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 현대 대학교육의 산실
- 건국대학교 구 서북학회 회관
1908년 도산 안창호, 박은식, 유동열, 이동휘 등이 중심이 되어 조직한 문화계몽운동을 위한 애국단체로, 1908년 1월 서우학회 및 한북흥학회가 통합하여 서북지방에서 발족하였다.
<서북학회월보>를 간행하며, 계몽강연, 청년지도 등을 통하여 민중계몽운동, 민족실업진흥운동 및 항일교육구국운동 등을 전개했던 단체로, 1910년 일진회가 한일합방을 지지하고 나섰을 때 반대운동에 앞장섰다는 이유로 동년 4월 강제로 해산되었다. 서북학회는 1908년 국운이 기울어 가던 시기에 힘을 모으기 위해서 서울의 한 복판인 운니동에 그 터를 잡았다. 이어 중등과정의 신교육을 가르치는 오성학교가 설립되었지만, 서북학회 해산과 함께 해산되고 말았다.
그렇지만, 이후 서북학회회관은 근·현대 대학교육의 산실로 자리 잡게 된다. 1918년 천도교가 운영하던 보성전문학교가 4년 동안 이곳을 교사로 사용하였고, 보성전문학교가 이전한 후에는 서북학회의 산하교육기관이었던 협성학교와 협성실업학교교사로도 쓰였다. 이후 화신백화점의 박흥식으로부터 1939년 당시 민중병원을 운영하던 유석창에게 소유권이 이전되면서 해방 후 건국대학교와 인연을 맺게 된다. 1946년 5월 건국대학교의 모체가 된 ‘조선정치학관’이 개설되었으며, 1947년에는 단국대가 정규대학으로 발족하였고 국민대도 이곳을 거쳐 갔다.
한국전쟁 후인 1956년 건국대가 서울특별시 성동구 모진동 현 교사로 이전하면서, 본 건물은 건국대 야간부 및 법인 사무실로 쓰였다. 1976년 도시계획으로 철거위험에 처하자 1977년 해체된 후, 지난 1985년 지금의 건국대 서울캠퍼스에 이전, 복원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
서북학회회관이 떠난 자리에는 주차장이 자리잡고 있고
한국민족예술인총연합회가 위치한 건물에는 건국다방 상호만이
이곳이 건국대와 인연을 맺었던 곳이라는 점을 보여줄 뿐이다.
이전 복원된 구서북학회회관은
건국대학교의 설립자의 교육이념을 기리기 위해 ‘상허기념관’으로 명명돼
박물관으로 사용되면서 각종 유물과 유품을 전시하고 있다.
서북학회회관은 동 시기 여느 벽돌건축과 마찬가지로 중국인 기술자에 의해 건축되었다고 한다.
벽돌건축을 짓는 전통이 우리에게 없었기 때문에,
20세기 초까지 대부분의 벽돌건축은 중국인에 의해 건축되었다.
본 건물을 짓는 데는 한성전기회사가 모델이 되었다고 한다.
구서북학회회관의 돌출된 중앙현관부와 좌우 3개의 창호 배열 등 전체적인 구성은
한성전기회사사옥과 같다. 다만, 재료와 세부 표현기법에서 차이가 있을 뿐이다.
건국대학교 구 서북학회 회관 이전하기 전의 모습 |
구서북학회회관이 현 위치로 이전해 오면서
여러 부분에서 원형을 상실한 점은 아쉬움으로 남는다.
기단부를 형성하는 지하층 외벽 재료가 바뀌었고,
벽돌을 길이방향과 마구리방향으로 번갈아 쌓아 벽체가 구조성능을 갖게 하는 영식쌓기로
지어졌을 외벽이 길이방향만으로 쌓는 미식쌓기로 바뀌었기 때문이다.
이전 복원만으로도 대단한 일이었을 당시 상황을 감안하더라도,
문화재급 건축물의 복원에서 발생한 치명적인 복원상의 실수로
문화재의 가치를 현저히 떨어뜨리는 결과를 낳고 말았음을
타산지석(他山之石)으로 삼아야 할 것이다.
구서북학회회관은 2003년 6월 30일 등록문화재 제53호로 등록 · 관리되고 있다.
- 2008-04-28, 문화재청, 문화재포커스
'지켜(연재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근대문화유산] ② 이화여자대학교 파이퍼 홀 (0) | 2008.04.29 |
---|---|
[근대문화유산] ③ 서울시청 청사 / 서울시 시의회건물 (0) | 2008.04.29 |
[근대문화유산] ⑤ 덕수궁(경운궁) 석조전 동관 (0) | 2008.04.29 |
[근대문화유산] ⑥ 덕수궁 정관헌 (0) | 2008.04.29 |
[근대문화유산] ⑦ 창경궁 대온실 (0) | 2008.04.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