ㆍ중원통일 상나라는 발해문명의 후예
“은나라 시조 설(契)의 어머니는 간적(簡狄)이다. 그녀는 제곡(황제의 증손자라 함)의 둘째부인이다.
간적 자매가 목욕을 하러 가는데 제비가 알을 떨어뜨리는 것을 보고 간적이 이를 받아 삼켜 잉태했다.
그가 설(契)이다.”(사기 은본기)
|
안양 인쉬(殷墟)에서 확인된 상나라 말기의 건축유적.
주 무왕에 의해 패배하여 분신자살한 주왕의 궁전이었을 것이다.
신희권 국립문화재연구소 학예관 제공
|
사기에 나오는 은(殷)은 본래 상(商)나라이다.
최근 중국학계와 정부는 ‘하상주 단대(斷代) 공정’에 따라 상나라의 연대를 확정했다.
즉 BC 1600년에 성탕(成湯)이라는 영웅이 하나라를 멸하고 천하를 통일했으며,
BC 1300년에 은으로 천도한 뒤 BC 1046년 주(紂)임금 때 주(周) 무왕에 의해 멸망했다.
은이라는 나라 명은 상왕조의 마지막 도읍 명칭인데,
주나라 사람들이 은으로 낮춰 부른데서 유래되었다.
상나라는 폭군의 나라?
상(은)나라는 왠지 ‘폭군의 나라’ 혹은 ‘망국의 한(恨)’을 연상시키기 십상이다.
마지막 왕인 주왕(紂王)의 난행이 너무도 생생한 필치로 기록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는 하나라의 마지막 왕인 걸(桀)과 함께 ‘걸주’라는 이름으로 폭군의 상징이 됐다.
‘요망한’ 애첩 달기(己)의 비위를 맞추려 술로 연못을 만들고,
숲에 고기를 달아놓고는 벌거벗은 남녀를 뛰어놀게 한 이른바 ‘주지육림(酒池肉林)’.
기름을 바른 구리기둥을 숯불 위에 걸어놓고
죄인을 걷게 하고는 떨어져 불에 타는 모습을 보고 깔깔댔다는 ‘포락지형(포烙之刑).
신하이자 서형(庶兄)인 비간(比干)이 목숨을 걸고 간언하자
“성인의 심장엔 구멍이 일곱개가 뚫렸다는데 한번 보자”면서
심장을 해부한 만행의 줄거리는 지금도 뭇사람들을 진저리치게 한다.
제후들을 죽여 포(脯)를 떠서 소금에 절인 뒤 다른 제후에게 보내 맛을 보라고 강권하기도 했다.
그것으로 충성도를 시험했다니….
충신인 기자(箕子)가 망국 후에 황폐해진 도읍지(인쉬 · 殷墟)를 지나다가 지었다는
‘맥수지가(麥秀之歌)’는 지금도 망국의 슬픔을 상징한다. “(파괴된 궁실 자리에 곡식 자란 모습을 보며) 보리는 잘 자랐고, 벼와 기장은 싹이 올라 파릇하구나.
개구쟁이 어린애(주왕)야! 나하고는 사이좋게 지냈더라면….”
맥수지가는 여전히 유학계나 한문학계에서 최고의 산문으로 평가되고 있다.
천하 쟁탈전
하지만 역사는 승자의 기록.
왕조교체 후 전대의 마지막 왕을 망나니로 만들어 버리는 예는 하나라 걸왕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다만 상나라의 폄훼는 더 심한 편이다.
주나라의 계승자임을 자처한 후대의 사가들이 지어낸 과장일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
정저우 상성에서 확인된 청동 술잔. |
상나라의 실체를 알면 더욱 확실해진다. 하 · 상 · 주의 왕조교체는 단순한 왕조의 교체가 아니다.
지금의 개념대로라면 동이족이 한족(漢族)과 처절한 중원쟁탈전을 벌인 끝에 하나라를 무찌르고 550년 가까이 천하를 통일했다. 그것이 바로 상나라이다.
그런 상나라를 다시 중원의 종족(한족 · 漢族)이
몰아내고 주나라를 세운 것이다.
이후 중국의 역사는
줄곧 한족 중심으로 전개되었다.
“그러나 상나라는 중국뿐 아니라 동아시아 역사에 엄청난 영향을 끼쳤어요. 갑골문자를 발명했을 뿐 아니라 청동기 문명을 꽃피웠으며, 동양의 예제를 확립했잖아요.(이형구 선문대 교수)”
우리는 한때 천하를 풍미했고, 드라마틱한 역사를 남겼지만, 망국의 한을 품으며 홀연히 역사속으로 사라져버린 이 상나라를 기억해야 한다.
우리의 역사를 쏙 빼닮은….
우선 중국 역사서에 나타난 대로 상나라의 역사를 일별해보자.
천하를 통일한 동이
상나라 시조인 설(契)은 요순 시절에 우(禹)의 치수를 도운 덕에 상(商)이라는 곳에 봉지를 받았다.
그래서 상이라는 나라 이름이 생겼다.
상토(相土 · 설로부터 3대)는 마차를 발명했으며, 그 세력을 ‘해외’에까지 넓혔다.
그리고 왕해(王亥 · 7대)는 비단과 소를 화폐로 삼아 부락들을 상대로 장사를 벌였다.
훗날 왕해는 유역(有易)이라는 마을에서 엄청난 환대를 받는다.
왕해의 아우 왕항(王恒)은 유역족을 대패시키고 그 족속의 재물을 빼앗았다.
세력을 넓혀간 상은 훗날 성탕이라는 영웅을 만난다.
탕은 덕으로 나라를 다스리고 요리사 출신인 이윤(伊尹)을 재상으로 등용, 국세를 떨친다.
이 무렵 하왕조는 걸 임금의 학정 때문에 멸망기에 접어든다.
천하의 인심을 얻은 성탕은 도읍을 ‘박(毫)’으로 옮긴 뒤 드디어 11차례의 접전 끝에
하왕조를 무너뜨리고 천하를 통일한다. 이때가 BC 1600년이다.
그 뒤에도 역마살이 끼였는지 하왕조 멸망 뒤에도 다섯차례나 도읍을 옮겼는데,
반경(盤庚)이 BC 1300년 은으로 천도한 뒤에야 완전히 정착했다.(웨난의 ‘하상주 단대공정’(일빛) 참조)
상은 은 천도 이후에도 12명의 왕이 254년 동안 화려한 문명의 꽃을 피우다가 멸망한다.
마지막 왕인 주왕은 나중엔 폭군이 되고 여성의 치맛폭에 싸여 천하를 그르쳤지만
“처음엔 총명하고 말재주가 뛰어났으며 그의 지혜는 신하의 간언이 필요하지 않을 정도”였다.
(사기 은본기)
이 대목에서 기자는 자꾸 백제 마지막 왕인 의자왕의 기록(삼국사기 백제본기)이 떠오르는지 모르겠다.
양념으로 인용해보자. “665년, (의자)왕은 궁녀와 함께 주색에 빠지고 즐기기만 했다.
좌평 성충(成忠)이 극력 간언하자 화가 난 왕은 그를 옥에 가두었다.
이후 감히 간언하는 자가 없었다. 성충이 옥중에서 굶어 죽었는데….” 역사가 되풀이되는 것인지,
아니면 ‘승자의 전리품’이라는 역사의 기록이 되풀이되는 것인지 알 수 없는 대목이다.
발해문명의 후계자
BC 6000년부터 잉태한 발해문명의 후계자였던 상나라의 문명은 대단했다.
중국학계는 상나라가 중원 하나라(BC 2070~BC 1600년)의 일개 소국이었고,
차츰 세력을 넓힌 뒤 성탕 때(BC 1600년)에 하나라를 멸망시켰다고 여겼다. 하지만 그랬을까.
|
인쉬에서 발굴된 갑골.
갑골에 새겨진 문자(갑골문자)는
상나라의 위대한 발명품이다. |
우선 도성의 규모를 보자.
도성은 국가의 중심이자 왕조의 위세를 나타내주는 상징이다.
그런데 상나라는 멸망 때까지 10차례가 넘는 천도가 있었으나,
흩어져 있는 도성의 규모는 만만치 않았다.
모든 상나라 도성이 판축기법으로 쌓은 점은 특기할 만하다.
신희권 국립문화재연구소 학예관은
“자연적인 방어시설인 강변에 쌓은 점이라든지,
흙을 켜켜이 쌓아 조성한 이른바 판축기법으로 보면
기원 후 1세기 때부터 축조된 것으로 보이는
백제 풍납토성과 매우 비슷하다”고 말했다.
먼저 성탕이 세운 것으로 여겨진
허난성(河南省) 옌스(언사 · 偃師)상성의 궁전터는
그 규모가 19㎢에 달했다.
성탕은 하를 멸한 뒤 다시 허난성 정저우(정주 · 鄭州)에
도읍했는데(중정 · 仲丁 시기에 건립됐다는 설도 있다)
규모가 25㎢였다.
정저우 상성의 경우 궁전 내부에서는 100기 정도의 인골이 묻힌 구덩이가 확인되었는데,
이는 순장제도 혹은 사람을 제사에 바친 증거로 보인다.
외성에서는 중 · 소형 무덤이 100여 기 확인됐다.
이 무덤에서는 력(鎘. 솥의 일종), 작(爵, 술잔), 분(盆, 물과 술 담는 동이), 규(鬹, 제사에 쓰이는 세발달린 가마솥), 언(甗, 시루), 존(尊, 술그릇) 등이 대거 발굴되었다.
이곳에서는 노예들이 거주하면서 수공업을 담당한 것으로 보이는 작업장이 확인되었다.
이는 상나라 시기에 노예제가 확립되었음을 알려주는 증거이다.
또한 인쉬(은허 · 殷墟)유적의 발견은 뭇사람들의 시상을 자극할만한 한편의 대서사시 같다.
1899년 가을 심한 학질에 걸린 왕이룽(왕의영 · 王毅榮 · 국자감 좨주)은
의사에 처방에 따라 ‘용골(龍骨)’이란 약재를 구입했다.
그런데 그는 약재에 뭔가 전서(箋書)와 같은 글씨가 새겨져 있는 것을 발견한다.
금석학자인 그는 야릇한 흥분에 휩싸였다. 이것은 훗날 갑골문으로 확인되었다.
후술하겠지만 이 갑골이 허난성 안양센(安陽縣)의 샤오둔춘(小屯村)에서 집중 출토된 것을
파악한 중국학계는 1928년부터 본격 발굴에 들어갔다.
15차례에 걸친 발굴 끝에 2만4794점의 갑골이 발굴되었다.
상나라의 위대한 발명품인 한자의 원형, 즉 갑골문자를 발견한 것이다.
인쉬는 BC 1300년부터 BC 1046년 주왕이 분신자살할 때까지 상나라의 도읍지였으며,
254년간 이른바 은나라 시대를 이끈 곳이다.
망국의 한이 풀 한포기, 돌멩이 하나에도 녹아있는 바로 그 인쉬….
이곳에서는 갑골문자뿐 아니라 궁전터와 종묘유적,
그리고 왕과 귀족의 무덤떼가 고스란히 확인되었다.
이른바 인쉬에서는 100㎏이 넘는 청동기를 주조하던 주형(鑄型)이 확인되는 등
크고 정교한 청동기와 옥기가 대량으로 쏟아졌다. 발굴성과가 중국역사에 준 충격은 엄청났다.
전설상의 나라로 여겨진 상나라의 실체가 완벽하게 드러난 것이었다.
무엇보다 갑골문이 해독되면서 상나라의 역사를 기록한 사마천의 사기가 ‘소설’이 아니라
사실(史實)이라는 것을 확인시켰다는 점에서 기념비적인 사건이었다.
수수께끼의 열쇠
“이로써 상나라의 수수께끼가 풀리기 시작했지.
상나라 사람들이 전쟁에 나서거나 큰 일을 치를 때는 그 길흉을 점쳤다는 것과,
신과 인간을 소통시키는 신권과 왕권의 복합왕국이었다는 것까지….” (이형구 교수)
특히 ‘발해산’ 청동기로 무장한 상왕조는 청동기가 널리 보급되지 않았던 하나라를 압도했다.
짐승문양, 도철(괴수)문양 등 왕권과 신권을 상징하는 다양한 청동예기는 물론,
다양한 형태와 쓰임새가 자랑인 다양한 생활용기도 상왕조의 문화를 살찌웠다.
그렇다면 상나라 문화와 동이족과는 구체적으로 어떤 관계가 있는가.
우리는 이미 상나라가 차하이 · 싱룽와 문화(BC 6000~BC 5000년) - 훙산문화(BC 4500~BC 3000년)
- 샤자뎬 하층문화(BC 2000~BC 1500년 · 고조선의 문화로 여겨짐)의 찬란한 발해문명 전통을
이어받았다고 보았다. BC 1600년 무렵 발해문명의 일파가 남하하여 중원 하나라를 쓸어버린 뒤
천하를 통일한 나라가 상나라라고….
그러면 중국학계는 이 상나라와 상나라 문화를 어떻게 보고 있을까.
발해문명의 일파가 남하, 상(商)을 건국했다면 발해연안엔 어떤 나라가 존재했을까.
그리고 상나라가 망한 뒤 발해연안에 건국되었다는 기자조선의 실체는 무엇일까.
또한 상나라 문화를 쏙 빼닮은 부여국의 존재는 무엇이며,
중국인들은 동이의 역사 가운데 왜 유독 부여에 대해서는 호의적으로 서술할까.
이것이 앞으로 풀어야 할 수수께끼 보따리다. - 2008년 02월 01일. 경향 - 선양 · 뉴허량 / 이기환기자 lkh@kyunghyang.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