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듬어보고(전시)

[국립중앙박물관] <145년만의 귀환 - 외규장각 도서> - EBS 역사 기획 특강

Gijuzzang Dream 2011. 7. 15. 16:05

 

 

 

 

 

 

 

수능강의전문사이트인 EBSi(www.ebsi.co.kr)에서의 특강

 

EBS 역사 기획 특강 '145년만의 귀환 - 외규장각 도서'

 

 

1866년 병인양요 당시 프랑스로 유출되었던 외규장도서가

2011년 6월11일 145년만에 프랑스로부터 한국으로 반환돼

7월19일 공개예정인 ‘외규장각도서’의 실체와 반환의 의미를 조명하고

일반인 눈높이에서 외규장각도서를 해설하는 특강입니다.

 

EBS 강사/ 최태성(대광고 교사)선생님이 강의하고...

 

규장각 설치 배경과 기능, 병인양요 당시 프랑스에 약탈된 외규장각도서 규모에 대해 설명하고,

프랑스로부터 반환된 80여점의 의궤에 대한 소개와 사진자료를 볼 수 있으며,

외규장각도서를 발견해 고국에 알린 박병선 박사와의 전화 인터뷰 내용도 공개됩니다.

이와 함께, 조선 시대 기록 문화의 꽃으로 꼽히는 ‘의궤’도 집중 조명하는데,

1759년 영조와 계비 정순왕후의 혼례식 과정을 기록한 <영조정순후가례도감의궤>를

자세히 살펴봅니다. 

또 '어람용(御覽用) 의궤'와 '보관용(分上用) 의궤'와의 차이점을 직접 대조한답니다.

 

 

이 프로그램은

수능강의사이트 EBSi를 통해 선보인 후 이달(7월)중 TV 채널을 통해서도 방송할 예정이라네요.

 

 

 

 

 

 

 <145년만의 귀환/ 외규장각도서>특강 보기

~아래를 클릭하세요~

 

http://www.ebsi.co.kr/ebs/pot/poth/retrieveYKJKList.ebs

 

 

 

 

 

 

 

 

 

[우리 역사도 바로 알고, 수능과 논술도 대비하고! EBS 역사 기획 특강] 145년만의 귀환! 외규장각도서

 
 
             외규장각에 있는 의궤만이 한국에 대여의 형식으로 돌아온 거니까

이제부터 우리가 해야 할 일이 있어요.

국민 모두가 합심하여 힘을 써서 대여가 아닌,

한국에 돌아왔으니까 그것이 영원히 (프랑스로) 되돌아가지 않도록 하는 것이

우리의 의무 아닌가 생각합니다.

동시에 나머지 돌아오지 않은 문화유산도 빠른 시일 내에 돌려받아야지요.

그것이 젊은 사람들이 해야 할 일인 것이예요.

 

저는 바통을 넘겨준 거예요....

 

2011년 7월5일 프랑스에서 박병선 박사

     

     

     

     

     

     

    외규장각도서

     

     

     (1)영조정순후가례도감의궤

    1759년(영조 35) 6월에 영조와 계비 정순황후의 혼례식 과정을 기록한 의궤.

    정비인 정성왕후가 사망한 후 영조가 66세 되던 해에 15세의 신부를 계부로 맞이하였다.

    정순왕후는 경주 김씨로 김한구의 딸이다.

    영조정순후가례도감의궤 하 반차도1

    영조정순후가례도감의궤 下 반차도1

     영조정순후가례도감의궤 하 반차도1

    영조정순후가례도감의궤 下 반차도2

    영조정순후가례도감의궤 하 반차도1

    영조정순후가례도감의궤 下 반차도3

    영조정순후가례도감의궤 하 반차도1

    영조정순후가례도감의궤 下 반차도4

    영조정순후가례도감의궤 하 반차도1

    영조정순후가례도감의궤 下 반차도5

    영조정순후가례도감의궤 하 반차도1

    영조정순후가례도감의궤 下 반차도6

    영조정순후가례도감의궤 하 반차도1

    영조정순후가례도감의궤 下 반차도7

    영조정순후가례도감의궤 하 반차도1

    영조정순후가례도감의궤 下 반차도8

    영조정순후가례도감의궤 하 반차도1

    영조정순후가례도감의궤 下 반차도9

    영조정순후가례도감의궤 하 반차도1

    영조정순후가례도감의궤 下 반차도10

    영조정순후가례도감의궤 하 반차도1

    영조정순후가례도감의궤 下 반차도11

    영조정순후가례도감의궤 하 반차도1

    영조정순후가례도감의궤 下 반차도12

    영조정순후가례도감의궤 하 반차도1

    영조정순후가례도감의궤 下 반차도13

    영조정순후가례도감의궤 하 반차도1

    영조정순후가례도감의궤 下 반차도14

    영조정순후가례도감의궤 하 반차도1

    영조정순후가례도감의궤 下 반차도15

    영조정순후가례도감의궤 하 반차도1

    영조정순후가례도감의궤 下 반차도16

    영조정순후가례도감의궤 하 반차도1

    영조정순후가례도감의궤 下 반차도17

    영조정순후가례도감의궤 하 반차도1

    영조정순후가례도감의궤 下 반차도18

    영조정순후가례도감의궤 하 반차도1

    영조정순후가례도감의궤 下 반차도19

    영조정순후가례도감의궤 하 반차도1

    영조정순후가례도감의궤 下 반차도20

    영조정순후가례도감의궤 하 반차도1

    영조정순후가례도감의궤 下 반차도21

    영조정순후가례도감의궤 하 반차도1

    영조정순후가례도감의궤 下 반차도22

    영조정순후가례도감의궤 하 반차도1

    영조정순후가례도감의궤 下 반차도23

    영조정순후가례도감의궤 하 반차도1

    영조정순후가례도감의궤 下 반차도24

    영조정순후가례도감의궤 하 반차도1

    영조정순후가례도감의궤 下 반차도25

     

     

     

     

     (2)의소세손예장도감의궤

    1752년(영조 28) 3월, 사망한 경종의 의소세손의 예장에 관한 제반 사항을 기록한 의궤.

    의소세손은 사도세자의 맏아들로, 어머니 혜빈 홍씨이고, 정조의 형이다.

    관련 기록에 의하면 3세에 요절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의소세손예장도감의궤 상 반차도1

    의소세손예장도감의궤 上 반차도1

    의소세손예장도감의궤 상 반차도1

    의소세손예장도감의궤 上 반차도2

    의소세손예장도감의궤 상 반차도1

    의소세손예장도감의궤 上 반차도3

    의소세손예장도감의궤 상 반차도1

    의소세손예장도감의궤 上 반차도4

    의소세손예장도감의궤 상 반차도1

    의소세손예장도감의궤 上 반차도5

    의소세손예장도감의궤 상 반차도1

    의소세손예장도감의궤 上 반차도6

    의소세손예장도감의궤 상 반차도1

    의소세손예장도감의궤 上 반차도7

    의소세손예장도감의궤 상 반차도1

    의소세손예장도감의궤 上 반차도8

    의소세손예장도감의궤 상 반차도1

    의소세손예장도감의궤 上 반차도9

    의소세손예장도감의궤 상 반차도1

    의소세손예장도감의궤 上 반차도10

    의소세손예장도감의궤 상 반차도1

    의소세손예장도감의궤 上 반차도11

    의소세손예장도감의궤 상 반차도1

    의소세손예장도감의궤 上 반차도12

    의소세손예장도감의궤 상 반차도1

    의소세손예장도감의궤 上 반차도13

    의소세손예장도감의궤 상 반차도1

    의소세손예장도감의궤 上 반차도14

    의소세손예장도감의궤 상 반차도1

    의소세손예장도감의궤 下

     

     

     (3)인조장렬후국장도감도청의궤

    1688년(숙종 14) 8월, 사망한 인조의 계비 인원왕후(1624~1688)의 국장에 관한

    제반 사항을 기록한 의궤.

    장렬왕후는 양주 조씨 조창원의 딸로, 인조의 정비인 인렬왕후가 사망한 후에

    1638년 인조의 계비가 되었다.

    서인과 남인간에 벌어진 1659년의 기해예송과 1674년 갑인예송의 당쟁 때

    어떤 상복을 입어야 할 대상이 된 주인공으로 유명하다.

    인조장렬후국장도감도청의궤 상 반차도1

    인조장렬후국장도감도청의궤 上 반차도1

    인조장렬후국장도감도청의궤 상 반차도1

    인조장렬후국장도감도청의궤 上 반차도2

    인조장렬후국장도감도청의궤 상 반차도1

    인조장렬후국장도감도청의궤 上 반차도3

    인조장렬후국장도감도청의궤 상 반차도1

    인조장렬후국장도감도청의궤 上 반차도4

    인조장렬후국장도감도청의궤 상 반차도1

    인조장렬후국장도감도청의궤 上 반차도5

    인조장렬후국장도감도청의궤 상 반차도1

    인조장렬후국장도감도청의궤 上 반차도6

    인조장렬후국장도감도청의궤 상 반차도1

    인조장렬후국장도감도청의궤 上 반차도7

    인조장렬후국장도감도청의궤 상 반차도1

    인조장렬후국장도감도청의궤 上 반차도8

    인조장렬후국장도감도청의궤 상 반차도1

    인조장렬후국장도감도청의궤 上 반차도9

    인조장렬후국장도감도청의궤 상 반차도1

    인조장렬후국장도감도청의궤 上 반차도10

    인조장렬후국장도감도청의궤 상 반차도1

    인조장렬후국장도감도청의궤 上 반차도11

    인조장렬후국장도감도청의궤 상 반차도1

    인조장렬후국장도감도청의궤 上 반차도12

    인조장렬후국장도감도청의궤 상 반차도1

    인조장렬후국장도감도청의궤 上 반차도13

     

     

     

     

     

     

     (4)효순현빈예장도감의궤

    1751년(영조 27) 효장세자(영조의 아들, 뒤에 진종으로 추존)의 비인 효순현빈(진종이 추존되면서

    효순왕후로 추존, 1715~1751)의 국장에 관한 의궤.

    효순현빈의 성은 조씨고 본관은 풍양. 좌의정 조문명의 딸이다.

    효순현빈예장도감의궤 상 반차도1

    효순현빈예장도감의궤 上 반차도1

    효순현빈예장도감의궤 상 반차도1

    효순현빈예장도감의궤 上 반차도2

    효순현빈예장도감의궤 상 반차도1

    효순현빈예장도감의궤 上 반차도3

    효순현빈예장도감의궤 상 반차도1

    효순현빈예장도감의궤 上 반차도4

    효순현빈예장도감의궤 상 반차도1

    효순현빈예장도감의궤 上 반차도5

    효순현빈예장도감의궤 상 반차도1

    효순현빈예장도감의궤 上 반차도6

    효순현빈예장도감의궤 상 반차도1

    효순현빈예장도감의궤 上 반차도7

    효순현빈예장도감의궤 상 반차도1

    효순현빈예장도감의궤 上 반차도8

    효순현빈예장도감의궤 상 반차도1

    효순현빈예장도감의궤 上 반차도9

    효순현빈예장도감의궤 상 반차도1 

    효순현빈예장도감의궤 上 반차도10

    효순현빈예장도감의궤 상 반차도1

    효순현빈예장도감의궤 上 반차도11

     

     

     

     

     

     

     (5)문희묘영건청등록

    1789년(정조 13) 4월, 문효세자의 사당인 문희묘를 세우는 과정을 기록한 등록.
    문효세자는 정조와 의빈성씨 사이에 태어난 첫 번째 아들로

    정조 1782년(정조 6) 9월 7일 태어났다.

    31세의 늦은 나이에 후사를 얻은 정조는 몹시 기뻐하였으나

    1786년 5월 홍역을 앓다가 5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

    문희묘영건청등록 반차도1

    문희묘영건청등록 반차도1

    문희묘영건청등록 반차도1

    문희묘영건청등록 반차도2

    문희묘영건청등록 반차도1

    문희묘영건청등록 반차도3

    문희묘영건청등록 반차도1

    문희묘영건청등록 반차도4

    문희묘영건청등록 반차도1

    문희묘영건청등록 반차도5

    문희묘영건청등록 반차도1

    문희묘영건청등록 반차도6

    문희묘영건청등록 반차도1

    문희묘영건청등록 반차도7

    문희묘영건청등록 반차도1

    문희묘영건청등록 반차도8

    문희묘영건청등록 반차도1

    문희묘영건청등록 반차도9

    문희묘영건청등록 반차도1

    문희묘영건청등록 반차도10

    문희묘영건청등록 반차도1

    문희묘영건청등록 반차도11

    문희묘영건청등록 반차도1

    문희묘영건청등록 반차도12

    문희묘영건청등록 반차도1

    문희묘영건청등록 반차도13

     

     

     

     

     

     

     (6)현목수빈휘경원원소도감의궤

    1822년(순조 22) 12월, 정조의 후궁이자 순조의 생모인

    현목수빈 박씨(1770~1822)의 원소 조성에 관해 기록한 의궤.

    수빈박씨는 판돈녕부사 박준원의 셋째 딸로 1787년(정조 11) 후궁 간택에 수위로 뽑혀

    3월에 입궁하였다.

    현목수빈휘경원원소도감의궤 상  세부1 [제목 등 첫장]

    현목수빈휘경원원소도감의궤 上 세부1 [제목 등 첫장]

    현목수빈휘경원원소도감의궤 상  세부1 [제목 등 첫장]

    현목수빈휘경원원소도감의궤 上 세부2 [목차]

    현목수빈휘경원원소도감의궤 상  세부1 [제목 등 첫장]

    현목수빈휘경원원소도감의궤 上 세부3 [시일(일정)]

    현목수빈휘경원원소도감의궤 상  세부1 [제목 등 첫장]

    현목수빈휘경원원소도감의궤 上 세부4 [좌목(담당관원 명단)]

    현목수빈휘경원원소도감의궤 상  세부1 [제목 등 첫장]

    현목수빈휘경원원소도감의궤 上 세부5 [장계(관련 문서 부분)]

    현목수빈휘경원원소도감의궤 상  세부1 [제목 등 첫장]

    현목수빈휘경원원소도감의궤 上 표지 뒤

    현목수빈휘경원원소도감의궤 상  세부1 [제목 등 첫장]

    현목수빈휘경원원소도감의궤 上 표지 앞

     

     

     

     

     

     

     

     

     

     

     

    - 더 보기 

     

     

    해외 유출 문화재와 그 반환

     

    '문화재 반환' 그 어렵고 힘겨운 길

     

    《직지심체요절》의 진면모를 밝힌 박병선 박사

     

    조선왕조 기록문화의 꽃 <의궤> - 자료찾아보기 

     

    조선왕조 의궤 -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

     

    조선왕실 기록문화의 꽃 - 의궤(儀軌)

     

    조선왕조 의궤 - 500년 왕조의 넋을 담다

     

    포쇄(曝), 책에 바람을 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