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주짱의 하늘꿈 역사방

지켜(연재자료)

[조선후기 신지식인 한양의 中人들] 허임 - 침술의 대가

Gijuzzang Dream 2008. 3. 17. 20:09

 

 

 (38) 침술의 대가 허임  

의원은 전형적인 중인의 직업이지만, 모두 중인은 아니다.
중인이 형성되기 전인 조선 전기에는 물론 선비들이 의원 활동을 했으며,
중인층이 형성된 조선 중기 이후에도 선비 출신의 의원이 많았다.
이들을 유의(儒醫)라고 하였다.
 
‘동의보감’을 저술한 허준도 서얼이긴 하지만 양반 출신이다.
그랬기에 그의 아들이 대를 이어 의원으로 나서지는 않았다.
허준과 함께 선조의 주치의였던 허임은 관노의 아들인데 의원이 되었으며,
그의 아들은 의원으로 대를 잇지 않았다. 그랬기에 그의 집안은 중인층으로 정착되지 못했지만,
그의 대표적인 제자 최유태와 오정화의 집안을 통해 그의 의술이 전승되었다.
 

 

 

관노 허억봉과 여종 사이에 태어난 허임

 

허임이 선조나 광해군의 신임을 받아 승진할 때에도 끝내 따라다닌 꼬리표가

관노의 아들이라는 점이다.

 

1617년 2월12일에 광해군이 허임을 영평현령에서 양주목사로 승진시키자

사헌부에서 “허임의 아비는 관노이고 어미는 사비(私婢)이니,

비천한 자 가운데 더욱 비천한 자입니다.”라고 출생 신분을 들고나와 반대하였다.

 

18일부터 26일까지 계속 반대하자, 광해군도 결국 지쳐서

3월9일에 부평부사로 내보내는 형식으로 타협했다.

자신의 목숨을 구해준 은인이지만, 관노와 여종 사이에 태어난 천민을

서울 인근의 목사(정3품)로 내보낼 수는 없었던 것이다.

 

강원도 양양의 관노였던 허억봉은 어린 나이에 장악원 악공으로 뽑혀 서울에 올라왔다.

악생은 양민이지만, 악공은 천민이었다.

장악원 첨정 안상이 ‘금합자보(琴合字譜)’를 만들었는데, 허억봉의 연주를 바탕으로 한 것이다.

이 악보는 목판본으로 간행된 악보 가운데 가장 오래된 것이라 보물 제283호로 지정되었는데,

안상은 서문에 이렇게 썼다.

 

“내가 가정 신유년(1561)에 장악원 첨정이 되었는데,

악공을 시험할 때에 쓰는 악보와 책을 보니 문제가 있었다.

예전의 합자보(合字譜)를 버리고 다만 거문고와 상하 괘(卦)의 차례만 있으며,

손가락을 쓰는 법과 술대를 쓰는 법은 없으니, 거문고를 처음 배우는 자들이 쉽게 알 수가 없었다.

그래서 악사 홍선종을 시켜 당시의 곡조를 모으고 약간의 악보를 보태어,

합자보를 고쳐 내게 하였다. 또 허억봉에게 적보(笛譜)를 만들게 하고,

이무금에게 장구보를 만들게 하여 그 가사와 육보(肉譜)를 함께 기록했다.

홍선종은 기보법(記譜法)에 통달하였고,

허억봉과 이무금은 젓대와 장구로 세상에 이름을 떨친 자들이다.”

 

이달의 시에는 그가 악사(樂師)로 소개되고, 서성의 시에는 전악(典樂)으로 소개된다.

관노 출신이었지만 장악원 연주자 사이에 솜씨를 인정받아 연주 책임자까지 승진한 것이다.

그의 아우 허롱도 악사였다.

 

허씨대종회 허장렬 부회장은 “허조(許稠)가 좌의정으로 있던 세종 때까지는 하양 허씨가

떳떳한 양반이었는데, 아들 허후와 손자 허조가 수양대군의 왕위찬탈을 반대하다가 죽고

자손들은 관노가 되어 충청북도 괴산군에 배속되었다.”고 고증했다. 그

래서 허임의 선조 묘소가 괴산에 있게 된 것이다.

 

관노가 된 허임이 좌의정 김귀영의 계집종과 부부가 된 사연은 기록에 남아 있지 않은데,

허임기념사업회 손중양 이사는 이렇게 추측하였다.

허임이 태어났다고 추정된 1570년 직전에 김귀영이 예조판서가 되었다.

‘금합자보’를 만드는 과정에서 장악원의 대표적인 연주자로 인정받은 허억봉은

당연히 김귀영의 집에 자주 부름받았을 것이고,

그러한 과정에서 계집종 박씨와 눈이 맞았을 것이다.

아버지가 관노인데다 어머니도 여종이었으면 허임은 당연히 종이 되었어야 하는데,

허임을 비난하는 글에도 그가 종이었다는 기록은 없다.

아버지가 전악까지 오르면서 제도에 따라 면천되고, 허임도 천인의 신분을 벗어난 것이다.

 

 

어머니를 고쳐준 의원에게 품을 팔며 침술 배워

 

어머니 박씨가 병에 걸렸는데, 집이 가난해 의원을 불러다 치료할 수가 없었다.

의원이 진맥해서 처방을 내주어도 약재가 비싸기 때문에,

서민들은 몇 차례 침만 맞고도 고칠 수 있는 침술을 더 좋아했다.

그런데 허임의 집안은 너무 가난해서 침 놓은 수고비조차 갚을 수가 없었다.

그래서 침 놓아준 의원의 집에 가서 잡일을 도와주는 것으로 치료비를 대신했다.

그런 과정에서 눈썰미가 있던 허임이 침구법을 배운 것이다.

 

신통한 침술로 이름을 날렸던 그는 75세 때에 자신의 평생 경험을 집대성하여

‘침구경험방’이란 책을 냈는데, 그 머리말에서 자기가 침술을 배운 과정을 이렇게 기록했다.

 

“명민하지 못한 내가 어려서 부모의 병 때문에 의원의 집에서 일한 적이 있는데,

오랫동안 공들여 어렴풋이나마 의술에 눈을 떴다.”

‘의가(醫家)’라고만 표현했는데, 앞뒤 문맥을 보면 침의였던 듯하다.

 

전의감이나 혜민서에서 의학생도로 정식 공부를 하지 못했지만,

그는 스무살이 갓 넘자마자 현장에 나가 침술을 베풀었다.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광해군을 따라 황해도, 충청도 등지를 돌아다니게 된 것이다.

이때부터 광해군의 신임을 받기 시작했다.

1595년에는 종6품 의학교수가 되었으니, 체계적으로 의술을 배우지 않은 그로서는

상당히 빠르게 승진한 것이다.

 

의원은 크게 약을 쓰는 약의(藥醫)와 침을 쓰는 침의로 나뉘어지는데,

약의는 의과에 합격해야 했고, 침의는 민간 출신도 많았다.

약의를 침의보다 높게 여기긴 했지만, 병에 따라 약의와 침의의 역할이 달랐으며,

약재가 넉넉지 않은 전쟁 중에는 침의의 할 일이 많았다.

허임을 치종교수(治腫敎授)라고도 표기했으니, 외과적인 치료도 겸했음을 알 수 있다.

 

선조 말년에 병이 깊어지자 여러 의원들이 자주 입시하여 치료했는데,

실록에는 허준과 허임의 이름이 번갈아 나온다.

특히 1604년 9월23일 한밤중에 편두통을 일으키자

선조가 허준에게 “침을 놓는 것이 어떻겠는가?” 물었다.

허준이 “침의들은 항상 ‘반드시 침을 놓아 열기를 해소시켜야 통증이 줄어든다.’고 말합니다.

소신은 침 놓는 법을 알지 못합니다만, 그들의 말이 이러하기 때문에 아룁니다.

허임도 평소에 ‘경맥을 이끌어낸 뒤에 아시혈에 침을 놓을 수 있다.’고 했는데,

이 말이 일리가 있습니다.”

 

선조가 병풍을 치게 하고, 허임에게 침을 놓게 했다.

50대의 허준이 30대의 허임의 침술을 임금 앞에서 인정했는데,

약으로 며칠 끌다가 침을 맞고 완쾌된 선조는 한 달 뒤에 허임을 6품에서 정3품으로 승진시켰다.

 

허임이 현역에서 물러나 공주에 살 때에도 광해군은 그를 왕궁으로 불러 침을 맞았으며,

너무 늙어 말을 탈 수 없게 되자 처방이라도 보내 달라고 하였다.

세상을 떠나기 직전에, 그는 한평생 치료경험을 집대성해 ‘침구경험방’을 지었는데,

내의원 제조 이경석이 발문을 썼다.

 

“태의 허임은 평소 신의 기술을 가진 자로 일컬어져

평생 구하고 살린 사람이 손으로 다 헤아릴 수 없다.

그간 죽어가던 사람도 일으키는 효험을 많이 거두어 명성을 일세에 날렸으니,

침가(針家)들이 추대하여 으뜸으로 삼았다.”

 

18세기 초엽에 조선으로 유학을 온 오사카 출신의 일본 의사 야마카와(山川淳庵)가

‘침구경험방´을 일본에 가지고 가서 1725년 일본에서 간행하였다.

 

 

제자 최유태와 오정화를 통해 침술 전승

 

허임이 공주에 정착하자 후손들이 서울의 중인들과 연결되지 못했지만,

허임의 침술은 제자들을 통해 대대로 전수되었다.

 

‘급유방(及幼方)’이라는 의서에 숙종시대 명의 두 사람을 소개했는데,

이들이 모두 허임의 제자였다. 그 기사는 이렇다.

 

“숙종시대에 태의(太醫) 최유태와 별제(別提) 오정화는 모두 허임에게서 침술을 전수받아

당대에 이름났다. 나는 이 두 사람에게서 그 침술의 연원을 전해들었으므로 자세히 기록하였다.”

 

최유태는 9대 의원으로 이름난 청주 한씨 출신이다.

최귀동부터 계손, 덕은, 준삼, 응원, 유태를 거쳐 만선, 익진, 택증과 택규에 이르기까지 9대가

모두 의원으로 활동했다.

응원은 내침의(內針醫)인데,

23세 되던 1651년 의과에 합격한 작은아들 유태는

아버지의 침술을 전수받지 않고 허임의 침술을 전수받았다.

응원의 맏아들 유후는 1639년 의과에 합격했는데,

그의 후손들도 만상, 익명, 홍훈까지 의원으로 활동했다.

 

오정화의 집안은 11세 오인수까지 문과 합격자를 낸 양반이었지만,

13세 오구가와 14세 오대종이 무과에 합격해 무반이 되었으며,

오대종의 맏아들인 15세 오인량이 역과에 합격하여 역관 가문이 되었다.

둘째아들인 오제량은 무과에 급제해 무반의 전통을 이어받았는데,

그의 아들 오정화(吳鼎和)가 역관의 딸과 결혼했지만 가업을 잇지 않고

허임의 침술을 전수받으면서 그의 후손 가운데 한 계파는 역관으로 이어지고,

한 계파는 의원으로 이어진다.

 

의과에 합격해 활인서 별제(종6품)까지 오른 오정화는

침만 잘 놓은 것이 아니라 약까지 처방을 내려 의약동참의로 이름을 올렸는데,

그의 후손들은 17세 지철, 18세 덕신, 19세 명검, 20세 인풍까지 여러 대에 걸쳐

모두 침술 의원으로 대를 이었다.

 

오정화의 아들 17세 지항부터 24세 경석까지 8대에 걸쳐 역관을 낸 것도 유명한데,

곧, 역관 오경석과 오세창이 그 후손이다.

오경석의 사위 이용백은

대표적인 중인 집안의 족보를 집대성한 ‘성원록’ 편찬자로도 널리 알려졌는데,

그는 이 책의 해주 오씨 항목에서 역관으로 이어지는 17세 지항의 계파를 정통으로 놓고,

의원으로 이어지는 17세 지철의 계파를 왼쪽에 배치하였다.

 

허임의 후손들은 중인으로 자리를 잡지 못했지만,

허임의 침술은 제자 최유태와 오정화를 통해 대대로 전수되면서

중인 침의의 전문성을 더욱 확고히 했다.

- 허경진 연세대 국문과 교수

- 서울신문, 2007-09-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