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주짱의 하늘꿈 역사방

지켜(연재자료)

[조선후기 신지식인 한양의 中人들] 인왕산 공동체 (계, 契)

Gijuzzang Dream 2008. 3. 7. 15:36

 

 

 

 (51) 중인 지식인들이 꿈꾸었던 인왕산 공동체 

 
 
중인들은 한 집안에서 같은 직업을 이어받으며 배타적인 기득권을 누렸다.
어려서부터 가정교사를 들여놓고 잡과 시험공부를 시켰으며,
자기네들끼리 추천하여 정원을 나눠 가졌다. 혼인도 같은 직업끼리 했다.
그렇지만 이웃과 어울려 즐길 줄도 알았다.
한 마을에서 자라며 같은 서당에서 공부하다보면 형제 이상의 우정이 생겨,
평생을 함께 하기로 약속하는 경우가 많았다.
 
장혼이 중심이었던 옥계사(玉溪社) 동인들은 기쁨과 슬픔을 함께 하자고 계를 꾸렸으며,
장혼의 서당에서 글을 배웠던 장지완의 친구들도 형제처럼 밤낮 머리를 맞대고 지냈다.
 

 

 

공동체의 규범인 사헌을 정하다

 

인왕산에서 태어난 장혼의 친구들이 1786년 7월16일에

옥계(玉溪) 청풍정사에 모여 시사(詩社)를 결성한 이야기는 제1회에 소개했는데,

이들은 옥계사의 정관이라고 할 수 있는 사헌(社憲)을 정해 공동체를 만들었다.

 

 

 <수갑계첩>, 1814년, 작자미상,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19세기 중인의 집을 그렸는데, 대청에서 중인들이 모여 환담을 나누고 있는 모습이다.

 

 

22조 가운데 몇 조목만 살펴보아도, 이들이 꿈꾸었던 인왕산 공동체의 면모를 엿볼 수 있다.

 

1. 우리는 이 계(契)를 결상하면서, 문사(文詞)로써 모이고 신의(信義)로써 맺는다.

그러기에 세속 사람들이 말하는 계(契)와는 아주 다르다.

그러나 만약에 자본이 없다면 비용을 감당하기 어렵기 때문에,

각기 한 꿰미씩의 동전을 내어서 일을 성취할 기반으로 삼는다.

이자돈을 불리는 것은 다섯 닢의 이율로 정한다.

 

1. 여러 동인들 가운데 우리의 맹약을 어기는 사람이 있으면 내어는다.

그래도 끝까지 뉘우치지 않으면 길이길이 외인(外人)으로 만든다.

 

1. 한 달에 한번씩 모여 노는데,

반드시 대보름, 봄과 가을의 사일(社日), 삼짇날, 초파일, 단오날, 유두(流頭), 칠석,

중양절, 오일(午日), 동지, 섣달 그믐으로 정하여 행한다.

낮과 밤을 정하는 것은 그때가 되어 여론에 따른다.

회계나 모임을 알리는 글은 다른 사람들이 보거나 듣지 못하게 한다.

 

1. 시회(詩會) 때마다 만약 시를 짓지 못하면 상벌(上罰)을 베푼다.

 

1. 우리 동인들이 정원에서 모이는 모습이나 산수(山水) 속에서 노니는 모습을

그림으로 그려내어, 이야깃거리로 삼는다.

 

1. 우리 동인들 가운데 만약 부모나 형제의 상을 당하게 되면

한 냥씩 부의(賻儀)하고, 종이와 초로 정을 표시한다.

자식이 어려서 죽게 되면 술로써 위로한다.

집안에 상을 당하게 되면 성 밖까지 나가서 위로하며,

반드시 만사(輓詞)를 짓되 그 정을 속이지 않아야 한다.

만장군은 각기 건장한 종 한명씩을 내어 놓는다.

 

1. (벼슬을 얻어) 출사례(出仕禮)를 치를 때에는 후박(厚薄)에 따라 세 등급으로 한다.

상등은 무명 3필, 중등은 2필, 하등은 1필로 한다. 돈으로 대신 바칠 때는 두 냥씩 바친다.

 

1. 여러 동인들 가운데 상을 당하는 사람이 생기면 그날로 각기 비석 한씩을 내어 세운다.

장례 하루 전까지 여러 동인들이 각기 만사(輓詞) 한 수씩을 지어 상가로 보내며,

만장군을 그날 저녁밥 먹은 뒤에 보내되 각기 만장을 가지고 가게 한다.

상가 근처에서 명령을 기다리게 하되, 상여가 떠날 때에 검속하는 사람이 없어서는 안되니,

여러 동인들 가운데 한 사람이 무덤 아래까지 이끌고 간다.

장례가 끝난 뒤에 신주를 모시고 돌아올 때에도 따라오되,

마세전(馬貰錢)은 거리가 멀고 가까움에 따라 곗돈 가운데서 지급한다.

 

1. 여러 동인들 가운데 기복(朞服)이나 대공복(大功服)의 상복을 입게 되는 사람이 있으면,

상복을 처음 입는 날 모두 함께 찾아가서 위문한다.

 

 

인왕산 기슭, 옥계와 필운대 사이에 모여 살다

 

천수경이 옥계로 먼저 이사오자, 장혼이 찾아와 시를 지었다.

 

“예전 내 나이 열예닐곱 때에/ 이곳에 놀러오지 않은 날이 없었지./

바윗돌 하나 시냇물 하나도 모두 내 것이었고/ 골짜기 터럭까지도 모두 눈에 익었었지./

오며 가며 언제나 잊지 못해/ 시냇가 바위 위에다 몇 간 집을 지으려 했었지./

그대는 젊은 나이로 세상에서 숨어 살 생각을 즐겨/ 나보다 먼저 좋은 곳을 골랐네그려./

내 어찌 평생동안 허덕이며 사느라고/ 이제껏 먹을 것 따라다느니라 겨를이 없었나./

싸리 울타리 서쪽에 남은 땅이 있으니/ 이제부턴 그대 가까이서 함께 살려네./

이 다음에 세 오솔길을 마련하게 되면/ 구름 속에 누워서 솔방울과 밤톨로 배 불리세나.”

 

 

어릴 적 친구들이 하나둘 모여들어 이웃에 살았는데, 이들의 서재 이름은 다음과 같다.

 

천수경: 송석원(松石園)

장   혼: 이이엄(而已엄 - 다 허물어진 집 세 간뿐이란 뜻)

임득명: 송월시헌(松月詩軒 - 이웃에 지덕구가 살았다)

이경연: 옥계정사(玉溪精舍 - 적취원(積翠園)은 아들 이정린에게 물려주었다)

김낙서: 일섭원(日涉園 - 아들 김희령에게 물려주었다)

왕   태: 옥경산방(玉磬山房 - 뒷날 육각현으로 이사갔다)

 

이들은 인왕산 친구들끼리 모이면서, 마음에 맞지 않는 사람은 참석하지 못하게 했다.

그랬기에 남들이 보지 못하게 통문을 돌렸으며,

한때 동인이었더라도 일단 쫓겨나면 외인(外人)으로 취급했다.

이들의 계(契)는 진나라 시인 왕희지의 난정수계(蘭亭修契)를 본뜬 문학적 모임이지만,

계(契)의 성격을 살려 기금을 모으고 기쁨과 슬픔을 함께 하였다.

 

이들의 직업은 다양해서

만호(차좌일), 규장각 서리(김낙서, 임득명, 김의현, 박윤묵), 승정원 서리(이양필),

비변사 서리(서경창), 훈장(천수경, 장혼), 술집 중노미(왕태) 등이었는데,

시 짓기 좋아하고 술을 좋아한다는 것이 공통점이다.

 

이들은 보고 싶을 때마다 이웃 집에 찾아가 시를 짓고 술을 마셨다.

그러나 직장 일에 얽매이다보니 자주 만날 수 없어, 일년에 며칠을 미리 정해 놓고 만났다.

친척들이 모이는 명절날마다 이들이 모여 시를 짓고 놀았던 것을 보면,

이들은 친척보다 옥계사 동인들과 더 친밀하게 지냈음을 알 수 있다.

 

 

일년 열두달의 모임터

 

이들은 날짜와 장소를 정하고, 그날 할 일도 정했는데, 사자성어로 표현했다.

 

이들이 정한 ‘옥계사 십이승’은 다음과 같다.

 

1월. 한길에 나가 달구경하며 다리밟기 (街橋步月, 가교보월)

2월. 높은 산에 올라가 꽃구경하기 (登高賞華, 등고상화)

3월. 한강 정자에 나가 맑은 바람 쐬기 (江淸遊, 강청유)

4월. 성루에 올라가 초파일 등불 구경하기 (城臺觀燈, 성대관등)

5월. 밤비에 더위 식히기 (夜雨納凉, 주야납경)

6월. 시냇가에서 갓끈 씻기 (臨流濯纓, 임류탁영)

7월. 단풍 든 산기슭의 수계 (楓麓修, 풍록수)

8월. 국화 핀 뜨락의 단란한 모임 (菊園團會, 국원단회)

9월. 산속 절간에서의 그윽한 약속 (山寺幽約, 산사유약)

10월. 눈속에 마주앉아 술 데우기 (雪裏對炙, 설회대적)

11월. 매화나무 아래에서 술항아리 열기 (梅下開酌, 매하개작)

12월. 섣닫 그믐날 밤새우기 (臘寒守歲, 서한수세)

 

 

이들은 이따금 인왕산을 벗어나기도 했는데, 이들이 정한 우선 순위를 보면

역시 단풍 든 가을과 꽃 피는 봄의 모임을 좋아하고,

눈 내리는 겨울이나 더운 여름은 덜 좋아했다.

 

모일 때마다 자신들이 노니는 모습을 시로 짓고 그림으로 그렸는데,

1786년 7월의 모임에서는 12승에 해당되는 달마다 동인들이 1수씩 시를 지었다.

이때 편집한 ‘옥계사(玉溪社)’ 수계첩에는 모두 156편의 시가 실리고,

겸재 정선의 제자인 임득명의 그림이 1월, 2월, 9월, 10월의 시 앞에 실려 있다.

 

 

인왕산 10경을 선정하고 그림 그려 즐기다

 

이들은 참석자 숫자만큼 수계첩을 만들어서 나누어 가졌는데,

1786년 7월16일의 수계첩은

당시 가장 연장자였던 최창규의 소장본이 삼성출판박물관에 남아 있으며,

1791년 유두(流頭)의 ‘옥계아집첩’은 김의현의 소장본이 한독의약박물관에 남아 있다.

갑자년(1804) 명단에 세상을 떠난 선배들 이름이 보이지 않더니,

무인년(1818) 수계첩에는 송석원 주인 천수경의 이름마저 명단에 보이지 않는다.

 

영국 대영도서관에 소장된 무인년 수계첩에는

득명이 그린 '옥계십경(玉溪十景)'이 실려 있다.

경치가 아름답다는 것은 주관적인 평가인데,

아름다운 경치의 숫자를 정해놓고 하나하나 의미를 찾아내는 예술적 작업이

바로 팔경(八景), 또는 십경(十景)의 선정이다.

 

팔경이나 십경 앞에서 시인들은 시를 짓고, 화가는 그림을 그렸다.

그런데 이 경치에는 공간뿐만 아니라 시간까지 포함된다.

 

‘아름다운 나무의 무성한 그늘(嘉木繁陰)’은 한여름의 인왕산 모습이고,

‘깊은 눈속의 이웃집(數隣深雪)’은 겨울의 인왕산 모습이다.

인왕산은 하나이지만, 철따라 다르게 다가온다.

 

옥계 외나무다리를 건너 이웃 친구를 찾아가는 시인의 모습에서

인왕산의 문기(文氣)를 엿볼 수 있다.

- 허경진 연세대 국문과 교수

- 2007-12-17, 서울신문
 
 
 
 

 

 

조선 평민 시동인지 첫 발견 ....

<옥계사(玉溪社)> 13명 작품 156편 그림 곁들여

 

 

조선후기 평민 시동인 모임의 동인 시집이 처음으로 발견됐다.

삼성출판박물관에서 소장 자료 분류 중 발견된 시집은

시사(詩社, 시동인)인 <옥계사(玉溪社)> 동인 13명이

매월 한편씩 지은 시 156편을 모은 수계첩.

 

제목을 시사 이름인 <옥계사>로 붙였으며,

최창규 천수경 등 회원의 이름과 제작 연대(1786년 10월) 소장자 이름은 물론

모임의 형태, 정관조직 운영 등이 자세히 밝혀져 있다.

수계첩에는

이외에도 겸재 정선의 제자인 동인 임득명이 그린 4장의 그림까지 수록되어 있어

그들이 시를 지으며 노는 모습을 짐작할 수 있게 해준다.

 

1월. 한길에 나가 달구경하며 다리밟기 (街橋步月, 가교보월)

2월. 높은 산에 올라가 꽃구경하기 (登高賞華, 등고상화)

6월. 시냇가에서 갓끈 씻기 (臨流濯纓, 임류탁영)

8월. 국화 핀 뜨락의 단란한 모임 (菊園團會, 국원단회)

 

 

지금까지 평민문학 관련자료는 <소대풍요(昭代風謠)>, <풍요속선> 등 시선집이 나오기는 했지만, 이번처럼 평민시사의 1차 자료는 처음 발견된 것이다.

 

목원대 허경진 교수(국문학과)는 "평민문학은 조선 후기 활발한 활동을 보이면서 구실을 담당했지만, 사대부와는 달리 신분상의 제약으로 제대로 된 자료가 발견되지 않았다."면서 "이번 옥계사 발견으로 평민문학에 대한 연구가 한층 가속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수계첩에 따르면 옥계사는 1786년 서울 인왕산 기슭에 있는 옥류동(지금의 옥인동)에서 평소 문학으로 교유를 맺고 있던 평민끼리 보다 조직적인 문학모임을 만들자는 취지에서 발족했다는 것.

이를 기념하여 동인들이 각각 쓴 서문에는 자신들의 모임을 도연명의 '백련사(白蓮社)'와 왕희지의 '난정수계(蘭亭修)'의 맥을 이어받은 것으로 규정하면서 "우리의 계는 세상 사람들의 契)와는 다르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 1991년 8월, 조선일보 외 일간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