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주짱의 하늘꿈 역사방

지켜(연재자료)

[조선후기 신지식인 한양의 中人들] 장혼 - 송석원시사의 인재

Gijuzzang Dream 2008. 3. 17. 20:19

 

 

 (3) 송석원시사의 인재, 장혼  

 
위항시인들이 주관하는 백일장인 백전(白戰)에
수백명이나 참석할 수 있었던 까닭은
송석원시사의 중심인물이었던 천수경이나 장혼이
한양 인왕산에서 커다란 서당을 운영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위항시인 이경민이 편찬한 위항인들의 전기집 ‘희조질사(熙朝 事)’의 천수경편에 의하면
“한달에 60전을 내게 하니… (줄임) ... 배우는 아이가 많게는 300명이나 되었다.”
고 한다.
“(제자 가운데) 나은 자가 못한 자를 가르쳤다.”고 했으니,
조를 나누어 가르칠 정도로 체계를 갖춘 기업형 서당이었음을 알 수 있다.
 
장혼의 서당에도 아들과 손자 또래의 제자들이 모여 글을 배웠다.
 

19세기 서당의 모습.

훈장에게 매맞고 우는 아이를 친구가 왼쪽에서 위로해주고 있다.

러시아 장교들의 여행기 ‘내가 본 조선, 조선인’수록.
(가야넷,2003. 정성길 소장자료)

 

 

교정 보고 책 만드는 일로 반평생을 보낸 장혼

 

장혼(張混 · 1759∼1828)의 아버지 장우벽(張友壁)은 날마다 인왕산에 올라가 노래를 불렀다.

사람들이 그가 노래 부르는 곳을 가대(歌臺)라고 불렀다.

장우벽 자신은 글을 웬만큼 알았지만, 총명한 아들 장혼을 서당에 보내지 않았다.

문장을 잘 지어도 쓸 데가 없는데다, 오히려 중인 신분의 한계를 탄식하며

처절하게 세상을 살아갈 것이 두려웠기 때문이다.

그래서 장혼의 어머니 곽씨가 집에서 글과 역사를 가르쳤다.

아버지는 떠돌아다니며 노래를 불러 가난한 집안 살림은 장혼이 도왔다.

여섯살 때에 개에 물려 오른쪽 다리를 절었지만, 나무하고 물 긷는 일을 도맡아 했다.

 

학문을 좋아하던 정조가 1790년에 옛 홍문관 터에 감인소(監印所)를 설치하고

여러가지 책들을 인쇄하여 반포하려고 하자, 오재순이 장혼을 사준(司準)에 추천하였다.

교정 보는 일을 맡은 사준은 정9품 잡직이었는데, 기술직 중인들이 맡는 말단 벼슬이었다.

 

그는 “원고와 다른 글자를 살피고 잘못된 것을 바로잡는 솜씨가 마치 대나무를 쪼개는 것 같았다.

규장각의 여러 고관들 가운데 칭찬하지 않는 이가 없어 모두 그에게 일을 맡겼다.”고 한다.

 

책 한 권을 다 만들면 의례 품계를 올려주는 법인데, 그는 번번이 받지 않고 사양하였다.

장혼이 목활자로 만든 서당교과서 몽유편.

“적은 봉급은 어버이를 모시기 위해 받지만, 영예로운 승진은 제가 욕심내는 것이 아닙니다.”라고 이유를 밝혀, 정조가 봉급을 더 많이 주었다.

 

모친상을 당한 3년을 빼고는 1816년까지 줄곧 사준으로 일하며, 사서삼경을 비롯해 ‘이충무공전서’ ‘규장전운(奎章全韻)’ 등의 책들을 간행하였다.

정조의 문집인 ‘홍재전서(弘齋全書)’도 장혼이 교정을 보았다.

 

장혼이 교정을 잘 본다고 소문이 나자 궁중뿐만 아니라 민간에서도 그에게 교정을 부탁하였다.

금속활자를 만들려면 워낙 비용이 많이 들어 민간에서는 대개 목판으로 인쇄했는데, 재산이 넉넉하고 인쇄할 책이 많은 집안에서는 개인적으로 활자를 만들기 시작했다.

자기 문중의 책을 다 찍은 다음에는 그 활자를 남에게 빌려주며 돈을 받기 때문에 처음에 많은 자본을 들이면 어느 정도 상업성도 있었다.

 

돈암(敦岩) 박종경(朴宗慶 · 1765∼1817)은 누이가 순조의 생모 수빈 김씨였다.

순조가 즉위하고 정순왕후가 수렴청정을 하면서 지극한 총애를 입어 호조판서에 오르고 훈련도감을 맡았다.

 

그는 가통을 세우기 위해 5대 이하의 유고를 모아

‘반남박씨 오세유고(潘南朴氏五世遺稿)’를 편집했으며, 1816년에 정교한 금속활자를 직접 만들어 세고와 함께 아버지의 문집 ‘금석집(錦石集)’을 인쇄하였다.

 

청나라 취진판(聚珍版) 전사(全史, 二十一史)의 글자를 자본으로

인서체(印書體) 동활자 20만자를 주조한 것이다.

박종경이 개인적으로 만든 활자를 전사자(全史字),

또는 그의 호를 따서 돈암인서체활자(敦岩印書體活字)라고 한다.

그가 세상을 떠난 뒤에는 주변에 빌려줘 여러 종류의 책이 만들어졌다.

박종경의 활자로 인쇄한 초기 십여 종의 책은 대부분 장혼이 교정하였다.

 

 

목활자 만들어 서당 교재를 인쇄

 

인왕산 서당에서 아이들을 가르치던 장혼은 ‘천자문’ 말고도 여러가지 교과서의 필요성을 느꼈다.

자기 서당에 찾아오는 아이들을 효과적으로 가르치기 위해서도 그렇지만,

직접 찾아와 배우지 못하는 아이들을 가르치기 위해서도 좋은 교과서가 필요했다.

 

중국의 역사와 인물 위주로 만들어진 ‘천자문’이 좋지 않은 교과서라는 점에 대해서는

다산 정약용을 비롯해 많은 학자들이 이미 비판해, 나름대로 대안 교과서를 만들고 있었다.

 

장혼이 처음 만든 교과서는 ‘아희원람(兒戱原覽)’이다.

제목 그대로 아이들이 보아야 할 내용을 가려뽑은 책이다.

 

정리자체 철활자를 빌려 1803년에 인쇄하였다.

그런데 남의 활자를 빌려오려면 비용이 많이 들고 불편했다.

그래서 인쇄 전문가였던 장혼은 스스로 필서체(筆書體) 목활자를 만들었다.

웬만한 책을 만들려면 금속활자를 10만개 넘게 주조해야 했는데,

장혼의 재산으로는 불가능했기 때문에 나무로 활자를 만들었던 것이다.

 

윤병태 교수(전 충남대문헌정보 · 작고)는 이 목활자에 대해 이렇게 설명한다.

 

“장혼이 만든 목활자는 폭 12mm 내외, 높이 8mm 내외의

비교적 폭이 넓은 납작한 평면을 가진 활자로 보인다. 그 자체(字體)는 필서체로 되어 있으며,

다른 관주활자(官鑄活字)에 비해 약간 작은 아름다운 글씨체로 보인다.

활자의 자본(字本)을 누가 썼는지에 대해서는 아무런 기록도 보이지 않으나,

김두종은 초예(草隸)에 능한 장혼의 의장(意匠)으로 보인다고 하였다.”

 

 

장혼이 처음 목활자로 인쇄한 교과서는

‘몽유편(蒙喩篇)’과 ‘근취편(近取篇)’ ‘당률집영(唐律集英)’ 세권이다.

모두 “경오활인(庚午活印)”이라는 인기(印記)가 있다.

경오는 1810년이니 그가 송석원시사의 중심인물로 활동하던 시기이다.

 

목활자는 금속활자보다 빨리 닳아서 찍을수록 글씨가 뭉툭해지는 단점이 있는데,

1810년에 인쇄된 책들은 글자체가 비교적 정교하다.

장혼이 만든 목활자는 크기가 작지만 만든 솜씨가 정교하면서도 글자 모양이 예뻐서,

이 활자로 찍은 책들은 금속활자본과 달리 부드러운 맛이 있다.

 

장혼이 직접 짓거나 편집한 책은

위항시인 333명의 시 723수를 천수경과 함께 편집한 ‘풍요속선(風謠續選)’에서부터

우리나라 역사를 요약한 ‘동사촬요(東史撮要)’까지 24종이다.

그는 자신의 책만 인쇄한 것이 아니라

1816∼1818년 위항시인들의 책 5종을 자신의 목활자로 인쇄해 주었다.

 

그가 세상을 떠난 뒤에는 최성환이 이 활자를 인수해서 장혼의 제자나 후배 문집 5종을 인쇄했다.

그의 문집인 14권 분량의 ‘이이엄집(而已集)’은 끝내 간행되지 못해 필사본으로 남아 있다.

그가 편집 인쇄한 책들을 통해 위항문화가 널리 퍼졌으며,

그의 서당 제자들이 금서사(錦西社)와 비연시사(斐然詩社)로 인왕산 시사의 대를 이었다.

 

 

■ 아희원람(兒戱原覽) 이란

 

‘아희원람(兒戱原覽)’은

고금의 사문(事文) 가운데 아이들이 찾아보아야 할 내용을 열가지 주제로 가려뽑은 책이다.

 

1803년에 제작된 본에는 동국(東國) · 수휘(數彙) · 보유(補遺)가 더 실렸다.

 

몽유편(蒙喩篇)은 낱글자로 배웠던 천자문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만든 어휘집이다.

상권에는 신형(身形) · 연기(年紀) · 칭호(稱號) · 위분(位分) · 명물(名物)의 기본어휘 1049개에

동의어나 유사어가 붙어 있다. 우리말 어휘도 383개나 실렸다.

 

하권은 인명록인데 덕행(德行)부터 이단(異端)까지 일곱 부류 1 441명의 이름을 실었다.

 

근취편(近取篇)도 어휘집인데 13장까지는 네글자로 된 속담과 고사숙어 1046개,

그 다음에는 세글자로 된 고사숙어 98개, 그 다음에는 두글자로 된 숙어 192개를 실었다.

 

아희원람은 윤병태 교수가 확인한 판본만도 7종이나 될 정도로 자주 인쇄돼 널리 읽혔다.

- 허경진 연세대 국문과 교수

- 서울신문, 2007-0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