하여 준비하였다.

 

1693년 10월에도 마찬가지였다.

먼저 불수산(佛手散) 5첩이 준비되었다. 불수산은 일종의 유산 방지 및 출산 촉진을

위해 먹는 약물로 순산을 유도하는 약물이었다.

이 약물은 출산 당일 먹기도 하고 혹은 출산 전후에 미리 먹는 경우도 많았다.

 

다음 나삼(羅蔘)을 곱게 가루내어 체에 거른 인삼 가루를 준비하였다.

원기가 쇠진하여 힘이 부칠 때 자주 달여 마심으로써 힘을 북돋웠다.

분만 후 영아를 위한 약물도 준비하였다. 먼저 황련감초탕과 밀주사(蜜朱砂)다.

밀주사는 꿀을 치대어 호도크기로 만들고 여기에 주사를 섞어 작은 사기그릇에 담은

것이다. 이상은 모두 아이가 태어난 후 입 안을 닦아내기 위한 약물들이었다.

태아가 입안의 오물을 삼키면 후일 두창의 원인이 된다고 보았으므로

이를 잘 닦아 준 것이다.

1693년(숙종 19) 10월 6일 3경에 산모의 진통이 시작되었다.

대기하던 의녀 취엽과 인향 그리고 산실청에 선발된 의원들이 모두 모였다.

사경쯤에 의관 최성임 · 정두준 등은 ‘의녀들이 전하는 산모의 증세를 들어보니

밤새 계속하여 복통의 증후가 있었는데, 지금은 잠시 멈추었으니

불수산을 미리 몇 첩 달여 먹이는 것이 좋겠다.’고 건의하였다.

 

날이 밝기 전, 산모의 증세를 살피던 의녀들이 복통의 증세가 점점 잦아지고

흰 이슬이 비친다고 보고하였다. 그리고 마침내 아침에 사내아이가 태어났다.

산실에는 남자 의관들이 출입할 수가 없었으므로 의녀가 분만 과정을 총괄하고

의관들은 밖에서 대기하면서 상황을 왕에게 전달하였다.





출산 후 의관들은 해당 산모의 건강상태, 식사 및 약물 진상

그리고 아기씨의 젖먹는 일과 대소변 상태를 보고하였다.

1693년 10월 6일 아침 분만이 끝나자 보고가 이어졌다.

 

의녀는 산모의 건강상태에 대해 보고하고

밥과 미역국을 진상하였다고 알려왔다.

산모는 건강상의 이상이 없었으며,

분만 후 밥과 미역국을 자주 먹었고,

아기씨도 편안하게 주무신 후 깨어나

눈동자를 굴리며 젖을 조금 먹었다.

이하 보고가 계속되었다.

 

분만 후 이틀 후에는 태아의 목욕 길시를 정하였다.

산모와 아기는 분만 후 3일째 목욕하는 것이 상례였다.

당시 날씨가 추워 감기에 걸릴까 염려되자, 수건으로 간단히 문지르는 방법으로

아기씨의 목욕을 진행하였다. 아기씨 목욕물은 내의원에서 준비하였다.

물은 복숭아 오얏, 복숭아, 매화뿌리를 다린 물에 호두껍질 1부를 함께 끓여 낸 후

돼지쓸개즙을 섞은 것이었다.

이상의 약재를 넣어 만든 약물에 어린 아기를 목욕시키면 아기의 피부가 튼튼해지고

종기 혹은 두창 등 백병을 예방할 수 있다고 보았다.

 


왕으로서의 성품을 교육받다

 

태어난 왕실의 아기씨들은 부모 대신 유모의 젖을 먹고 자랐다.

왕실의 교육은 환경을 중시했는데,

왕자의 유모를 선발하는 데에 가장 각별한 주의를 기울였다.

어린 시절 가장 가까이에서 영향을 주는 인물이 유모이기 때문이다.

 

조선의 지식인들은 새로운 국왕이 탄생하면

덕성의 함양을 통해 훌륭한 인물이 되게 하는 방법들을 고민했다.

규제의 방법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뉘었는데,

하나는 기록이었고 다른 하나는 교육이었다.

 

먼저 기록은 왕의 살아생전 모든 행동과 말을 철저하게 기록해둠으로써

후대에 엄정한 평가를 받게 하는 것이다.

교육은 국왕은 신하를 스승으로 삼아 평생토록 교육을 받아야 하고,

냉정하게 현실 정치의 문제점까지 지적함으로써 국왕을 규제하는 방법을 말한다.

왕실에서는 왕자의 스승이나 동료를 선발하는 데에도 주의를 기울였다.

이는 왕자에게 모범을 보일만한 인물을 선발함으로써 학문과 덕망을 겸비하기

위함이었다. 왕자는 이들의 말과 행동을 따라 배우면서 좋은 인품과 덕성을 기를 수가 있었다. 국왕의 덕성은 백성들의 삶과 직결되는 문제였기 때문이다.  

 

조선왕실의 출산과 보호 그리고 교육은 이렇듯 매우 세심하게 진행되었다.

아이를 낳을 산모에 대한 사랑, 그리고 태어날 아기에 대한 애정과 관심이야말로

왕실 문화의 원천이었으며 백성을 위하는 덕망 있는 왕이 되기 위한  

첫걸음이었기 때문이다.   

 

 


- 글 · 사진 : 김 호 경인교대교수 / 사진 : 문화재청, 국립고궁박물관

- 월간문화재사랑, 2010-0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