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초기 - 세종대왕 | ||||||||
- 서예 그 이상의 한글창조 ‘진정한 書聖’ - 그도 그럴 것이 역사에서 아무도 당신을 서예가로 부르지 않았던 것이다. 변명을 하자면 남아 있는 육필이 없으니 부르고 싶어도 부를 수가 없었다. 그러면 서예가 뭐고 또 서예가는 누구인가. 다시 생각해 보지 않을 수 없었다. 그는 소전(小篆)을 만들어 문자를 통일했고, 동진 때 왕희지는 문자의 전형을 확립하여 서성(書聖)으로 추앙받았다. 그래서 그들의 글씨는 법(法)이 되었다. 왕법(王法)의 재해석을 통해 삼국시대 이래 고박한 우리 글씨문화를 일신시킨 통일신라 김생 또한 마찬가지 존재였다. 모두 명필이자 그 글씨는 서예역사의 분기나 갈래를 결정짓고 있다. 음악으로 치면 베토벤과 같이 명연주가 일 뿐 아니라 새로운 곡을 만든 악성(樂聖) 같은 존재 아닌가.
전하의 훈민정음(訓民正音, 그림 1), 즉 한글은 무(無)에서 유(有)를 만든 것이자 그 자체가 삼라만상을 녹여낸 한 세트의 조형의 보고다. 이것은 서예사적 맥락에서만 보아도 한자 일변도 서예가 한글과 한자로 갈라지는 분수령이다. 이미 있었던 대전(大篆)을 소전으로 통일한 것이나 기존의 해서나 행초를 만고의 법으로 만든 것보다 분명 차원이 다른 일이다. 그래서 전하를 서예가라고 할 수 없다면 몰라도 정작 이전에 없었던 문자를 만들어 법 그 이상을 세운 사람을 서예가로 못 모시니 이런 역설이 또 있을까.
‘씀’ 그 자체에만 매몰된 한심한 세상인심에 위로가 될까 싶어 손가락 가는 대로 고명하신 서예가 몇 분에게 전화를 걸었다. “선생님, 세종대왕이 서예갑니까?” 이 더운 데 웬 정신나간 질문을 다 하느냐는 투였다. 전하께서 만든 문자는 기본적으로 서예가가 아니면 애초 만들 수 없다는 사실이었다.
훈민정음 해례 ‘제자해(制字解)’를 펼쳐보았다. ‘|는 혀가 오그라지지 않고 소리가 얕으니 사람이 인(寅)에서 나는 소리라 (|舌不縮而聲淺 人生於寅也)’ 하고, ‘모양이 선 것은 사람을 본뜬 것이라 (形之立 象乎人也)’ 하였다(그림 2). 둥근 하늘을 본뜬 ‘ · ’자도, 평평한 땅의 형상을 디자인한 ‘―’자도 마찬가지 원리였다. 새삼 알고 보니 훈민정음의 자모음 기본 8자가 모두 완전히 상형(象形) 아닌가. ‘글씨는 자연에서 비롯되었다(書肇自然)’는 후한 채옹(蔡邕)의 말도 바로 이를 두고 한 것이었다. ‘전하께서 정음 28자를 창제하시고(殿下創制正音二十八字)… 형상을 본떴으되 글자 모양은 옛 전서체이다(象形而字倣古篆)’라고 일러주었다. 균일한 점획과 간가결구로 보면 전서 중에서도 소전류임이 분명했다. 전하는 서예가 이전에 디자이너이기도 하였던 것이다. 서론과 서예사를 응용하여 이렇게 완벽한 문자를 만든 사람은 이전에도 이후에도 없었지 않은가. ‘하늘과 땅의 이치는 하나의 음양(陰陽)과 오행(五行)뿐이다(天地之道 一陰陽五行而已)… 고로 사람의 목소리도 다 음양의 이치가 있건마는 도리어 사람이 살피지 못할 뿐이다 (故人之聲音 皆有陰陽之理 顧人不察耳)… 정음 지으신 것도 다만 그 목소리에 따라 그 이치를 다하였을 뿐이다(但因其聲音而極其理而已).’ 목소리에 따라 그 해당 발음기관을 음양원리로 그려낸 것이 바로 한글이었음을 다시 일러주었다. 요컨대 한글의 제자(制字)나 구조(構造)의 원리가 다 역리(易理)이고 그 자체가 또 서예였던 것이다.
사실 세계문자사를 차치하고 우리 서예사 맥락에서만 봐도 1446년은 천지가 개벽한 때이다. 비로소 한자와 한글 서예가 분리 · 공존 · 혼융되면서 우리 서예문화를 새롭게 쓸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되었기 때문이다. 한글은 창제 때 고체(古體)의 근엄함은 16~17세기 과도기(그림 3)를 거쳐 19세기를 전후하여 소위 ‘궁체(宮體)’(그림 4)로 아름답게 변화하였음이 이를 증명한다. 그러나 그 과정에서 한자 위주가 된 것은 부인할 수 없다. 조선의 한글서예가 궁궐에서 태어나고 자랐지만 그 속에서 안주해왔다는 것이다. 또 근현대에 들어와서는 순도 100%를 지향하는 한글전용의 온실에서 재배돼왔고, 그 방법 또한 남의 생각을 기법적으로 전달하는 데 골몰했기 때문이다. 그러면 지금 어떻게 할 것인가. 다시 전하에게 여쭈어볼 도리밖에 없지만 이미 당신께서 한글을 만든 뜻은 나라 말이 중국과 달라 문자로는 통하지 않는 어린 백성을 위할 ‘뿐’이라고 하였다. 내심은 조선의 주체성을 세우는 고도의 작업이었다. 그 방법 또한 역리(易理)와 자방고전(字倣古篆)이라는 정음의 제자나 구조원리가 말해주듯 정체성(正體性)의 끈을 놓지 말되 모든 것에 열려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것이 오늘 덮어놓고 ‘씀’에만 골몰하고 있는 우리에게 주는 전하의 진정한 메시지인 것이다. 500여 년 한글서예 역사와 과제
우리나라는 처음 말과 글이 달라 뜻글자인 한자(漢字)를 사용해왔다. 하지만 1446년 세종대왕이 언문일치(言文一致)의 한글을 만들어 내면서 우리말을 완전하게 기록하게 되었다. 한글이나 송설체 주인공은 모두 문종이나 안평대군 등 왕실 인사를 비롯한 집현전 학사들이다. 이 사실은 바로 훈민정음(그림 1·2)에서 한글과 공존하고 있는 한자에서 증명된다. 전 · 예서에서 초서 또는 남북조 시대 해서를 거쳐 당나라 해서로 완성되는 과정과 흡사하다. 글자 중심도 창제 당시 조선 초기(15세기)에는 그 중심에 배열되었다. 그러나 후기(18 · 19세기)는 균제미가 뛰어난 궁체에서는 우측으로 이동되어 있다.
하지만 중기(16 · 17세기) 과도기의 한글의 짜임새는 글자의 중심이 한가운데 있을 뿐 아니라, 자유롭게 정방형 구조를 출입하고 있다는 점에서 궁체와 다르고, 한자 한글의 필법 구분 또한 따로 있는 것이 아님을 알 수 있다. 지필묵이 현실 문자생활에서 사라지고 한글 전용이 가속화되면서 도구나 문자 환경이 디지털로 급격하게 변화해가는 것이 그것이다. 여하히 혼융되고 변신해 나갈 수 있는가가 그 과제라고 할 수 있다.
|
'지켜(연재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예가 열전] 고려중기 - 탄연 (0) | 2008.08.24 |
---|---|
[서예가 열전] 고려후기 - 이암 (0) | 2008.08.24 |
[서예가 열전] 조선초기 - 안평대군 (0) | 2008.08.24 |
[서예가 열전] 조선후기 - 창암 이삼만 (0) | 2008.08.24 |
고고학자 조유전과 떠나는 한국사 - 사천왕사를 지은 까닭 (0) | 2008.08.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