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주짱의 하늘꿈 역사방

지켜(연재자료)

[코리안루트를 찾아서] 19. 상나라와 한민족 上

Gijuzzang Dream 2007. 11. 17. 12:23

 

 

 

  

 

 

(19) 상나라와 한민족 (上)  

 

 

 

 

 

상(商)나라의 발자취

 

왕(선조)

중국측 기록 및 업적

영역(추정)

발해문명과의 관계

  설(, 시조)

-어머니 간적이 제비알 삼켜

  설 낳음(난생신화)

-하나라 우(禹)의 치수사업 도움

-하나라 순(舜)이 상(商)에 봉함

발해연안 북부

-차하이-싱룽와 문화(BC6000-BC5000년)

-훙산문화(BC4500-BC3000년) 제단,

  신전, 적석총 3위일체

-제정일치 사회의 고국탄생

  (청동기의 맹아기)

-샤자덴하층문화 시작(BC 2000년 전부터

  석성, 청동기, 예제 발달)

-고조선의 탄생(쑤빙치는 하나라를 방불케

  하는 왕국이 발해연안에 존재했다 주장)

-고구려 주몽설화와 일치

  상토(相土,3대)

-발해연안까지 세력 떨침

 (相土烈烈 海外有截)

-마차 발명

발해연안

- 사자덴(夏家店) 하층문화

- 고조선

  왕해(王亥,7대)

 상갑미(上甲微,8대)

-우마차 발명

-비단, 소를 화폐로

  각 부락대상으로 장사

-유역(有易)족 대파

-흥성한 나라 완성

발해연안 - 허베이성 북부까지

(유역족의 영역인 이센까지 확산)

 

-발해문명 본격 남하

  성탕(초대)

  BC 1600년

-박( , 허난성 정저우 천도)

-재상 이윤 등용, 덕정 펼침

-하나라 멸망시키고 천하통일

-역법, 복색교체, 백색숭상

중원,

즉 황허유역 접수

-발해문명의 창조자, 즉 동이족의 천하통일

  태갑(太甲, 4대)

-재상 이윤이 권력찬탈

  3년간 섭정후 다시 권력이양

  (포악했던 왕이 덕을 되찾아

  국운 회복)

-갑골문화 성행

-한자 완성

-제천(祭天), 제조(祭祖)사상 확립

  반경(盤庚, 19대)

  BC 1300년

-은(殷) 안양 인쉬(殷墟)에 천도

-은나라(상 말기)시대 개막

-성탕의 덕정따라 국운 흥성

  주왕(紂王, 30대)

 BC 1075-BC 1046년

-주지육림, 포락지형으로 망조

-녹대(鹿台)설치 세금착취

-여첩 달기 총애

-민심 잃어 망국의 길 걸어

-주(周) 무왕 봉기로 분신자살

-은나라 멸망

-상(은) 유민들, 기자(箕子)따라 고향

  (발해연안)으로 이동

-중국학자 왕궈유와 푸쓰넨 등은 은이 망한

  뒤 기자가 고향인 발해연안으로 돌아갔다고 해석

 

상나라 귀족묘 출토 인골 … 한족 아닌 백의민족 모습

 

“(시조인) 설 현왕이 아들 소명(설로부터 2대)을 낳고 지석(砥石)에 거주했다.”(순자 · 성상편)

 

중국 문헌은 동이족인 상족(商族)이 중원으로 내려와 하나라를 멸할 때까지의 역사와 활동무대,

즉 시조 설부터 성탕의 상나라 건국(BC1600년)까지 상황을 짐작할 수 있는 단서를 던져놓았다.

중국 학계는 이 문헌기록을 토대로 다각적인 분석에 들어간다.


안양 인쉬에서 발굴한 상(은)나라 무덤.

노예로 추정되는 대량의 인골이 나란히 묻혀 있다. 순장의 모습을 적나라하게 보여준다.

부여의 습속과 같다.

 

옌산에서 백두산 · 헤이룽강까지

 

처음에 인용한 ‘순자 성상(荀子 成相)’편의 기록을 검토해보자.

“요(遼 · 랴오허를 뜻함)는 지석에서 나온다”는 내용이

‘회남자(淮南子) 추형훈(墜形訓)’편에 나온다.

이 내용을 주석한 가오유(高誘)는 “지석은 산의 이름이며 변방의 바깥에 있고,

요수(遼水 · 랴오허)가 그곳에서 나와 남쪽으로 흘러 바다에 이른다”고 했다.

즉 시조 설은 랴오허의 발원지인 지석에 살았으며,

지금의 네이멍구(內蒙古) 자치구 츠펑(赤峰)시 커스커텅치(克什克藤旗) 부근이라는 것이다.

물론 ‘남쪽바다’는 발해이다.

 

또한 ‘여씨춘추 유시(有始)’편에는

“하늘에는 9개의 들이 있는데, 북방을 일컬어 현천(玄天)이라 한다”고 했다.

따라서 진징팡(김경방 · 金景芳)은 이 모든 문헌을 근거로 “설, 즉 현왕은 북방의 왕”이라 단정했다.

 

“상토(설로부터 3대)가 맹렬하게 퍼져, 해외에서 끊어졌다(相土烈烈 海外有截)”(시경 · 상송)

라는 내용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상토는 시조 설의 손자.

 

중국 학계는 이 기록을 토대로 상토 때 상족의 활동무대를 발해 연안으로 보고 있다.

상토는 무공이 매우 뛰어났으며, 마차를 발명하여 세력을 떨친 이다.

시조 설로부터 7~8대인 왕해(王亥)와 상갑미(上甲微) 때는

“하백(河伯)의 군사를 빌려 유역족(有易族)을 쳐 멸망시켰다”고 한다.

그런데 유역족은 이수이(역수 · 易水)에서 그 이름을 빌려왔으며,

지금의 허베이성(河北省) 이셴(역현 · 易縣) 일대이다.

상족이 초기에 이미 허베이성 이셴까지 세력을 떨쳤다는 것이다.

 

고고학자 쑤빙치(소병기 · 蘇秉琦)는 “은(상)의 조상은 남으로는 옌산(연산 · 燕山)에서

북으로는 백산흑수(백두산과 헤이룽강)까지 이른다”고 단언했다.

 

또한 그 유명한 안양 인쉬(殷墟) 유적 발굴을 총지휘했던 푸쓰녠(부사년 · 傅斯年)은

일찍이 “상나라는 동북쪽에서 와서 흥했으며, 상이 망하자 동북으로 갔다”고 단정했다.

 

중국 학계도 이런 쑤빙치와 푸쓰녠의 관점이 가장 정확한 것이라고 인정하고 있다.

누누이 강조하지만 1970년대 이후 발해 연안에서 쏟아지기 시작한 발굴 성과가

이 같은 학설을 뒷받침해주고 있다.

 

인쉬(은허) 인골의 비밀

 

상나라 사람들과 발해 연안의 친연관계는 인종학의 지지까지 받고 있다.

인골전문가인 판지펑(반기풍 · 潘其風)은

인쉬(은허) 유적에서 출토된 인골들을 분석했는데 아주 의미심장한 결과를 얻어냈다.

 

“인쉬 유적에서는 상나라 귀족들의 묘가 발견되었는데,

발굴된 대다수의 시신들이 동북방 인종의 특징을 갖추고 있었어요.

인골들의 정수리를 검토해보니 북아시아와 동아시아인이 서로 혼합된 형태가 나타난 거지.

이것은 황허 중하류의 토착세력, 즉 한족(漢族)의 특징과는 판이하다는 결론에 이르게 됐어요.”

 

또하나, 인쉬(은허) 발굴자들이 인정했듯 상나라 사람들이 동북방의 신앙을 존숭했다는 것이다.

즉 상나라 왕실에서 고위층 귀족들에 이르기까지 동북방향을 받들었는데,

이는 고향에 대한 짙은 향수와 숭배를 나타난 것이라는 해석이다.

 

결국 이 모든 중국 문헌과 고고학적인 발굴 성과로 미루어 보면

BC 6000년(차하이 · 싱룽와 문화)부터 시작된 발해문명의 창조자들이

그 유명한 훙산문화(BC 4500~BC 3000년)를 거쳐

샤자뎬(夏家店) 하층문화(BC 2000년 무렵~BC 1500년 · 즉 고조선 시기)를 이뤘다.

 

그리고 상나라의 시조 설은 차하이 · 싱룽와 문화-훙산문화의 맥을 이은 발해문명의 계승자로서,

샤자뎬 하층문화의 주인공이라는 추론이 가능하다.

설과 그의 손자 상토, 그리고 7~8대인 왕해와 상갑미 대를 거치면서 발해문명의 계승자들은

남으로 뻗어갔으며, 급기야 BC 1600년 무렵 중원의 하나라를 대파하고 천하를 통일했다.

 

쑤빙치가 “하나라 시대에 이미 중국 동북방 발해 연안에는

하나라를 방불케 하는 강력한 방국(方國), 즉 왕국이 존재하고 있었다”고 단언한 이유다.

 

물론 중국 문헌에는 다링허 · 랴오허 유역, 즉 발해 연안을 풍미한 발해문명의 주인공들이

과연 누구인지 적혀있지 않다.

그런 이유로 중국 학계는 단순히 상나라의 선조가 동북민족과 관련이 깊다고 인정하면서도

그냥 ‘연나라의 옛 땅’이라는 군색한 표현으로 정리하고 있다.

하지만 누누이 강조했듯 상나라를 이룬 동이족, 그 가운데서도 고조선 · 부여 · 고구려 · 백제 등

우리의 역사를 이룬 우리 민족과는 강한 친연성을 갖고 있다.

 

의미심장한 부여

 

이제부터는 상나라와 동이, 그 가운데서도 우리 민족과의 친연성을 차근차근 다져보자.

 

먼저 시조설화.

“(목욕을 갔던) 간적이 제비알을 삼켜 아들을 낳았는데 그 아이가 설(契 · 상나라의 시조)이다.”

(사기 은본기)

 

“북이(北夷)의 탁리국(탁리國) 왕이 출행했는데, 왕의 시녀가 후에 임신했다.

왕이 시녀를 죽이려 하자 시녀는 ‘전에 하늘 위에 기를 보았는데, 큰 계란 같았다.’

(혹은 닭처럼 생긴 것이 하늘에서 내려와 임신시켰다) 이 왕이 시녀를 가두었는데,

뒤에 남자아이를 낳았다. ~ 그 이름을 ‘동명’이라 했다. ~동명은 ‘부여’에 이르러 왕노릇을 했다.

곧 부여의 시조이다.” (후한서 동이전 부여조 · 논형 길험편 등)

 

“옛날 시조 추모왕이 창업의 기초를 열었다.

추모왕은 북부여 천제의 아들이요, 어머니는 하백의 딸이었다.

알에서 태어나 세상에 나오니 성덕이 깊었다. 이는 곧 고구려의 시조이다.”(광개토대왕릉비)

 

재미있는 신화의 공통점이다.

상(은)나라의 시조신화와 부여 · 고구려 등 동이족의 신화가 어쩌면 이렇게 비슷한지 모르겠다.

중국학계도 “새알을 삼켜 탄생하는 이른바 난생신화는 (중원이 아니라)

동북아 민족의 공통분모”라고 인정한다. (궈다순 랴오닝성 문물연구소 연구원)

 

“하늘이 현조(玄鳥 · 제비)에 명령해 상나라 조상을 낳아 넓디넓은 은땅에 살게 했다”

(시경 상송 현조 · 詩經 商頌 玄鳥)는 기록은 상나라와 새의 깊은 관계를 웅변해준다.

 

고조선과 발해문명의 관계가 심상치 않다는 것은 이미 밝힌 바 있으므로

(경향신문 1월26일자 ‘고조선과 청동기’ 참조) 생략한다.

 

이형구 선문대 교수는 고구려와 백제의 ‘조상’인 부여를 의미심장하게 바라보고 있다.

고조선과 달리 중국측 문헌자료도 풍부하기에 논란의 여지는 적어보인다.

아닌 게 아니라 부여에 관한 중국사서와

우리측 문헌인 삼국사기·삼국유사를 보면 아주 재미있는 장면을 목격할 수 있다.

우선 중국 위 · 촉 · 오 등 삼국시대의 정사인 삼국지 위서 동이전 부여조와

중국 후한의 정사를 기록한 후한서 동이전 부여조(유송의 범엽이 5세기 무렵 저술),

그리고 당태종의 지시로 편찬된 진서(晋書) 동이전 등 중국측 사료를 종합해보자.

 

“(부여의 땅은) 동이의 땅 가운데 가장 좋은 곳이다.

~ 사람들은 거칠고, 씩씩하고 용맹스러우며 근실하고 인후해서 도둑질이나 노략질을 하지 않는다.

활과 화살, 창, 칼로 무기를 삼으며 ~ 음식을 먹는 데 조두(俎豆 · 제기)를 썼고,

모일 때에는 벼슬이 높은 이에게 절하고 잔을 씻어 술을 권했다.

또한 읍을 하고 사양하면서 오르내린다.

은(상)나라의 정월에는 하늘에 제사를 지내는데(以殷正月祭天) 나라의 큰 모임이다.

연일 음식과 가무를 하는데(連日飮食歌舞), 이를 영고(迎鼓)라 한다.

흰색을 숭상하고 해외에 나갈 때는 비단옷 입기를 숭상한다.

밤낮 길을 가며 노인과 아이 할 것 없이 모두 노래를 부르니 종일 소리가 끊이지 않았다.

군사를 일으킬 때는 하늘에 제사를 지내니 소를 잡아 그 굽을 보아 길흉을 점쳤다.

(소굽이 갈라지면 흉하고 모이면 길하다)

사람을 죽여 순장을 하는데 숫자가 많을 때는 100명이 되었다.

남녀 모두 하얀 옷을 입고 부인은 베옷을 입고 목걸이와 패물을 떼어놓으니

이는 대체적으로 중국과 비슷한 면이 있다.” (大體與中國相彷彿也)

 

글귀마다 숨어있는 뜻이 굉장히 의미심장하므로 다소 장황하게 인용했다.

상나라의 그것과 너무도 비슷하기 때문이다.

 

은나라 역법을 쓴 이유는

 

“부여가 은(상)나라 달력을 써서 은의 정월에 하늘에 제사를 지냈다는 기록은

많은 것을 시사해주는 대목이지. 역법(曆法)이라는 것은 왕권국가의 상징이에요.

새로운 왕조가 들어서면 어김없이 역법을 바꾸어 새 왕조가 천운에 따랐음을 나타냈어요.”

(이형구 교수)

 

역법이 왕권과 국가의 상징일진대 부여가 하·주·진의 역법이 아니라 상나라의 역법을 썼다는 것은 범상치 않은 일이다. (이형구의 ‘발해연안에서 찾은 한국 고대문화의 비밀’ 김영사 참조)

 

하나라를 멸하고 천하를 통일한(BC 1600년) 상나라 성탕은

바로 상나라의 역법을 새로 만든 것 외에도 옷색깔(복색)을 바꿔 흰색을 숭상했다.

 

“하나라는 흑색을 숭상하여 군사행동 때는 흑마를 탔고, 제사 때는 흑생 희생물을 바친다.

은나라는 백색을 숭상하여 군사행동 때는 백마를, 제사 때는 흰색을 바친다.

주나라는 적색을 숭상했는데 ~ ” (예기 단궁상 · 禮記 檀弓上)

 

이것은 앞서 언급한 부여의 습속, 즉 “부여가 ‘흰색’을 숭상했다”는 사료와 일치한다.

 

이뿐이 아니다.  

상나라 마지막 왕 주(紂)왕은 온갖 악행으로 폭군의 대명사가 되었다.

그랬다면 물론 나쁜 짓이지만, 한번쯤 곱씹어봐야 할 대목이 있다.

 

“주왕은 수많은 악공들과 광대들을 불러놓고 술로 연못을 만들고 고기를 숲처럼 매달아놓고는

벌거벗은 남녀들이 그 안에서 서로 쫓아다니게 하면서 밤새도록 술을 마시며 놀았다.”

(사기 은본기)

 

이 대목에서

“(부여에서는) 음식과 가무를 즐기고,

노인과 아이 할 것 없이 하루종일 노랫소리가 끊이지 않았다” 사료가 떠오르는 것은 왜일까.

 

- 선양/ 이기환 선임기자 lkh@kyunghyang.com

- 경향,  2008-0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