느끼며(시,서,화)

단원 김홍도와 혜원 신윤복 - 빨래터

Gijuzzang Dream 2008. 7. 10. 15:39

 

 

 '빨래터'의 여자와 남자

 
 
김홍도의 그림 ‘빨래터’ 
 
아낙네 몇이 개울가에서 빨래를 하고 있다.
그림 왼쪽의 어린아이가 딸린 여성은 머리를 풀어헤쳐 감은 뒤 다시 땋고 있다.
앞에 빗이 놓여있다. 어린아이는 아랫도리를 홀랑 벗고 있는 이놈은 엄마 젖을 만지고 있다.
그 아래의 여성은 긴 빨래를 비틀어 짜면서 건져내고 있다.
그 오른쪽에 방망이질 하는 여성 둘이 무슨 이야기인지 한참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빨래터는 온갖 수다가 난무하는 곳이 아닌가. 시누이 험담인가, 동서 험담인가, 아들 자랑인가,
건너 마을의 아무개 남편의 이야기인가. 우물과 빨래터는 여성들 고유의 일터이자, 수다판이다.

 

 

 

 

김홍도의 풍속도, '빨래터', 모시에 담채, 57.0×34.5㎝,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여성의 일터이자 은밀한 이야기 나누는 곳

 

빨래는 밥짓기와 함께 여성노동에 속한다. 아니, 속하는 것이 아니라, 빨래와 밥짓기는

여성을 여성으로 규정하는, 좀 더 어렵게 말해 여성성을 규정하는 본질적 노동이다.

곧 밥과 빨래란 가사노동은 곧 여성이란 말과 등치된다.

밥짓기와 빨래가 언제부터 여성 노동으로 규정되었는지는 알 수가 없다.

아마 가부장제 사회가 성립하고부터가 아니었을까.

 

1123년 고려에 왔던 송나라 사신 서긍은 ‘고려도경’에서 이렇게 말한다.

 

옷을 빨고 비단이나 베를 희게 말리는 것은 모두 부녀자의 일이다.

비록 밤낮으로 부지런히 일해도 감히 힘들다고 말하지 않는다.

우물을 파고 물을 긷는 것은 대개 시내 가까운 곳에 한다.

우물 위에는 두레박을 걸어 함지박에 물을 긷는다. 함지박은 배의 모양과 같다.

 

빨래는 오래 전부터 여성의 노동이었던 것이다. 이것은 고려나 조선이나 다를 것이 없다.

다만 조선의 여성은 고려의 여성에 비해 훨씬 부자유하였다.

고려조의 여성은,

남편의 승진과 출세를 도모하기 위해 엽관운동을 하러 남편의 상관을 찾아가는 일도 가능했고,

굿을 하기 위해 신당을 찾거나, 불공을 올리기 위해 절을 찾을 수도 있었다.

그것도 아니라면 구경거리가 생겼을 때도 당연히 떳떳하게 외출할 수가 있었다.

 

하지만 조선조가 들어서면서 여성의 외출은 금지되었다.

그렇다고 해서 여성의 외출이 완전히 봉쇄된 것은 아니었다.

하지만 금지의 원칙이 존재한다는 것 자체가 이미 활동의 의지를 축소시켰던 것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남아 있는 여성의 합법적 탈출로, 곧 해방구는 우물과 빨래터였다.

그것은 힘든 노동의 공간이었으나

한편으로는 동네의 소식을 주고받고 은밀한 험담을 할 수도 있는 곳이었다.

그리고 더 중요하게는 그곳은 성적 담화가 가능한 해방의 공간이었다.

 

단원의 그림 오른쪽 위의 갓을 쓰고 쥘부채로 얼굴을 가리고 있는 양반,

이 양반의 자세는 분명 성적인 신호를 보내고 있다. 

부채를 넘어서 보내는 눈길의 속내는 곧 남성의 성욕인 것이다.

 

 

아래쪽의 그림은 신윤복의 그림 ‘빨래터의 사내’  

 

 

 

 
                                                                                              

개울가 빨래터에서 빨래를 하는 여인, 흰 천을 펼치는 할미,

그리고 목욕을 마쳤는지 젖은 어여머리를 땋고 있는 젊은 여성이 있다.

이 젊은 여성은 저고리 아래 가슴을 드러내고 있다.

 

왼쪽의 젊고 늘씬한 몸매의 사내를 보라. 활과 화살을 들고 있는 것으로 보아 무반이 분명하다.

이 사내의 눈길은 젊은 여성의 가슴에 꽂혀 있다.

우물가는 남성과 여성이 접촉하는 성적 공간인 것처럼 빨래터 역시 성적인 공간이다.

 

 

고려가요 ‘제위보’를 들어 우물가의 성적 접촉의 실례를 확인해 보자.

‘고려사’에는 국문가사는 없어지고 이제현이 한시로 번역한 것이 남아 있는데,

이 노래의 사연을 이렇게 전하고 있다.

어떤 아낙이 죄를 지어 제위보에서 노역살이를 하던 중 남자에게 손을 잡혔는데,

씻을 방도가 없어 노래를 지어 자신을 원망했다.

 

이제현이 한시로 그 노래를 풀어 옮겼다.

 

빨래터 시냇가 수양버들 아래서

손을 잡고 자기 마음 말하던 흰 말 탄 그 사람

처마에 석 달 비가 내린다 해도

손 끝에 남은 향기 어찌 차마 씻을 수 있으리. - 고려가요 '제위보'

 

아낙이 지은 죄의 구체적 내용이야 알 길이 없지만, 아마도 애정에 관계된 것이 아니었을까.

어느 날 자신과 관계하던 남자가 빨래터에서 일을 하던 여자를 찾아왔다.

여자의 손을 잡고 사랑한다는 말을 털어놓는다. 남자는 이내 떠난다.

손끝에 남자의 체취가 남아 있다. 석 달 비가 쏟아진다 해도 씻을 수가 없다.

여자는 남자를 따라갈 수 없는 자신이 원망스럽다.

이처럼 빨래터는 남자와 여자의 성적 신호가 오가는 그런 공간이었던 것이다.

 

 

황진이는 빨래터에서 만난 남녀의 작품

 

‘제위보’는 이별을 노래한 것이지만, 빨래터에서 사랑이 이루어지는 경우도 있다.

 

17세기 초 이덕형이 쓴 ‘송도기이’란 책은 개성에 관계된 여러 이야기를 담고 있는데,

거기에 황진이가 태어난 내력을 밝힌 부분이 있다.

이 이야기는 이덕형이 공무로 개성에 머무를 때 채록한 것이기에

당시 개성에 유포되어 있던 이야기다.

 

황진이의 어머니는 이름이 현금인데,18살에 병부교 다리 밑에서 빨래를 하고 있었다.

그런데 웬 훤칠한 대장부 하나가 다리 위에서 나타나 현금을 보고 웃기도 하고

손으로 가리키기도 하는 것이 아닌가. 잘생긴 사내라, 현금의 마음도 적잖이 쏠리는 것이었다.

그러다가 사내는 갑자기 사라졌고, 빨래하던 아낙들도 모두 흩어졌다.

 

인적이 끊어지자 그 사내가 다시 나타나 기둥에 기대어 노래를 한 곡 뽑는다.

노래가 끝나자 사내는 현금에게 물을 한 잔 달랜다.

현금이 냉큼 물을 떠 주었더니, 반쯤 마시고 돌려주면서 마셔보라고 하였다.

현금이 마시자 물이 아닌 술이었다. 말하자면 마술을 동원한 ‘작업’이었던 바,

현금은 거기에 넘어가 사랑에 빠졌던 것이다.

 

황진이는 빨래터에서 만난 두 남녀의 작품이었다.

 

우물가에서 만나 왕비가 되었던 그런 이야기는 빨래터에도 있다.

고려 태조 왕건은 빨래터에서 만난 여성과 관계하여 아들을 낳았고,

그 아들은 왕건의 뒤를 이어 고려의 두 번째 왕, 혜종이 된다.

 

왕건은 태봉의 궁예의 장수로서 903년 수군을 이끌고 후백제 땅인 나주를 공격한다.

목포에 배를 정박시키고 있는데, 멀리 오색 구름이 서린 동네가 보인다.

찾아가 보니, 어떤 처녀가 빨래를 하고 있다. 즉시 ‘신원조회’를 해 보니,

처녀의 할아버지는 부돈, 아버지는 다련군이란 사람이었다.

다련군이 사간 벼슬을 지낸 연위란 사람의 딸 덕교와 혼인해서 낳은 딸이 바로 이 처녀다.

 

뭐 이렇게 말해 보아야 감이 잡히지 않기는 마찬가지다.

요약하자면, 그 여자는 그 지방 호족의 딸이었다. 보니, 인물이 괜찮다.

무슨 말로 수작을 걸었는지는 알 수 없지만, 그 여자와 하룻밤을 지내게 되었다.

시집 안 간 처녀를 건드려 놓고 왕건은 여자의 출신 성분이 낮다 하여, 임신을 원하지 않았다.

해서 돗자리에다 사정을 한다. 그런데 이 처녀의 행동이 놀랍다.

여자는 전날 밤 용이 자신의 뱃속으로 들어오는 꿈을 꾸었다. 용은 곧 왕이 아닌가.

여자는 이불에 흘린 정액을 쓸어 넣었다. 일종의 인공수정인 셈인데,

어쨌거나 임신이 되었고 아들을 낳았으니, 그가 바로 혜종이다.

 

혜종은 특이하게도 얼굴에 돗자리 무늬가 있었다.

원래 왕건이 사정한 곳이 돗자리였으니, 말이 된다.

그래서 세상 사람들은 혜종을 ‘돗자리 대왕’이란 이름으로 불렀다 한다.

 

빨래터는 용흥사란 절이 되었다. 용흥은 용이 나타났다는 뜻이다.

‘고려사’는 혜종이 용의 아들답게 늘 물을 잠자리에 뿌리고,

큰 병에 물을 담아 팔꿈치를 씻었다고 전한다.

 

 

남성이 성적 욕망 따라 여성 관찰하던 곳

 

이제 빨래터가 단지 옷을 세탁하는 공간만이 아니라는 것을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

빨래터는 남성이 자신의 성적 욕망이 시키는 바에 따라 여러 여성들을 관찰할 수 있는 곳이었으며,

또 여성은 자신의 나신 일부를 슬쩍 남자들에게 보일 수 있는 공간이었던 것이다.

 

단원과 혜원의 빨래터 그림에 남자가 등장하는 데는 이런 이유가 있었던 것이다.

- 강명관 부산대 한문학과 교수

- 서울신문, 2008-01-28 [그림이 있는 조선풍속사]

 

 

 

 

- Down By The Sally Gardens - The Rankin Fami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