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자호란 다시 읽기]

(97) 가도의 동강진 무너지다

Gijuzzang Dream 2008. 7. 20. 21:05

 

 

 

 

 

 (97) 가도의 동강진 무너지다

 

청은 병자호란을 통해 여러 가지를 얻었다.

우선 자신들을 끝까지 인정하려 들지 않았던 조선을 굴복시킴으로써

대외적으로 ‘제국’의 위상을 높일 수 있었다. 다른 측면의 소득도 짭짤했다.

망해가고 있던 명에게 조선은 가장 충성스러운 번국(藩國)이었다.

그런데 청이 조선마저 제압함으로써 명은 이제 고립무원의 상황이 되고 말았다.

청은 또한 조선을 끌어들여 명을 공략하는 데 활용할 수 있었다.

조선의 군사력은 그다지 강하지 않았지만, 수군과 화기수들은 만만치 않았다.

청은 조선 수군과 화기수들을 적극적으로 이용하려 했다.

그 첫 결과가 가도( 島)의 함락으로 나타났다.

 

 

 충북 충주에 있는 충민공 임경업(1594~1646)장군의 사당 충렬사.

임경업 장군은 1637년 조·청연합군의 일원으로

가도에서 명군을 격파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문화재청 제공

 

 

조선, 명 배신 위기에 처해

 

전세가 기울어 청에게 항복하는 것이 피할 수 없는 대세가 되었을 때에도

인조는 남한산성에서 나오는 것만은 피하려 했었다.

하지만 인조는 결국 출성하여 홍타이지에게 무릎을 꿇고 말았다.

그런데 항복한 이후에도 인조나 조선 조정이 끝까지 피하려 했던 것이 하나 있었다.

그것은 바로 조선이 군사를 내어 청군을 원조하고, 명을 공격하게 되는 상황이었다.

 

1637년 2월3일, 용골대와 마부대는 창경궁으로 인조를 찾아왔다.

그들은 조선이 그토록 피하고자 했던 가도 정벌에 협조하고 동참할 것을 강요했다.

당시 인조나 조정은 서슬퍼런 그들의 요구를 거부할 수 있는 처지가 아니었다.

조선은 당장 황해도의 병선 100척과 수군 3000여 명을 징발했다.

징발 과정에서 민폐를 따질 겨를도 없었다.

평안병사 유림(柳琳)을 주장으로, 의주부윤 임경업(林慶業)을 부장으로 삼아

병력을 이끌고 철산 앞바다로 진격하도록 했다.

 

청군의 수군 지휘관은 이신 공유덕과 경중명이었다.

1633년 명에서 선단을 이끌고 귀순해온 두 사람은

청군 가운데는 드물게 바다와 해전을 아는 장수들이었다.

홍타이지의 두 사람에 대한 총애는 각별했다.

선단을 이끌고 귀순해온 것에 감격하여 공유덕 휘하의 병력을 천우병(天佑兵),

경중명 휘하의 병력을 천조병(天助兵)이라 불렀다.

두 사람을 위해 심양에 거대한 저택도 새로 지어주었다.

‘천우’, ‘천조’라는 이름에서 드러나듯이

홍타이지에게 두 사람은 ‘하늘이 청을 돕기 위해 보내준 장수들’이었다.

 

 

충렬사에 있는 임경업 장군의 영정

 

바야흐로 천우군과 천조군을 본격적으로 활용할 기회가 찾아왔다.

홍타이지는 조선에서 철수하면서 두 사람을 조선에 남겨 수군 전력을 정비하도록 했다.

용산과 강화도 일대에서 함선을 새로 건조하거나 수선하고,

조선 수군의 협조를 얻어내는 임무를 맡겼다.

조선을 굴복시킨 여세를 몰아 가도의 동강진을 제거하라고 지시했던 것이다.

 

1622년 모문룡이 처음 들어가 동강진을 설치한 이후 가도는

청의 서진(西進)을 가로막는 걸림돌이 되었다. 하지만 지척에서 빤히 바라보면서도 수군이 없고

해전에 익숙하지 못하여 발만 동동 굴렀던 지난 15년이었다.

그런데 이제 동강진을 쳐 없앨 절호의 기회가 왔다.

공유덕과 경중명의 역량은 물론, 해전에 뛰어난 조선 수군까지 동원할 수 있게 된 것이다.

홍타이지는 ‘가도 함락’이라는 승전보를 기대하면서 철수 길에 올랐다.

조선은 ‘오랑캐’에게 붙어 명을 배신할 수밖에 없는 위기를 맞았다.

 

 

明 도독 심세괴의 순국

 

청군은 가도를 곧바로 함락시킬 수 있다고 자신했지만 사정은 그렇게 호락호락하지 않았다.

지형이 험하여 전함의 접근이 어려운 데다 명군이 섬 주위에 화포를 배치하여

청군의 공격에 대비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당시 가도에는 도독 심세괴(沈世魁)가 군민 5만여 명을 이끌고 방어에 임하고 있었다.

 

조 · 청 연합군은 1637년 4월9일, 철산 앞바다를 출발하여 총공격을 개시했다.

선단을 셋으로 나눠 상륙을 시도했지만 험한 지형과 명군의 사격 때문에 번번이 실패했다.

공략이 여의치 않자 청군 지휘관 마부대 등은 임경업 등에게 묘안이 있는지를 물었다.

애초부터 내키지 않는 싸움에 동참하게 된 임경업 등이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자

마부대 등은 회유와 협박을 반복했다. 임경업은 협박에 밀려 결국 묘안을 제시했다.

‘지형이 험한 북쪽 해안을 버리고 남쪽 해안으로 우회하여 공격하자.’는 것이 핵심이었다.

 

마부대는 임경업의 계책에 따라

자신과 공유덕 등이 이끄는 청 수군을 남쪽으로 우회시켜 동강진을 배후에서 공격토록 하고,

조선군은 의연히 북쪽 해안에서 동강진의 정면을 돌파하는 작전을 썼다.

당시 명군은 철산 등 육지를 마주보고 있는 북쪽 해안의 방어에 주력하여

남쪽 해안에는 병력을 거의 배치하지 않았다.

청군은 결국 별 어려움 없이 남쪽 해안으로 상륙하여 동강진의 배후를 기습했고,

그와 동시에 조선군이 정면에서 공격해 들어갔다.

 

남과 북에서 협공을 받은 명군은 완강하게 저항했으나 전세는 이미 기울고 있었다.

엄청난 사상자를 낸 상태에서

심세괴는 잔여 병력을 이끌고 소달금(小達金)이라는 봉우리로 퇴각했다.

하지만 그들은 청군의 철기(鐵騎) 앞에서 오래 버티지 못했다.

마부대는 소달금에 대한 포위망을 좁히는 한편, 섬 안에서 대대적인 살육과 약탈을 자행했다.

 

청군에게 떠밀려 들어온 조선군은 고민에 빠졌다.

청군과 함께 살육과 약탈에 동참할 것인가? 아니면 옛정을 생각하여 시늉만 할 것인가?

조선군은 애초 섬에 도착했을 때, 배에서 내리는 것도 미적거렸었다.

그런데 나만갑은 ‘병자록’에서

조선군이 청군보다 더 심하게 한인들을 죽이고 약탈을 자행했다고 적었다.

작전권이 청군 지휘부에게 있고 그들의 명령을 거부할 수 없는 이상

조선군에게는 선택의 여지가 별로 없었다.

 

심세괴는 항복을 권유받았지만,

‘대명(大明)의 신하가 개돼지에게 무릎을 꿇을 수는 없다.’며 청군의 칼날 아래 쓰러졌다.

휘하 병력 1만명가량도 목숨을 잃었다. 조선군의 공격에 놀란 일부 한인들은

‘명이 조선에 무슨 잘못이 있기에 우리를 배반하고 적에게 붙어 우리를 참혹하게 죽이느냐?’며

절규했다.

가도 함락 소식이 서울로 전해진 이후 많은 사람들이 이 이야기를 듣고 눈물을 흘렸다.

 

 

한 시대의 종언

 

심세괴의 죽음과 함께 가도의 동강진은 결국 무너졌다.

그런데 그것은 단순히 명나라의 군진(軍鎭) 하나가 사라진 것이 아니었다.

조선과 명, 그리고 후금이 뒤얽혀 있던 동아시아의 기존 질서가 무너진 것을 의미했다.

 

인조대 내내 가도는 ‘뜨거운 감자’였다.

모문룡을 비롯한 가도의 역대 지휘관들은 조선을 몹시 괴롭혔다.

수시로 군량을 내놓으라고 강요하는가 하면,

가도의 한인들은 무시로 청북 지역에 출몰하여 조선을 곤혹스럽게 했다.

정묘호란 이후에는 조선을 오가는 후금 사신들을 체포하려 드는가 하면,

‘조선이 명을 배신하고 오랑캐에게 붙었다.’고 북경 조정에 참소했던 것도 그들이었다.

그럼에도 명을 ‘상국’이자 ‘부모국’으로 섬기던 조선은

싫은 내색 없이 그들에게 군량을 제공하고 편의를 봐주었다.

가도의 교란 작전과, 그것을 용인하는 조선의 태도에 후금은 격앙되었다.

병자호란이 일어나는 데는 가도의 존재도 분명 한 몫을 했다.

 

그런데 가도가 붕괴되기까지의 과정은 철저하게 명이 자멸(自滅)해 가는 모습과 닮아 있었다.

애초 모문룡은 가도에 들어가 ‘요동을 수복하겠다.’고 큰소리쳤지만 그저 말뿐이었다.

감시의 사각지대에 안주하면서 막대한 부를 챙기고, 안일에 빠져들었다.

자연히 후금(청)과 맞서겠다는 본래 목표는 실종되었다.

명 조정은 그것도 모르고 엄청난 군자금과 물자를 가도에 퍼부었다.

목표는 사라지고 부만 늘어나면서 자연히 파벌 다툼이 잦아졌고,

그 와중에 수차례 반란이 일어났다.

이제 가도는 청의 서진을 견제하는 거점은커녕, 애물단지로 전락하고 말았다.

날로 역량이 커진 청이 가도를 장악하는 것은 ‘시간 문제’일 뿐이었다.

 

가도의 붕괴는 조선에게도 특별한 의미가 있었다.

가장 가까이에 있던 ‘명의 분신’이자 ‘충성의 대상’이 사라진 것을 의미했다.

가도에 상륙한 조선군이 살육과 약탈에 가담했던 것은

기존 조 · 명관계의 파탄을 알리는 상징이었다.  

동시에 그것은 조선이 ‘새로운 상국’ 청에게 서서히 길들여져 가는 고통스러운 과정이기도 했다.

- 한명기 명지대 사학과 교수

-  2008-11-12 서울신문

 

 

 

'[병자호란 다시 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99) 조선, 혼돈 속 청의 번국 되다  (0) 2008.07.20
(98) 인조, 백성에 사죄하다   (0) 2008.07.20
(96) 처참한 나날들   (0) 2008.07.20
(95) 三學士의 최후  (0) 2008.07.20
(94) 해가 빛이 없다  (0) 2008.07.20