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2009년 새해 첫 원고를 어디서 써야 타당할 것인가. 나는 한 해의 물러섬과 나아감의 한복판에 서 있는 광화문으로 나갔다. 아마도 그곳에 이 한반도의 곳곳으로 뻗어나가는 도로원표가 있기 때문일 것이다. 1914년에 처음 세워진 도로원표를 따라서 속초와 울진과 마산과 여수와 군산과 대천의 아득한 거리가 수백km의 숫자로 환원되어 지금 서 있는 곳의 중력이 만만치 않음을 느끼게 된다.
세종로 네거리에 서서 북으로 광화문 너머 북악산을 멀리 보고 남으로 태평로 따라 숭례문으로 뻗은 길의 희끄무레한 빌딩을 바라보는 것, 동으로 혼잡한 차량의 행렬을 쫓아 종로 저 멀리 확장되는 공간을 보고 서쪽으로 이 대도시의 거역할 수 없는 운명을 말하려는 듯한 흥국생명 앞의 거대한 ‘해머링 맨’을 바라보는 것. 그렇게 사위를 한번 둘러보는 것만으로도 광화문 앞, 세종로 네거리의 상징성, 역사성이 느껴진다.
광화문 하고 말해보았을 때, 이 단어는 순식간에 우리를 파란만장한 역사의 현장으로 이동시킨다. 600년 조선 역사는 그렇다 치더라도 현대사 100여 년이 이 광화문 앞에서 벌어졌다. 지금의 중장년층에게는 세종로 네거리가 더욱 각별하다. 국제극장 간판이 당당하게 서 있던 것을 시작으로 그 동서남북의 거리와 골목에서 작고 작은 한 개인의 생애가 얼마나 거룩하게 형성되었던가. 당주동 무교동 정동 서린동 수송동 청진동의 실핏줄 같은 거리와 골목은, 그리고 그 공간들의 대대적인 변화 양상은 오늘의 중장년층이 겪어낸 20세기 후반의 격동을 일그러진 형태로 보여준다.
소설가들에게 광화문과 세종로 네거리는 단단하게 굳어진 이미지의 피부를 벗겨내고 싶은 대상이 된다. 수백 년 역사의 소용돌이를 견뎌낸 네거리의 어제와 오늘, 그 구릿빛 역사의 껍질을 소설가들은 벗겨보고 싶은 것이다.
- 주간동아, 2008.01.13. 669호(p70~72) - 정윤수의 인문기행 |
|
'찾아 떠나고(답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人文기행 - 속초 (0) | 2009.01.02 |
---|---|
人文기행 - 정동진(正東津) (0) | 2009.01.02 |
人文기행 - 옥천(沃川) (0) | 2009.01.02 |
人文기행 - 성당의 종소리 (0) | 2009.01.02 |
人文기행 - 도심의 거리 (0) | 2009.0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