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05.23.536호 (p 88~90) |
|
[조광조와 ‘小學’] |
도덕주의자, 이상 꿈꾸다 현실에 통곡하다 |
서적 보급 통한 ‘인간의 도덕화’ 주창 … 공신들 미움 사 순식간에 몰락 |
성종의 아들 연산군이 황음무도(荒淫無道)한 왕이 된 이유는 생모를 잃은 불행한 개인사와 그의 성품도 작용했겠지만, 한편으로는 문화 창조의 열정이 잦아드는 시대에 태어났기 때문이기도 하다.
모든 거룩한 사업은 세종, 세조, 성종을 거치며 마감돼 연산군에 이르러서는 마땅히 추진할 만한 문화사업이 없었던 것이다.
연산군의 황음무도는 할 일 없는 시대 때문에 일어난 것인지도 모를 일이다. 그래도 그가 양반들의 이익을 침범하지 않았더라면 황음무도는 기록에 남지 않았을 것이고, 그는 쫓겨나지도 않았을 것이다.
반정(反正)을 주도한 공신 역시 도덕적 집단은 아니었다. 그들 또한 부패로 말하자면 연산군과 다를 바 없었다. 그래서 무언가 참신한 분위기를 조성할 필요가 있었다. 반정세력은 깨끗한 이미지가 있는 집단을 불러냈는데, 이들이 바로 ‘사림(士林)’이다.
사림은 권력의 단맛에 취한 서울 양반들이 아니라, 성리학에 의식화된 지방의 선비들이었다. 사림은 성종 때부터 지방에서 중앙으로 진출했지만, 연산군 시대에 무오사화, 갑자사화를 거치며 패퇴를 거듭하던 중이었다. 반정세력의 요구에 따라 그들은 도덕적 상징이 되어 정계에 복귀했다. 그들이 주도한 개혁의 내용은 무엇이었던가.
반정세력에 의해 정계 진출 후 초고속 승진
모든 인간의 도덕화! 이것이 사림 개혁의 골자였다. 사림이 꿈꾸던 이상사회는 모든 개인이 도덕적 인간이 되는 것이었다. 도덕적 개인이 집합을 이룬 사회! 황홀하지 않은가.
사림은 개인의 대뇌에 도덕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그 프로그램에 의해 신체가 저절로 작동하는 상태를 바랐던 것이다. 당연히 구체적인 방법이 모색됐다.
그 방법이란 성리학에 근거한 도덕 교과서를 인쇄하고 배포하는 일이었다. 사림들은 기묘년(중종 14년, 1519) 정계에서 축출되기 전까지 ‘생산량을 늘리자, 부를 균등히 하자’는 식의 삶의 물질적 조건을 개선하는 정책은 단 한 가지도 추진하지 않았다. 오로지 도덕책을 찍어 전국에 배포하는 일을 했을 뿐이다.
중종 초기에 국가가 발행한 도덕 교과서는 다양했다. 국역본 ‘삼강행실도’를 엄청나게 찍었고, ‘삼강’에 ‘이륜’을 더한 ‘이륜행실도’를 새로 편집했다. 또한 향촌사회를 교화하기 위한 ‘정속편’과 ‘여씨향약’, 그리고 여성들을 의식화하기 위한 ‘열녀전(列女傳)’ ‘여계(女誡)’ ‘여측(女則)’ 등을 저술하거나 편집해 보급했다. 그런데 이 모든 도덕책은 ‘소학(小學)’에 근원을 두고 있었다.
사림들이 보급하고자 가장 노력했던 책이 바로 ‘소학’이었던 것이다. ‘소학’은 ‘대학’과 짝을 이룬다. ‘대학’은 ‘예기(禮記)’의 한 부분이었다. 주자(朱子)가 ‘예기’에서 떼내어 경전으로 격상시킨 ‘대학’은, 개인의 인격 수양에서 천하 경영의 정치학에 이르는 과정을 압축하고 있다. 하지만 ‘대학’은 총론이다. 일상적 차원에서 유가의 도덕적 원리들은 어떻게 실천돼야 할 것인가. 즉 일상의 국면에서 유가의 도덕적 원리에 합하는 구체적 행위란 어떤 것인가? 주자는 여러 고전을 인용해 ‘소학’을 엮음으로써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제시했다.
‘소학’은 인간의 일생과 일상을 포괄하면서도 아주 구체적인 행위의 사례, 즉 출생에서 죽을 때까지, 하루의 시작에서 끝까지를 구성하는 미세한 구체적 행위에 대한 명령이다. 세수할 때, 식사할 때, 홀로 있을 때, 부모를 대할 때 등등으로 말이다.
- 주간동아 - 강명관 부산대 교수, 한문학 hkmk@pusan.ac.kr
|
'지켜(연재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선의 인물, 조선의 책] 3. 타고난 독서가 세종 (0) | 2008.07.07 |
---|---|
[조선의 인물, 조선의 책] 4. 세종과 금속활자 (0) | 2008.07.07 |
[조선의 인물, 조선의 책] 6. 퇴계 이황과 '朱子大全' (0) | 2008.07.07 |
[조선의 인물, 조선의 책] 7. 율곡 이이의 독서예찬 (0) | 2008.07.07 |
[조선의 인물, 조선의 책] 8. 미암 유희춘의 책 모으기 上 (0) | 2008.07.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