좌파 독립운동가 자손들의 소회 | |||||||||
| |||||||||
“미안합니다. 한국말을 하지 못해서. 한국말을 배우려해도 나이가 들어 이제는 너무 늦어버렸어요.”
지난 13일 베이징에서 만난 고영광씨(69)는 거듭 미안하다는 말로 인사를 대신했다. 고씨는 님 웨일즈의 소설 ‘아리랑’으로 잘 알려진 공산주의 독립운동가 김산의 아들. 단정하게 빗어넘긴 머리에 세로줄무늬 흰 셔츠를 받쳐 입은 그는 조금 긴장한 모습이었다. 셔츠 주머니에 볼펜이 제대로 꽂혀 있는데도 자꾸만 매만졌다. 그는 아버지 모습을 기억하지 못했다. 김산은 고씨가 태어난 다음 해인 1938년, 일본 스파이라는 누명을 쓰고 33살 나이에 중국 공산당에 의해 처형을 당했다. 스파이 누명을 쓰고 처형당한 아버지로 인해 아들이 위험에 빠지는 것을 원치 않았다. 아들의 성을 친부가 아닌 재혼한 중국인의 것을 딴 이유도 이 때문이다. 그는 비로소 아버지의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다. 그는 “아버지의 존재를 알고 나서 오히려 많이 힘들었다”면서 “훌륭한 항일운동가인 아버지가 중국과 한국에서 인정을 받지 못하고 잊혀가는 현실이 고통스러웠다”고 말했다. 6년여간의 공방 끝에 중국 공산당은 김산의 명예를 회복시켰다. 자료들을 수집하면서 아버지의 철학과 열정을 조금씩 이해하기 시작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이제는 저뿐 아니라 한국의 많은 분들도 아버지에게 관심을 쏟아주셔서 감사하고 고마울 따름”이라고 말했다. 짤막하게 말했다. 다른 중국인들보다 유난히 검은 피부여서 굴곡 많은 인생역정을 경험했을 법했지만 그는 자신의 삶에 대해서는 굳게 입을 닫았다. 다만 미소를 지으며 “괜찮았다”는 말만 되풀이했다. 당시 사회주의계열 독립운동가에게 서훈을 수여하는 것은 국가정체성을 흔드는 일이라는 반대도 만만치 않았지만, 한국 정부를 상대로 한 2년에 걸친 그의 노력은 끝내 결실을 맺었다. 공산주의 활동을 하셨던 아버지가 항일투쟁으로 서훈을 받으셨다는 것, 그것이 가장 중요한 것이죠.” 중국여성 두혜련과 사이에서 태어난 3남중의 둘째와 셋째 아들이다. 두혜련은 운암선생이 한국으로 떠난 뒤 아들들의 성을 자기 성씨로 바꿨다. 두건씨는 중앙미술학원 유화학부 부학부장을, 두련씨는 국가정보원센터 부주임을 각각 거친 뒤 퇴직했다. 연을 띄우고 수영을 가르쳐 줄 정도로 자상하신 분이었다”고 아버지를 회상했다. 그가 12살이던 1945년 조선은 광복을 맞았고 운암 선생은 그해 12월 광복국가 건설이라는 목표를 안고 조선으로 떠났다. 그렇지만 우리 가족은 민족에 대한 아버지의 열정을 곁에서 보아왔기에 한국에서 이상을 실현하고 정치적 신념을 실천하기를 진심으로 기원했습니다. 남겨진 가족들을 정말 고통스럽게 만들었던 것은 현실적인 어려움이나 그리움 같은 것이 아니었습니다.” 1946년 미군정법 위반으로 6개월간 전주감옥에 수감됐다. 또 1957년에는 근로인민당을 재건하려 했다는 이유로 체포됐고, 1961년에는 5 · 16군부 쿠데타 세력에 의해 반국가 행위자로 체포됐다가 독립유공자임이 감안돼 집행유예가 선고되기도 했다. 극빈한 삶으로 인해 병원비는커녕 임종한 뒤 퇴원비조차 없었던 쓸쓸한 죽음이었다. 다른 통치자들이나 집단과 갈등을 일으켜 정작 그 분의 항일업적은 제대로 인정받지 못했다”고 말했다. “모든 열정을 바쳐 조선광복만을 원했던 아버지의 인생이 저토록 고난스럽게 끝이 났다는 사실이 너무나도 안타깝다”고 아쉬움을 토로했다. 아버지가 저술하신 책이나 사료 등이 하나도 남아 있지 않다”면서 “가능하다면 한국과 중국 정부가 협의해 관련 사료를 발굴하는 데 힘썼으면 좋겠다”고 소망했다. 두 형제는 “아직까지 한국에 남은 아버지의 자취를 찾아가 볼 기회를 갖지 못했다”면서 “한국에서 초청해 준다면 언제든 한국을 방문해 아버지의 흔적이 남은 장소들을 가보고 싶다”고 말했다. ◇ 15세 때 독립투신 김산 사회주의 계열의 민족독립 운동가였다. 1905년 평북 용천에서 태어나 15세 때 만주 독립군훈련소에 입소한 뒤 군사교육을 받았다. 이때 김충창(운암 김성숙의 다른 이름)의 지도를 받아 사회주의자가 됐다. 1935년 상하이에서 ‘조선민족해방동맹’을 창설했다. 1937년엔 항일군정 대학에서 물리학, 화학, 수학, 일본어, 한국어를 강의했다. 이때 님 웨일스를 만나 인터뷰 형식의 ‘아리랑’이 탄생했다. 이 책에서 김산은 “천부적 지도자의 자질을 타고난 진보적 사고의 소유자”로 묘사됐다. 일본 스파이로 몰려 체포된 후 극비리에 총살당했다. 가족들의 청원에 따라 46년만인 1984년 중국 공산당에 의해 명예가 회복됐다. 정부는 지난해 김산에게 건국훈장 애국장(4등급)을 서훈했다. 운암 김성숙은 김산 등 사회주의계열 독립운동가들의 ‘정신적 스승’이었다. 1916~18년 용문사로 들어가 출가했다. 월초 노스님으로부터 받은 법명은 성숙(星淑). 운암은 1919년 3·1운동 때 경기 양주(楊州)의 광천시장 시위 주모자로 체포돼 1년간 복역했다. 1923년 중국으로 넘어가 ‘창일당’을 조직하면서 사회주의 운동을 본격적으로 시작했다. 1931년 반제동맹에 가담했고 1936년 조선민족해방동맹, 1937년에는 조선민족전선연맹을 조직했다. 좌파인 김원봉계 통합에 앞장섰다. 그래서 조선의용대와 한국광복군의 통합을 이끌어 냈다는 평가를 받는다. 1942년 대한민국임시정부 내무차장에 취임했고, 1943년 대한민국임시정부 국무위원이 됐다. 1982년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됐다. - 조현철기자 |
해평(海平) 이재현 열사는 누구?
- 2006년 08월 14일 경향 |
'지켜(연재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조선 심장부를 가다] 제 4부 - 고대에는 요동반도가 조선반도였다 (0) | 2008.04.18 |
---|---|
[한일무장투쟁 발자취를 따라] 1. 방치된 중국내 유적들 (0) | 2008.04.13 |
[한일무장투쟁 발자취를 따라] 3. 잊혀진 독립운동가 이자해선생 '자서전' (0) | 2008.04.13 |
[역사의 땅, 사상의 고향] (47)-(48) 다산 정약용 (0) | 2008.04.13 |
[역사의 땅, 사상의 고향] (45)-(46) 하서 김인후 (0) | 2008.04.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